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내년 공공 SW 사업 3조6997억원으로 제자리걸음
2016-11-28강진규 기자
![2017년 공공 정보화 사업 수요예보 조사 결과 [자료: 미래창조과학부]](http://techm.kr/data/editor/1611/1981902326_1480318234.86862.jpg)
(2017년 공공 정보화 사업 수요예보 조사 결과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
내년 공공 정보화 사업에 먹구름이 낄 것으로 보인다. 내년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은 올해 대비 제자리 걸음할 것으로 보이며 하드웨어(HW) 사업은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등은 28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2017년 공공부문 SW, ICT 장비, 정보보호 수요예보(예정) 설명회’를 개최했다.
김은찬 NIPA 팀장은“조사 결과, 내년도 SW사업 예산이 총 3조6997억 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재정 조기 집행 추세에 따라 1분기 2조3408억 원(전체 SW사업 예산의 63.3%)이 집행될 예정이며 상반기로 봤을 때 3조2284억 원(87.3%)가 발주된다”고 말했다.

(김은찬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팀장이 28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7년 공공부문 SW, ICT 장비, 정보보호 수요예보(예정) 설명회’에서 내년도 공공부문 SW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내년 SW사업예산은 지난해, 올해와 별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측됐다. SW사업예산은 지난해 3조6910억 원이었으며, 올해는 이보다 0.2% 줄어 3조6827억 원이 됐다. 그리고 내년에 올해보다 0.5% 증가한 3조6997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SW사업 중 SW구축 사업은 내년 2조6200억 원으로 올해(2조4916억 원)보다 5.2%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상용SW 구매 예산은 내년 2237억 원으로 올해(2791억 원)보다 19.8%나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 HW 부문도 상황이 좋지 않다.
양기웅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팀장은 “공공부문의 장비구매 계획이 올해 9120억 원에서 내년 6.1% 감소한 8560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말했다.
올해 6757억 원인 컴퓨팅장비 분야 예산이 내년에는 6525억 원으로 줄어들고 네트워크 장비 부문에서는 올해 2191억 원에서 내년 1831억 원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방송장비는 올해 172억 원에서 내년 204억 원으로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공공 SW, HW 예산 수요예측 조사는 10월 4일부터 11월 11일까지 국가기관, 지자체, 고육기관, 공공기관 2179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2179개 중 2138개 기관((98.1%)이 회답했다.
이날 처음으로 수요조사가 이뤄진 내년도 정보보호 예산 예측치도 발표됐다.
안인회 한국인터넷진흥원 팀장은 “올해 처음 실시된 정보보호 분야 수요예측 조사 결과, 내년에 공공부문에서 2944억원의 구매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상반기 중 69.7% 구매가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도 정보보호 사업 중 HW 부문은 1405억 원(47.7%), SW 부문은 762억 원(25.9%), 서비스는 777억 원(26.4%)의 예산이 집행될 것으로 보인다.
정보보호 부문 조사는 10월 4일부터 26일까지 국가, 공공기관, 지자체, 교육기관 등 2599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돼 2286개 기관(89.3%)이 응답했다.
공공부문 SW 사업이 정체되고 HW 사업이 감소하면서 공공시장을 노리는 IT기업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더구나 업계에서는 내년에도 민간 경기 전망이 어두워 기업들이 IT투자를 줄일 것이라고 예측돼 IT기업들의 사업이 험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미래부와 기관들은 올해 12월 예산안이 확정된 후 수요예보 조사를 다시 실시해 내년 초 집계 내용을 한 차례 더 공개할 예정이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내년 공공 SW 사업 3조6997억원으로 제자리걸음(2017년 공공 정보화 사업 수요예보 조사 결과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내년 공공 정보화 사업에 먹구름이 낄 것으로 보인다. 내년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은 올해 대비 제자리 걸음할 것으로 보이며 하드웨어(HW) 사업은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등은 28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2017년 공공부문 SW, ICT 장비, 정보보호 수요예보(예정) 설명회’를 개최했다. 김은찬 NIPA 팀장은“조사 결과, 내년도 SW사업 예산이 총 3조6997억 원이2016-11-28 17:10:01강진규 기자
-
감정을 3D프린터로…AI와 함께 만드는 예술인도 작가 하싯 아그라왈의 작품 IBM 왓슨과 구글 마젠타가 그리는 예술은 어떤 모습일까.아트센터 나비가 내년 1월 20일까지 ‘아직도 인간이 필요한 이유:AI와 휴머니티’전을 연다. 이 전시는 창의성, 직관 등 인간의 고유성(Humanity)에 대해 질문하고, 기술 발전에 따른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재조명한다. 국내·외 아티스트, 프로그래머, 디자이너 등 다양한 창작자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작업한 15점의 작품이 전시된다.특히2016-11-28 11:10:01마송은 기자
-
"교사는 단지 학생의 생각을 이끌어낼 뿐이죠."(서울 계성초등학교의 스마트 교육을 주도하고 있는 조기성 선생님. 사진=성혜련)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계성초등학교는 학교를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학교 내부 시설을 실감나게 둘러 볼 수 있다. 이 학교는 학교 시설을 가상현실(VR)로 촬영해 10월부터 홈페이지에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360도로 움직이는 영상을 통해 학교 내부 시설을 생생하게 볼 수 있어 학부모와 학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VR 제작을 기획한 조기성 선생님을 계성초등학교에서 만났다. 그는2016-11-28 08:40:02마송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