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IT 의사결정권자 86% 데이터 쌓아두고 있다”
2016-12-07강진규 기자

국내 IT 의사결정권자의 86%가 데이터와 디지털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 쌓아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리타스코리아(대표 조원영)는 7일 데이터 저장 행태를 분석한 ‘데이터 적체 현황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베리타스에 따르면, 조사 결과 국내 IT 의사결정권자의 86%가 스스로를 데이터와 디지털 파일을 삭제하지 못하고 쌓아두는 이른바 ‘데이터 호더(Data Hoarder)’라고 답해 무분별하게 데이터가 저장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IT 의사결정권자들은 디지털 파일을 쌓아두고 있는데, 본인이 생성한 데이터의 56%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적체 습관이 기업 전반에 퍼져 있는 반면, 49%의 국내 사무직 근로자들은 무분별하게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호더가 일정에 맞춰 프로젝트를 수행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또 대다수의 국내 IT 의사결정권자들은 저장해둔 데이터 규모와 양에 압도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7%의 국내 IT 의사결정권자는 쌓아둔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많은 업무 시간을 소요하고 있으며 69%의 국내 사무직 근로자는 오래된 디지털 파일이 너무 많아 정리 및 삭제하는 일을 포기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절반이 넘는 IT 의사결정권자(53%)는 직원들이 향후 다시 데이터를 참조할 일이 생기는 것을 걱정해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들었다고 답했다.
국내 IT 의사결정권자의 89%는 기업이 저장하는 데이터 양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 침해 사고 발생 시 대응 시간이 증가할 것이라고 답했다. 특히 한국 응답자 중 96%는 기업에 해가 될 수 있는 데이터를 개인 또는 회사가 소유한 컴퓨터나 기기에 저장하고 있다고 답했다. 유해한 데이터에는 암호화하지 않은 개인정보나 회사 기밀, 이직용 입사지원서, 직원들 간의 부적절한 메시지 등이 포함됐다.
조원영 베리타스코리아 대표는 “데이터 적체 습관은 워크플로를 느리게 하고 서버 공간을 낭비하며 기밀 데이터가 유출되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기업이 조직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데이터 관리 정책 수립 및 기술을 도입해 급증하는 데이터와 무분별한 데이터 저장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페블 인수로 돌파구 찾는 핏빗, 성공할까(페블의 스마트 워치) 핏빗이 페블을 인수했다. 웨어러블 기기 업체 간의 합병이다. 핏빗은 7일(현지시각) 페블로부터 소프트웨어와 펌웨어 개발과 관련된 인력, 지적재산권 등의 자산을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이번 인수에서 하드웨어는 제외됐다. 인수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외신에서는 약 4000만 달러로 추정했다. 인수 거래는 하루 전인 6일 완료됐다. 이번 합병에서 주목받는 부분은 두 가지다. 한 때 주목받는 웨어러블 기기 대표주자였던 페블이 단돈 4000만 달러(약 450억 원)에 팔린 점, 인2016-12-08 17:40:21도강호 기자
-
사운들리-롯데시네마, 극장 영화 예고 보면 예매권 쏜다(사운들리는 롯데시네마와 함께 영화 예고를 보면 영화 할인 예매권을 제공하는 캠페인을 실시한다.) 음파통신기술 스타트업 사운들리가 8일 롯데시네마와 함께 관객에게 영화 할인 예매권을 전달하는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관객들은 롯데시네마에서 신작 영화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출연 배우의 나레이션에 따라 롯데시네마 앱을 실행하고 흔들면 영화 할인 예매권을 받을 수 있다.사운들리는 이번 캠페인에 음파통신기술을 제공2016-12-08 16:40:19도강호 기자
-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ICT 업계에 부정적”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이 ICT 업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에 따른 ICT분야 주요 전망과 시사점’에 관한 이슈보고서를 8일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ICT에 대한 트럼프의 정책적 부재 상황과 자국 이익 극대화를 위해 제시된 정책들이 미국 내 ICT분야에 긍정적이지 못한 영향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선 ICT에 대한 트럼프의 불확실한 기조로 관련 업계에서는 비판적 입장 표명과 함께 구체적인 정책을 제시할2016-12-08 16:40:16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