TECH M
×
TECH M
미래부-KISA, 온라인 광고 악성코드 가이드 배포
2016-10-20강진규 기자
온라인 광고배너를 이용한 악성코드에 대응하기 위한 가이드가 만들어져 배포되고 있다.
20일 보안업계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최근 '온라인 광고배너를 통한 악성코드 유포 대응 보안 가이드'를 개발했다.
KISA 관계자는 “온라인 광고배너를 통한 악성코드 위협을 알리고 대응 방안을 알려주기 위해 가이드를 만들었다”며 “최근 KrCERT 홈페이지 자료실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ISA가 가이드를 만든 것은 국내외에서 멀버타이징(Malvertising) 공격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멀버타이징은 악성 소프트웨어(SW)를 뜻하는 멀웨어(Malware)와 광고(Advertising)의 합성어로 온라인 광고를 통해 악성코드를 유포시키는 행위를 뜻한다.
특히 최근 멀버타이징은 랜섬웨어 공격에 활용되고 있다. 올해 3월 외신들은 뉴욕타임즈, BBC 등 유명 언론사 홈페이지의 광고배너를 통해 랜섬웨어 악성코드가 유포됐다고 보도했다.
또 올해 6월 국내에서도 온라인 커뮤니티 '뽐뿌'에서 '크립트XXX(CryptXXX)'라는 랜섬웨어가 유포됐다. 그런데 해커들은 뽐뿌 사이트의 배너광고로 이 악성코드를 감염시켰다.
전문가들은 언론사, 커뮤니티 등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는 사이트에서 배너광고 등을 통해 다량의 PC, 스마트폰 등을 감염시키는 공격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KISA도 이런 상황을 인식해 보안 위협을 알리고 대책을 촉구하기 위해 가이드를 만든 것이다.
![온라인 광고 서버 해킹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개념도 [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http://techm.kr/data/editor/1610/1981902326_1476945520.79606.jpg)
가이드는 대표적인 멀버타이징 공격 방식으로 두 가지를 꼽았다. 첫 번째는 온라인 광고 서버를 해킹하는 방식이다. 공격자는 보안이 취약한 온라인 광고 서버를 해킹해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온라인 광고에 악성코드를 삽입한다. 공격자는 이를 통해 배너광고가 게재된 사이트 방문자 PC를 감염시켜 개인정보를 ?내거나 시스템을 파괴하는 것이다.
두 번?는 애드웨어를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방식이다. 공격자가 악성코드 유포지 링크가 삽입된 위장 광고 사이트를 정상적인 절차를 통해 온라인 광고 업체에 등록해 광고를 의뢰하면 광고업체는 위장된 광고를 온라인에 게시하는 것이다. KISA에 따르면 공격자들은 아이프레임(iframe) 태그 등을 사용해 이용자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크기의 악성링크를 삽입하거나 난독화 된 주소(URL)를 사용해 위장 광고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기도 한다.
KISA는 가이드에서 멀버타이징 공격을 막기 위해 광고 업체들이 서버 점검을 철저히 해야하며 광고를 의뢰하는 곳이 믿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일반 국민들에게 백신 SW 등을 최신 상태로 사용하고 웹브라우저 등에서 온라인 광고 차단 기능도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이 가이드는 KISA의 KrCERT 홈페이지(www.krcert.or.kr) 자료실에서 누구나 내려 받을 수 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20일 보안업계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최근 '온라인 광고배너를 통한 악성코드 유포 대응 보안 가이드'를 개발했다.
KISA 관계자는 “온라인 광고배너를 통한 악성코드 위협을 알리고 대응 방안을 알려주기 위해 가이드를 만들었다”며 “최근 KrCERT 홈페이지 자료실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ISA가 가이드를 만든 것은 국내외에서 멀버타이징(Malvertising) 공격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멀버타이징은 악성 소프트웨어(SW)를 뜻하는 멀웨어(Malware)와 광고(Advertising)의 합성어로 온라인 광고를 통해 악성코드를 유포시키는 행위를 뜻한다.
특히 최근 멀버타이징은 랜섬웨어 공격에 활용되고 있다. 올해 3월 외신들은 뉴욕타임즈, BBC 등 유명 언론사 홈페이지의 광고배너를 통해 랜섬웨어 악성코드가 유포됐다고 보도했다.
