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MIT선정 젊은 혁신가들] 어떤 물이든 깨끗한 물로 바꾼다
2016-10-28MIT테크놀로지리뷰
지아 추 난징대 연구원
깨끗한 물이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물은 어디에나 있지만 안전하게 마실 수 있는 물은 흔치 않다.
지아 추는 태양열을 흡수, 그 에너지로 증기를 만들고 이를 다시 깨끗한 물로 바꾸는, 물에 띄울 수 있는 얇은 금속 판으로 된 장치를 만들었다.
“이 장치로 깨끗한 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필요합니다. 하나는 물이고 - 어떤 물이든 상관없습니다 - 다른 하나는 태양입니다.”
이 장치는 해수를 담수화하거나 오염된 물을 정수하는 데에도 쓸 수 있다.
물이 증기로 바뀌면 남는 것은 염분 또는 고체화된 오염물질로 쉽게 수거할 수 있다.
그는 이 놀라운 장치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다.
“증기를 꼭 다시 물로 바꿀 필요는 없겠죠.”
그는 이 장치로 전기를 생산할 수도 있음을 암시하며 이렇게 말한다.
<본 기사는 테크M 제42호(2016년10월) 기사입니다>
-
'스타트업 스파크 2016' 국내외 스마트 시티 스타트업의 만남('스타트업 스파크 2016' 행사가28일 서울 강남구 개포디지털혁신파크에서 열렸다.) 28일 서울시 강남구 개포디지털혁신파크에서 '스타트업 스파크 2016' 행사가 열렸다. '2016 서울 국제 디지털페 스티벌'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덴마크, 오스트레일리아의 스마트시티·스마트그리드 관련 기업들이 참가해 기업을 소개하고 한국 기업 및 관계자들과 교류하2016-10-28 19:10:02도강호 기자
-
“스마트시티 성공 요인은 시민 참여와 데이터 분석”(이치형 서울디지털재단 이사장이 28일 서울 개포동 개포디지털혁신파크에서 열린 ‘서울국제디지털페스티벌(SIDiF)’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 시티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참여와 데이터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는 한국에서 정부와 지자체들이 정부 중심의 정책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는 스마트 시티 구축에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서울시가 28,2016-10-28 17:40:05강진규 기자
-
공교육, '에듀테크' 미래를 전망하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28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행복한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정보화’라는 주제로 ‘2016 KERIS 심포지엄’을 열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우리 교육 현장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은 28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에듀넷(EDUNET)' 개통 20주년을 기념해 ‘행복한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정보화’라는 주제로 &l2016-10-28 16:10:05마송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