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MIT선정 젊은 혁신가들] 3차원 나노 구조물 개발
2016-11-01MIT테크놀로지리뷰

장이 복잡한 나노 구조를 만들 수 있는 자신의 기발한 아이디어를 커다란 모형으로 보여주고 있다.
(장이 복잡한 나노 구조를 만들 수 있는 자신의 기발한 아이디어를 커다란 모형으로 보여주고 있다.) |
이휘 장 (칭화대)
팝-업 나노 구조를 이용해 매우 작은 3차원 구조물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이휘 장은 방문객을 자신의 사무실로 불러 축구공 구조가 달린 매우 잘 늘어나는 실리콘을 보여주기를 즐긴다. 실리콘을 네 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기면 3차원 구조가 육각형과 오각형으로 이뤄진 2차원 구조로 바뀐다. 실리콘을 다시 원래대로 돌리면 평평한 구조는 다시 3차원 구조로 돌아간다.
바로 이 방법으로 장은 많은 과학자들이 고민했던 문제를 풀었다. 어떻게 복잡한 3차원 나노 구조를 제작할 것인지 하는 것이다. 장이 실리콘으로 보여준 그 방법은 나노구조에서도 통한다. 쉽게 만들 수 있는 2차원 구조를 길게 늘인 기판 위에 붙인 뒤, 그 기판을 원래대로 줄어들게 만들면 2차원 구조물이 3차원으로 바뀌는 것이다. 이 방법은 금속과 고분자 등 여러 재질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또한 다양한 용도의 나노 구조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장의 궁극적인 목표는 과학자들이 쉽게 자신들이 원하는 3차원 구조를 만드는 2차원 구조를 찾을 수 있도록, 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또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하나의 도구입니다.” 그는 말을 잇는다. “서로 다른 분야의 사람들이 자신의 분야를 혁신할 수 있어요.”
<본 기사는 테크M 제42호(2016년10월) 기사입니다>
-
인프라웨어, 이해석 신임 대표 선임(이해석 인프라웨어 신임 대표) 인프라웨어는 1일 이사회를 열고 신임 이해석 대표이사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인프라웨어는 이번 선임이 기존 인프라웨어 사업 전반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자발적인 변화와 혁신을 통해 새로운 성장을 구체화하고 경영 효율화를 강화하기 위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해석 신임 대표는 인프라웨어에 신입사원으로 입사해 인프라웨어 내 다양한 분야의 폭넓은 경험과 성과를 일구고 대표이사로 승진한 첫 케이스이다. 이 대표는 2001년 인프라웨어에 입사 후 15년 넘게 연구개발, 사업전략,2016-11-01 13:40:15강진규 기자
-
3D 터치로 소환한 단축키의 매력(3D 터치의 단축키를 활용하는 예시. 이메일을 보려면 해당 이메일을 골라 힘을 주면 메일의 내용을 미리 볼 수 있다. [사진 : blog.transfer-iphone-recovery.com]) [테크M = 연세대 UX랩 인지공학스퀘어(권소연, 조광수)] 데스크톱 PC에서는 모니터 화면에 정보가 출력됐고 키보드, 마우스 같은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사용해 입력했다. 그래서 문서작업을 잘 하려면 자판기를 잘2016-11-01 02:40:15연세대 UX랩 인지공학스퀘어(권소연,…
-
[MIT선정 젊은 혁신가들] 구부러지는 전지 개발한 임프린트 에너지 CEO-(호는 임프린트 에너지의 전지를 이용한 기기가 2018년에는 등장할 것이라고 말한다.)크리스틴 호 (임프린트 에너지)UC 버클리 시절 개발한, 구부러지면서 다른 표면에 찍어낼 수 있는 전지를 상업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람들이 임프린트 에너지의 아연 전지를 웨어러블 장비와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패치, 작은 센서 등에 사용하고 싶어할 것이라고 말했다. 왜 기존 전지는 그런 장비에 사용할 수 없나?일반적인 배터리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외장이 필요하다. 또 배터리는 매우 반응성이 높2016-11-01 02:40:10MIT테크놀로지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