또 올해 6월 국내에서도 온라인 커뮤니티 '뽐뿌'에서 '크립트XXX(CryptXXX)'라는 랜섬웨어가 유포됐다. 그런데 해커들은 뽐뿌 사이트의 배너광고로 이 악성코드를 감염시켰다.
전문가들은 언론사, 커뮤니티 등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는 사이트에서 배너광고 등을 통해 다량의 PC, 스마트폰 등을 감염시키는 공격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KISA도 이런 상황을 인식해 보안 위협을 알리고 대책을 촉구하기 위해 가이드를 만든 것이다.
![온라인 광고 서버 해킹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개념도 [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http://techm.kr/data/editor/1610/1981902326_1476945520.79606.jpg)
(온라인 광고 서버 해킹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개념도 [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 |
가이드는 대표적인 멀버타이징 공격 방식으로 두 가지를 꼽았다. 첫 번째는 온라인 광고 서버를 해킹하는 방식이다. 공격자는 보안이 취약한 온라인 광고 서버를 해킹해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온라인 광고에 악성코드를 삽입한다. 공격자는 이를 통해 배너광고가 게재된 사이트 방문자 PC를 감염시켜 개인정보를 ?내거나 시스템을 파괴하는 것이다.
두 번?는 애드웨어를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방식이다. 공격자가 악성코드 유포지 링크가 삽입된 위장 광고 사이트를 정상적인 절차를 통해 온라인 광고 업체에 등록해 광고를 의뢰하면 광고업체는 위장된 광고를 온라인에 게시하는 것이다. KISA에 따르면 공격자들은 아이프레임(iframe) 태그 등을 사용해 이용자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크기의 악성링크를 삽입하거나 난독화 된 주소(URL)를 사용해 위장 광고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기도 한다.
KISA는 가이드에서 멀버타이징 공격을 막기 위해 광고 업체들이 서버 점검을 철저히 해야하며 광고를 의뢰하는 곳이 믿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일반 국민들에게 백신 SW 등을 최신 상태로 사용하고 웹브라우저 등에서 온라인 광고 차단 기능도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이 가이드는 KISA의 KrCERT 홈페이지(www.krcert.or.kr) 자료실에서 누구나 내려 받을 수 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도시통합관리플랫폼 개발…녹색·교통 강점(LG CNS가 구현하는 스마트 그린 시티 개념)국내 대표 IT서비스 기업인 LG CNS는 다양한 IT사업 경험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LG CNS는 이런 경험과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외 스마트 시티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가상물리시스템(Cyber-Physical Systerm), 인공지능(AI) 등 제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을 적용한 통합 지능형 스마트 시티 솔루션을 준비하고 있다.LG CNS는2016-10-24 00:10:02강진규 기자
-
마이크로스트레티지, 데이터 분석툴 무료 공개로 시장 공략(데이브 레니손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수석부사장이 21일 서울시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마이크로스트레티지의 시장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 데스크탑'을 무료로 공개한다.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쉽게 쓸 수 있다는 경험을 주기 위해서다. 이것이 전환점이 되어 다른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MSTR)코리아는 21일 서울시 서초구 aT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내 빅데이터 및 비즈니스 인텔리2016-10-21 18:40:01도강호 기자
-
[MIT선정 젊은혁신가] 같은 DNA가 어떻게 다른 세포되는지 연구에반 마코스코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원세포가 어떻게 복잡한 조직과 기관을 만들어내는지 알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을 제시한다.인간의 게놈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세포들이 어떻게 서로 다른 역할을 하게 되는지 이해해야 한다.신체의 모든 세포는 기본적으로 같은 DNA 청사진을 갖고 있지만 그 유전 정보가 특정 시점에 어떻게 작용 또는 표현되느냐에 따라 다양성을 갖게 된다.어떤 세포는 기억을 담당하는 신경세포가 되고 어떤 세포는 발톱이 되는 것.또 뇌처럼 하나의 기관 내에도 여러 종류의 세포가 존재하며 한 종류의 세포 안2016-10-21 16:40:07MIT테크놀로지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