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신원 미상 해커, 전자부품연구원 등 해킹 시도
신원 미상의 해커들이 전자부품연구원 등을 해킹해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해커들은 실제 사이버공격 시도를 한 것으로 알려져 연말을 앞두고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22일 정부 관계자들과 보안 업계에 따르면, 스스로를 룰즈시큐리티 한국 지사를 칭하는 신원 미상의 해커들이 전자부품연구원 서버를 해킹했으며 12월 25일 크리스마스를 전후해 웹메일 데이터베이스(DB)를 공개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관계자는 “룰즈섹 코리아라는 해커들이 전자부품연구원 등을 해킹했다고 트위터 등을 통해 주장하는 것을 파악했다”며 “이에 해당 기관들에 내용을 알리고 사실 여부를 확인하도록 했다. 또 만약의 경우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11년 소니와 미국 방송사, 미국 정부 등을 해킹한 해커그룹이 룰즈시큐리티(약칭 룰즈섹)라고 지칭해 유명해졌다. 이번 해커들은 자신들이 룰즈섹코리아, 룰즈섹 한국팀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해커들이 올린 트위터 모습) |
해커들은 트위터를 통해 지난 17일 “전자부품연구원이 전자 부품 연구를 하느라 서버 결함을 찾지 못했나보다”라며 해킹을 암시했다. 이후 19일 다시 트위터로 크리스마스를 맞아 전자부품연구원 웹메일 DB와 로그 기록을 공개하겠다고 주장했다. 또 20일에도 전자부품연구원 웹메일 DB 공개가 3일 남았다고 다시 경고했다.
이들은 실제 사이버공격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자부품연구원 관계자는 “최근 연구원의 웹메일 서버에 대한 사이버공격 시도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현재 피해가 없는 것을 확인했다. 만약을 대비해 보안을 강화하고 상황을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자부품연구원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전자IT 분야 전문생산연구기관으로 1991년 설립됐다. 전자부품연구원은 이동통신, 반도체, 정밀기계, 전자부품 등 분야의 연구를 진행해왔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해 자율주행 솔루션,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지능형 에너지 시스템, 플렉서블 디바이스, 스마트 로봇, 스마트 전자소재, 실감미디어 서비스, 지능형 휴먼케어 시스템 등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만약 전자부품연구원이 해킹을 당할 경우 차세대 기술 정보가 유출되고 연구에 차질이 있을 수도 있다.
해커들은 전자부품연구원뿐 아니라 다른 기업, 기관들에 대해서도 해킹을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KISA 관계자는 “이번 해커들은 전자부품연구원뿐 아니라 다른 몇 곳에 대해서도 해킹을 주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커들은 인력 컨설팅 사이트를 해킹해 개인정보를 빼냈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다른 사이트들을 공격하고 해킹에 성공할 경우 이를 추가로 공개할 가능성도 있다. 이와 함께 해커들은 자신들이 북한 김일성학교(김일성종합대학 추정), 고려항공 등 북한 사이트도 해킹할 수 있다고 주장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이들이 북한 사이트를 공격할 경우 북한이 이에 반발해 한국 사이트들을 공격을 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연말, 연초 각 기관과 기업들이 사이버보안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이슈 브리핑] IT·완성차 업계, 자율주행차 새판짜기 본격화지난 19일(현재시간) 알파벳의 자율주행차 사업 자회사 ‘웨이모’가 새로운 완전 자율주행차를 공개했다. 알파벳이 자율주행차 사업을 위한 웨이모 설립을 발표한지 6일만이다. 웨이모는 피아트 크라이슬러와 협력해 완전 자율주행차 100대를 제작했다. 웨이모는 이 차량을 이용해 완전 자율주행차에 대한 반응을 살필 계획이다.웨이모가 공개한 퍼시피카 하이브리드 자율주행차혼다도 웨이모와 협력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2016-12-26 05:40:04도강호 기자
-
[이슈 브리핑] 유통업계, AI로 고객에게 한 발 더 가까이(지난 21일 롯데그룹이 IBM의 인공지능 왓슨을 도입해 유통 서비스의 혁신을 이뤄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 뉴스1]) 국내 유통기업들이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혁신에 나서고 있다.롯데그룹은 지난 21일 한국 IBM과 업무협약을 맺고, 클라우드 기반 인지 컴퓨팅 기술인 '왓슨' 솔루션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롯데그룹은 왓슨의 고객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객 맞춤 상품 및 전문가 조언 등의 서비스를2016-12-26 05:40:01마송은 기자
-
연결의 완성은 ‘생활 플랫폼’[KEY POINT]글로벌 ICT 기업들이 스마트홈 시장의 주도권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기업은 찾기 어렵다. 스마트홈 플랫폼의 역할이 디바이스 연결과 기능 제어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서비스를 연결하는 서비스 지향형 플랫폼 사업자의 출연이 절실하다. 즉, 스마트 디바이스를 PC나 스마트폰처럼 기존 비즈니스를 활성화하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스마트홈은 사물인터넷(IoT)과 관련해 가장 먼저 시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되는 분2016-12-25 10:10:01김학용 순천향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