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MIT선정 젊은 혁신가들] IBM의 나노튜브 반도체 개발자
2016-11-03MIT테크놀로지리뷰
칭 카오 (IBM 연구소)
그의 발명은 실리콘 트랜지스터를 더 효율적인 탄소 나노튜브로 대체하려는 수십 년간의 IBM 노력에 도움이 되고 있다.
2001
IBM 과학자들이 탄소 나노튜브 트랜지스터를 배열하는 방법 발견.
2002
IBM 과학자들이 나노튜브 트랜지스터가 가장 뛰어난 실리콘 트랜지스터 시제품보다 두 배 이상의 전류를 흘릴 수 있음을 보임. 나노튜브가 실리콘 트랜지스터를 성능에서 앞설 수 있음을 보인 첫 번째 실험이다.
2006
IBM이 단일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한 최초의 집적회로를 만듦.
2008
칭 카오, 일리노이대 박사과정 중 연성 플라스틱 기판에 나노튜브 회로를 찍는 방법을 발명.
2013
IBM에서 카오는 물속에서 정제된 나노튜브에 기계적 힘을 가해 고밀도의 잘 정열된 배열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
2015
카오는 나노튜브 트랜지스터를 상업적으로 쓰기 위한 근본적인 장애물을 해결. 나노튜브의 끝에 금속 원자를 붙여 탄소 나노튜브에 금속 전선을 연결하는 방법을 개발.
2016
IBM은 탄소 나노튜브 기술을 어떻게 다듬고 용량을 늘릴지를 연구하기 위해 이를 사내 반도체 연구 공정에 포함시킴.
2020-2025
IBM은 자사의 나노튜브 반도체로 실리콘 반도체를 대체하려 함. 나노튜브 트랜지스터가 실리콘에 비해 성능은 두 세 배에 이르지만 전력 소모는 절반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
<본 기사는 테크M 제42호(2016년10월) 기사입니다>
-
피터 리 MS연구소 총괄 “MS는 AI의 민주화 추구”최근 방한한 마이크로소프트(MS)의 연구개발(R&D) 총괄 부사장인 피터 리는 "MS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의 민주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피터 리 부사장은 또 "AI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한 윤리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며 "글로벌 기업들이 결성한 AI 파트너십에 한국 기업들도 참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피터 리 MS연구소 총괄(부사장)은 3일 연세대 대강당에서 열린) 피터 리 MS연구소 총괄은 3일 연세대학교 대강당에서 열린 '21세기 컴퓨팅 컨2016-11-03 17:10:24강진규 기자
-
한컴, 3분기까지 757억원...연 매출 1000억 파란불한글과컴퓨터가 3분기까지 전년 대비 18.7% 상승한 757억 원의 누적매출을 달성했다. 이로써 연매출 1000억 원 달성에 파란불이 켜졌다. 한글과컴퓨터(대표 김상철, 이원필)는 올해 3분기에 연결기준 역대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으며 1996년 9월 상장 이래 55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한컴은 연결재무제표기준 3분기 매출액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9.7% 증가한 240억 원이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한 64억 원을 달성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3분기까지 누2016-11-03 17:10:04강진규 기자
-
안랩 ‘MS 애저 고객 원격보안관제 서비스' 출시안랩(대표 권치중)은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Azure) 이용 고객의 클라우드 서버 보안을 원격으로 관리해주는 '안랩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고객 원격보안관제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MS 애저 이용고객이 직접 관리해야 보안항목 중 네트워크 보안에 대해 안랩 보안관제센터가 관리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안랩은 MS 애저 이용 고객에게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설치 및 실시간 모니터링, 네트워크 침입 시도 탐지 및 대응, 보안정책 설정 등 전문적인 클라우드 원격보안관제 서비스를 제공한다.2016-11-03 16:10:08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