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테크&가젯] 고프로…드론 시장에서 만난 지배자들
(Mavic Pro www.dji.com 123만 원) |
‘마빅 프로’는 소비자용 드론 시장의 지배자 DJI가 발표한 첫 접이식 드론이다. 덕분에 크기가 작다. 날개를 접으면 크기를 83×198×83㎜로 줄일 수 있다. 무게도 743g에 불과하다.
이 제품은 작지만 4K 해상도, 30프레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갖춘 건 물론 3축 짐벌을 곁들여 흔들림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전용 컨트롤러에 스마트폰을 끼면 실시간으로 카메라 영상을 보면서 비행하는 1인칭 시점뷰(FPV)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자체 전송기술(오큐싱크)을 이용해 7㎞까지 영상 스트리밍을 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초음파와 거리 측정 센서, 비전 센서 등을 갖춰 전방 15m 안쪽에 있는 장애물을 자동 감지할 수 있다. 비행시간도 기존 모델보다 늘어 한 번 충전하면 27분 동안 연속 비행할 수 있다.
(Karma www.gopro.com 100만 원) |
마빅 프로만큼이나 관심을 모았던 모델은 액션캠의 지배자 고프로가 선보인 첫 번째 드론 ‘카르마’다. 액션캠 고프로와의 연동 기능이 차별화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카르마는 본체 앞쪽에 3축 안정기와 고프로를 연결할 수 있다. 덕분에 흔들림 없이 ‘고프로5’나 기존 ‘히어로4’ 같은 액션캠을 장착해 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재미있는 건 드론 비행을 하지 않을 때에는 안정기를 그대로 빼내 손에 들고 흔들림 없는 액션캠 촬영을 할 수 있다는 것.
컨트롤러 외에 전용 앱을 이용해 비행 동영상을 보거나 제어할 수도 있다. 날개가 접이식인 건 물론 전체를 분리할 수 있는 모듈 형태로 구성해 고장이 나도 부품 교체가 쉽다는 장점도 있다. 한 번 충전하면 20분까지 연속 비행할 수 있다.
[Point]
국내 드론 시장은 2019년이면 1000억 원대 규모까지 성장할 전망이라고 한다. 전 세계 드론 시장도 지난 몇 년 동안 폭발적 성장을 기록해왔다. 한 조사기관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소비자용 드론 시장 규모는 4조 원대. 2020년대에는 10조 가까운 시장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소비자용 드론 시장은 잘 알려진 것처럼 DJI가 전체 시장 중 8할을 차지하고 있다. 물론 지난 5월 샤오미 같은 중국 기업도 ‘미 드론’ 같은 제품을 내놓는 등 시장 진입을 하고 있다. 하지만 DJI는 ‘팬텀4’를 선보이며 세계에서 처음으로 인공지능을 탑재했다는 드론을 선보이거나 소프트웨어(SW) 경쟁력을 높이면서 이 시장을 여전히 주도하고 있다.
이런 시장에 고프로가 뛰어들었다. 고프로는 지난 몇 년 동안 투자자로부터 미래 가치에 대한 물음표에 답해야 했다. 액션캠 시장에서 여전히 강자로 군림하고 있지만, 취약한 SW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주문도 있었다. 이런 이유로 고프로는 지난해 SW 관련 기업을 잇달아 인수 합병하거나 전문가도 적극적으로 영입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카르마는 고프로의 영역을 하늘까지 넓히려는 전략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카르마 자체의 경쟁력과 별개로 고프로는 기존 액션캠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앱과 이를 곧바로 저장할 수 있는 고프로 플러스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강화하려 한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카르마의 차별화나 성공 여부는 이들 서비스의 성공이 관건이 될 수 있다.
<본 기사는 테크M 제43호(2016년11월) 기사입니다>
-
“로봇세, 기초소득제 적극 검토해야”[테크M = 장윤옥 편집장]포스트휴먼은 인공지능, 생명공학 등 다양한 과학기술을 통해 더 확장된 능력을 갖게 된 새로운 인간을 가리키는 말이다. 급속하게 발달하는 기술은 그동안 한계로 여겨졌던 인간의 능력을 무한히 확장하고 있다.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지금까지의 인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인간의 탄생을 예고하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로봇과 인간이 함께 일하고 생활하는 포스트휴먼 사회는 어떻게 변화하고 이에 대비해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이 질문에 대한 해법을 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2016-11-10 12:40:02대담 = 장윤옥 테크M 편집장
-
와이즈넛, AI 기반 실시간 채팅상담 자동화 시연와이즈넛(강용성 대표)은 11월 2일부터 3일 간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진행된 '2016 데이터 매직 위크'에 2016년 빅데이터 활용 스마트서비스 인공지능(AI) 시범사업 시행기관으로서 참여했다고 밝혔다. 2016 데이터 매직 위크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하고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해 '지능정보사회를 여는 마법의 열쇠, 빅데이터'라는 주제로 빅데이터와 관련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됐다. 9월 빅데이터 활용 스마트서비스 시범사업자로 선정된 와이즈넛은 'AI서비스 전시관'에 전용 부스를 마련2016-11-09 16:10:07강진규 기자
-
SW공학센터 홈페이지, SW공학 포털로 재편지난 1일 사라진 소프트웨어(SW)공학센터의 홈페이지가 SW공학 정보제공 사이트로 개편될 예정이다. 9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관계자는 “SW공학센터 사이트는 조만간 SW공학포털로 바꾸는 것을 준비하고 있다”며 “SW공학센터는 (NIPA 본원에) 통합됐지만 사업과 업무를 그대로 하고 있는 만큼 사이트는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SW공학센터는 지식경제부가 대한민국의 SW 생산성과 품질 혁신을 선도하고 SW공학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게 한다며 2009년 8월 설립해 그해 11월 개소했다. 당2016-11-09 16:10:03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