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SW공학센터 홈페이지, SW공학 포털로 재편
2016-11-09강진규 기자
지난 1일 사라진 소프트웨어(SW)공학센터의 홈페이지가 SW공학 정보제공 사이트로 개편될 예정이다.
9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관계자는 “SW공학센터 사이트는 조만간 SW공학포털로 바꾸는 것을 준비하고 있다”며 “SW공학센터는 (NIPA 본원에) 통합됐지만 사업과 업무를 그대로 하고 있는 만큼 사이트는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SW공학센터는 지식경제부가 대한민국의 SW 생산성과 품질 혁신을 선도하고 SW공학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게 한다며 2009년 8월 설립해 그해 11월 개소했다.
당시 정부는 SW 개발 규모가 대형, 복잡화돼 개발비 절감과 신뢰성 확보가 SW산업 경쟁력 제고의 필수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낮은 투자규모, 비공학적 SW 개발관행 등으로 인해 SW품질관리가 취약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SW의 생산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고 기업 수요에 부응해 SW공학기술 확산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센터를 설립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최근 미래창조과학부와 NIPA는 SW업무의 시너지 창출을 목적으로 SW공학센터를 통합하기로 했다. 그리고 지난 1일 NIPA는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본원(SW진흥단)과 부설(SW공학센터)로 분산된 SW산업진흥업무를 본원 내 ‘SW산업진흥본부’로 통합했다.

SW공학센터는 2010년부터 독립적인 홈페이지(www.sw-eng.kr)를 구축하고 주요 사업 소개와 SW공학 정보, 보고서 등을 제공했다. 또 유튜브,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활용해 SW공학 관련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SW공학센터가 사라지면서 홈페이지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도 폐쇄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그러나 NIPA는 사이트를 SW공학포털로 개편해 운영하기로 한 것이다.
사이트 개편은 이 달 중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SNS 계정도 이름을 바꿔 당분간 계속 운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SW업체들과 관련 전문가 등은 SW공학 사이트를 통해 계속 SW공학 관련 정보와 사업 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9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관계자는 “SW공학센터 사이트는 조만간 SW공학포털로 바꾸는 것을 준비하고 있다”며 “SW공학센터는 (NIPA 본원에) 통합됐지만 사업과 업무를 그대로 하고 있는 만큼 사이트는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SW공학센터는 지식경제부가 대한민국의 SW 생산성과 품질 혁신을 선도하고 SW공학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게 한다며 2009년 8월 설립해 그해 11월 개소했다.
당시 정부는 SW 개발 규모가 대형, 복잡화돼 개발비 절감과 신뢰성 확보가 SW산업 경쟁력 제고의 필수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낮은 투자규모, 비공학적 SW 개발관행 등으로 인해 SW품질관리가 취약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SW의 생산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고 기업 수요에 부응해 SW공학기술 확산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센터를 설립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최근 미래창조과학부와 NIPA는 SW업무의 시너지 창출을 목적으로 SW공학센터를 통합하기로 했다. 그리고 지난 1일 NIPA는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본원(SW진흥단)과 부설(SW공학센터)로 분산된 SW산업진흥업무를 본원 내 ‘SW산업진흥본부’로 통합했다.

(SW공학센터 홈페이지 모습) |
SW공학센터는 2010년부터 독립적인 홈페이지(www.sw-eng.kr)를 구축하고 주요 사업 소개와 SW공학 정보, 보고서 등을 제공했다. 또 유튜브,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활용해 SW공학 관련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SW공학센터가 사라지면서 홈페이지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도 폐쇄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그러나 NIPA는 사이트를 SW공학포털로 개편해 운영하기로 한 것이다.
사이트 개편은 이 달 중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SNS 계정도 이름을 바꿔 당분간 계속 운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SW업체들과 관련 전문가 등은 SW공학 사이트를 통해 계속 SW공학 관련 정보와 사업 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로봇세, 기초소득제 적극 검토해야”[테크M = 장윤옥 편집장]포스트휴먼은 인공지능, 생명공학 등 다양한 과학기술을 통해 더 확장된 능력을 갖게 된 새로운 인간을 가리키는 말이다. 급속하게 발달하는 기술은 그동안 한계로 여겨졌던 인간의 능력을 무한히 확장하고 있다.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지금까지의 인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인간의 탄생을 예고하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로봇과 인간이 함께 일하고 생활하는 포스트휴먼 사회는 어떻게 변화하고 이에 대비해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이 질문에 대한 해법을 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2016-11-10 12:40:02대담 = 장윤옥 테크M 편집장
-
와이즈넛, AI 기반 실시간 채팅상담 자동화 시연와이즈넛(강용성 대표)은 11월 2일부터 3일 간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진행된 '2016 데이터 매직 위크'에 2016년 빅데이터 활용 스마트서비스 인공지능(AI) 시범사업 시행기관으로서 참여했다고 밝혔다. 2016 데이터 매직 위크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하고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해 '지능정보사회를 여는 마법의 열쇠, 빅데이터'라는 주제로 빅데이터와 관련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됐다. 9월 빅데이터 활용 스마트서비스 시범사업자로 선정된 와이즈넛은 'AI서비스 전시관'에 전용 부스를 마련2016-11-09 16:10:07강진규 기자
-
SW공학센터 홈페이지, SW공학 포털로 재편지난 1일 사라진 소프트웨어(SW)공학센터의 홈페이지가 SW공학 정보제공 사이트로 개편될 예정이다. 9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관계자는 “SW공학센터 사이트는 조만간 SW공학포털로 바꾸는 것을 준비하고 있다”며 “SW공학센터는 (NIPA 본원에) 통합됐지만 사업과 업무를 그대로 하고 있는 만큼 사이트는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SW공학센터는 지식경제부가 대한민국의 SW 생산성과 품질 혁신을 선도하고 SW공학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게 한다며 2009년 8월 설립해 그해 11월 개소했다. 당2016-11-09 16:10:03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