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51개 기관 묶는 국가융합망 내달 사업 시작...내년 1단계 구축 착수
2016-11-28강진규 기자
![국가융합망 개념도 [자료: 행정자치부]](http://techm.kr/data/editor/1611/1981902326_1480321215.57692.jpg)
(국가융합망 개념도 [자료: 행정자치부]) |
정부 51개 기관의 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하는 국가융합망 사업이 이르면 다음 달 시작된다. 내년 상반기 국가융합망 설계작업이 진행되고 하반기부터 1단계 구축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28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행정자치부 국가융합망 구축추진단이 다음 달 국가융합망 구축, 운영 방안을 마련할 사업자를 선정한다.
선정되는 사업자는 6개월 간 국가통신망 현황을 분석하고 국가융합망 설계와 운영방안을 마련한다.
행정자치부는 행정기관 간 연계를 위해 국가정보통신망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정부부처, 소속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등 750여개 기관이 국가정보통신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51개 정부 부처들은 본부와 지방청, 일선관서를 연결하기 위해 통신사 회선을 임차해 별도로 개별통신망을 운영하고 있다. 정부는 개별통신망 사용에 따른 비용과 효율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통신망을 통합하기로 했다.
정부는 앞서 지난 5월 제18차 재정전략협의회를 열고 현재 각 정부 부처별로 운영하고 있는 개별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해 국가융합망을 구축하는 방안을 의결했다. 이어 10월 7일 행정자치부는 국무총리 훈령으로 추진단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고 행자부 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국가융합망 구축추진단을 발족했다.
정부는 국가융합망 구축으로 2020년부터 통신망 운영비를 절반 수준으로 줄여 2026년까지 5000억 원의 예산을 절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달 선정되는 사업자는 앞으로 51개 부처 정보통신망 및 국가통신망 현황을 조사하게 된다. 그리고 현황을 바탕으로 국가융합망과 지선 및 기관 통신망을 설계하고 망 관리, 보안 환경도 설계한다. 또 망 관리시스템, 보안 체계도 만들게 된다. 이와 함께 2019년까지 3단계의 국가융합망 단계별 이행 로드맵을 수립하고 단계별 운영 조직 구성과 소요인력 분석작업도 진행한다. 이에 따라 내년 상반기 중 국가융합망의 구체적인 방향성이 확정될 예정이다.
![국가융합망 단계별 참여 기관 [자료: 행정자치부]](http://techm.kr/data/editor/1611/1981902326_1480321294.36819.jpg)
(국가융합망 단계별 참여 기관 [자료: 행정자치부]) |
내년 상반기에 설계가 끝나면 내년 하반기 중 1단계 통합 작업이 추진된다. 대통령경호실, 국회, 헌법재판소,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기획재정부, 통일부, 인사혁신처,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법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국가인권위원회, 금융위, 원자력안전위원회, 문화재청, 외교부, 행복청, 대통령비서실, 방송통신위원회, 여성가족부, 방사청 등 29개 기관이 대상이다.
2018년에는 교육부, 행정자치부, 해양수산부, 국가보훈처, 공정위, 통계청, 병무청, 농진청, 산림청, 중기청, 국민안전처, 감사원 등 12개 기관의 통신망이 통합된다. 2019년에는 중앙선관위,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대법원, 특허청, 기상청, 대검찰청, 미래부, 법무부 등 10개 기관이 통합될 예정이다.
국가융합망 구축추진단 관계자는 “아직까지 국가융합망 구축을 위한 세부 일정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며 “조만간 사업자를 선정해 논의를 통해 일정을 결정할 예정으로 1~2달 이내에 내용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미래부 “공공SW사업 공정한 생태계 조성해야”(곽병진 미래부 SW산업과장이 30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공공SW사업 발주·관리 선진화 컨퍼런스’에서 제도 개편 내용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공공소프트웨어(SW)사업의 발주·관리 정책이 개편된다. SW기술자 경력관리 및 역량인정체계 개편과 개발 사업 투입 인력 요청 제한, 모니터링 항목 개편을 주요 골자로 한다. 곽병진 미래창조과학부 SW산업과장은 30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공공SW사업 발주·관리 선진화 컨퍼런스’에서 제도 개편2016-12-01 02:40:02주다은 인턴기자
-
티맥스소프트, 핀란드 사회보장보험공단에 오픈프레임 수출티맥스소프트(대표 장인수)는 최근 핀란드의 ‘사회보장보험공단(Kela)’에 메인프레임 리호스팅 솔루션인 ‘오픈프레임(OpenFrame)’ 수출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오픈프레임은 메인프레임에서 코볼(COBOL), PL/1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된 각종 프로그램을 개방형 환경에서도 코드 수정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며, 메인프레임에서 축적해 온 데이터를 마이그레이션(전환) 작업을 통해 변함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티맥스소프트가 체결한 이번 계약은 총 25억 원 규모다. 티맥스소프트2016-11-30 18:10:23강진규 기자
-
19조 원 오픈소스 시장 노리는 MS(최주열 한국MS 이사가 30일 서울 종로구 한국MS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지난 1년동안 MS의 오픈소스 전략과 성과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19조 원에 달하는 오픈소스 시장의 규모를 확인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이 시장에서 고객을 만들고 있습니다. 스스로 40년간 지킨 정체성을 바꾼 이유입니다." 최주열 한국MS 오픈소스 전략 총괄 이사는 MS가 오픈소스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한 이유로 거대한2016-11-30 18:10:17도강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