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네이버, AI·로봇·자율주행차 연구 별도 법인 설립

2016-10-24강진규 기자

네이버가 인터넷과 모바일을 넘어 인공지능(AI), 로봇, 자율주행차 등 기술 기반의 기업으로 나아가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네이버는 이를 위해 신기술을 연구하는 개발조직을 별도 법인화할 방침이다.

네이버는 24일 AI, 로보틱스, 자율주행 등 미래 기술을 연구하는 개발조직의 별도 법인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2013년 기술연구조직인 네이버랩스를 설립해 인터넷 서비스, 소프트웨어(SW) 개발과 ‘로보틱스’, ‘모빌리티’, ‘스마트홈’ 등 신기술 연구를 진행해왔다. 네이버는 미래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는데 따라 기술 개발 조직을 독립시켜 연구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신설 법인은 이사회의 승인 절차를 거쳐 내년 초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송창현 네이버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법인의 대표이사와 네이버 CTO를 겸직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24일 서울 코엑스 그램드볼룸에서 개막한 ‘DEVIEW 2016’에서도 신기술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이해진 네이버 의장은 “인터넷은 국경이 없는 곳으로, 네이버는 전 세계 큰 기업들과 경쟁해 왔다”며 “글로벌 업체들과 경쟁해 나가려면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도전도 해야 하지만 기술이 중요하다. 이제는 AI, 로봇 등 기술 싸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 의장은 “내부에 기술이 있는 개발자들이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자회사로 만드는 체계로 만들고 있다”며 “또 그동안 네이버의 투자가 창업 투자였다면 이제는 여러 형태를 통해 좋은 기술자들, 좋은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일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송창현 네이버 CTO가 2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송창현 네이버 CTO가 2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DEVIEW 2016’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기조연설에 나선 송창현 네이버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보다 구체적인 네이버의 신성장 동력을 소개했다. 네이버는 이날 음성인식 기반 AI 기술, 자율주행 기술, 실내 공간 측정용 로봇, 웹브라우저 등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음성 대화시스템 '아미카(AMICA)'를 소개했다. 아미카는 사람의 음성을 인식해 필요한 정보를 찾아주는 AI 비서다. 가령 오늘의 날씨를 물어보면 사용자가 필요한 날씨 정보를 찾아 소개해주고 길을 찾을 때는 소통이 잘되는 길로 안내를 해준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가상비서 '코타나(Cortana)', 애플의 '시리(SIRI)'와 비슷한 기술이다.

송창현 CTO는 “오늘(10월 24일)부터 11월 7일까지 아미카의 클로우즈 베타 신청을 받는다”며 “아미카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 SPC, GS샵, 야놀자, 배달의민족 등과 협력하고 있고 삼성과도 음성인식 모듈 부문에서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 CTO는 “아미카 얼라이언스를 구축해 아미카로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멘토링, 투자, 제품상용화, 글로벌 진출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네이버는 구글, 애플, 테슬라 등이 추진하고 있는 자율주행차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송 CTO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네이버의 자율주행 기술은 GPS가 잘 안 되는 곳에서도 스스로 지도를 만들고 도로 위의 사물과 신호를 인식한다”고 설명했다. 자율주행과 관련해 네이버는 르노삼성, 카이스트 등과 협력하고 있다.


네이버의 자율주행차가 시범 운행되는 모습

(네이버의 자율주행차가 시범 운행되는 모습)

 

네이버는 첫 번째로 제작한 로봇인 'M1'도 공개했다. M1은 3차원 고정밀 지도를 만들 수 있는 로봇으로 실내 공간의 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네이버는 이와 함께 웹브라우저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네이버는 고래를 뜻하는 '웨일(whale)'이라는 이름의 웹브라우저를 12월 1일부터 베타테스트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웨일 브라우저는 내년 중 정식으로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웨일에는 음성번역 앱 파파고의 기술과 네이버 검색기술, 보안기술 등이 결합된 것이 특징이다.


네이버가 개발한 실내 3D 측정 로봇 M1 모습

(네이버가 개발한 실내 3D 측정 로봇 M1 모습)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