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MIT선정 젊은 혁신가들] 구부러지는 전지 개발한 임프린트 에너지 CEO
-
(호는 임프린트 에너지의 전지를 이용한 기기가 2018년에는 등장할 것이라고 말한다.) |
크리스틴 호 (임프린트 에너지)
UC 버클리 시절 개발한, 구부러지면서 다른 표면에 찍어낼 수 있는 전지를 상업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사람들이 임프린트 에너지의 아연 전지를 웨어러블 장비와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패치, 작은 센서 등에 사용하고 싶어할 것이라고 말했다. 왜 기존 전지는 그런 장비에 사용할 수 없나?
일반적인 배터리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외장이 필요하다. 또 배터리는 매우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안전하게 만들 보호회로도 있어야 한다. 우리의 기술은 보다 안정적인 화학반응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의 밀봉 장치가 없어도 된다. 외장이 얇고 단순해 질 수 있다. 아연 전지의 장점은 원재료가 자연에 풍부하므로 저렴하다는 것이다. 아연은 독성도 없다.
- 아연이 아직까지 전지로 사용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아연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은 매우 지저분하게 부식된다. 특히 신체에 접하는 기기라면 그런 지저분한 제품은 적합하지 않을 것이다. 또 아연 전지는 일반적으로 충전이 쉽지 않았다.
- 당신은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 했나?
보통 전지는 샌드위치처럼 층을 쌓아 만든다. 젤리 샌드위치의 젤리에 해당하는 가운데 층이 전극이다. 나는 이 전극을 없애고 아연 전지에 적합하면서도 재충전이 가능한 보다 안정적인 물질을 찾는다면 새로운 시장을 열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나는 수많은 재료를 시도했다. 그리고 그 중 하나에서 흥미로운 결과를 얻었고, 이를 바탕으로 필름을 만들었다. 이 필름은 내부에는 이온이 돌아다니지만, 자르거나 구부릴 수 있다.
<본 기사는 테크M 제42호(2016년10월) 기사입니다>
-
인프라웨어, 이해석 신임 대표 선임(이해석 인프라웨어 신임 대표) 인프라웨어는 1일 이사회를 열고 신임 이해석 대표이사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인프라웨어는 이번 선임이 기존 인프라웨어 사업 전반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자발적인 변화와 혁신을 통해 새로운 성장을 구체화하고 경영 효율화를 강화하기 위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해석 신임 대표는 인프라웨어에 신입사원으로 입사해 인프라웨어 내 다양한 분야의 폭넓은 경험과 성과를 일구고 대표이사로 승진한 첫 케이스이다. 이 대표는 2001년 인프라웨어에 입사 후 15년 넘게 연구개발, 사업전략,2016-11-01 13:40:15강진규 기자
-
3D 터치로 소환한 단축키의 매력(3D 터치의 단축키를 활용하는 예시. 이메일을 보려면 해당 이메일을 골라 힘을 주면 메일의 내용을 미리 볼 수 있다. [사진 : blog.transfer-iphone-recovery.com]) [테크M = 연세대 UX랩 인지공학스퀘어(권소연, 조광수)] 데스크톱 PC에서는 모니터 화면에 정보가 출력됐고 키보드, 마우스 같은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사용해 입력했다. 그래서 문서작업을 잘 하려면 자판기를 잘2016-11-01 02:40:15연세대 UX랩 인지공학스퀘어(권소연,…
-
[MIT선정 젊은 혁신가들] 구부러지는 전지 개발한 임프린트 에너지 CEO-(호는 임프린트 에너지의 전지를 이용한 기기가 2018년에는 등장할 것이라고 말한다.)크리스틴 호 (임프린트 에너지)UC 버클리 시절 개발한, 구부러지면서 다른 표면에 찍어낼 수 있는 전지를 상업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람들이 임프린트 에너지의 아연 전지를 웨어러블 장비와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패치, 작은 센서 등에 사용하고 싶어할 것이라고 말했다. 왜 기존 전지는 그런 장비에 사용할 수 없나?일반적인 배터리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외장이 필요하다. 또 배터리는 매우 반응성이 높2016-11-01 02:40:10MIT테크놀로지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