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미래부, 국가 안전진단 시 SW안전성 집중 점검
올해 국가 안전진단의 일환으로 교통, 항공, 에너지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에서 사용 중인 소프트웨어(SW) 안전성에 대한 집중 점검이 실시된다.
17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는 2월 6일부터 3월 31일까지 실시되는 ‘2017년 국가 안전대진단’의 중점 점검대상으로 방송·통신시설, 산하기관 건물 및 다중이용시설과 함께 기반시설 SW를 선정했다.
국가 안전대진단은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국민안전처가 출범하면서 2015년부터 매년 범정부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다. 미래부는 통신, 방송, 연구개발시설과 산하기관이 관리하는 건물,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점검해왔다.
미래부는 2015년 안전대진단에서는 SW안전성을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다. 미래부는 2016년 안전대진단에서 처음으로 SW안전성 진단을 공식적으로 실시했다. 그리고 올해 중점 진단 대상으로 기반시설 SW를 꼽았다. 이는 SW 오류, 결함이나 해킹 등으로 항공, 철도, 원자력, 통신, 방송 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미래부의 ‘2017년 국가 안전대진단 추진계획’에 따르면, 미래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을 중심으로 세부 계획을 마련해 교통, 항공, 에너지 등 기반시설에 대한 SW안전성 진단을 실시할 예정이다.
곽병진 미래부 SW산업과장은 “세부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며 “SW가 들어가는 기반시설 운영기관 등과 협의해 점검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미래부는 진단 대상 시스템 운영 중 발생 가능한 관제서버 다운, 통신망 중단, 과부하로 인한 시스템 중지 등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 위험 회피를 위한 SW기능 점검을 실시할 방침이다. 또 로그분석, 성능측정도구를 활용한 가용성 진단, 시스템 모니터링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운영체제(OS), 네트워크 등을 진단하고 SW테스팅 기법을 적용해 SW품질과 결함 여부도 진단할 예정이다.
미래부는 또 안전대진단으로 인화, 폭발성 화학물질, 방사능 물질, 세균 및 미생물, 시약 등을 취급하는 시설 등 1346개 연구실을 점검한다. KT, LG유플러스, SK텔레콤, CJ헬로비전, 삼성SDS, 딜라이트, 티브로드 등의 통신, 네트워크 시설도 점검할 예정이다. 전국 유선 및 위성방송, IPTV방송국 방송 전송시설과 미래부 소속, 산하 공공기관 건축물 및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점검도 진행항 방침이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미래부, 국가 안전진단 시 SW안전성 집중 점검올해국가 안전진단의 일환으로 교통, 항공, 에너지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에서 사용 중인 소프트웨어(SW) 안전성에 대한 집중 점검이 실시된다.17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는 2월 6일부터 3월 31일까지 실시되는 ‘2017년 국가 안전대진단’의 중점 점검대상으로 방송·통신시설, 산하기관 건물 및 다중이용시설과 함께 기반시설 SW를 선정했다.국가 안전대진단은 2014년 세월호 참2017-01-17 10:50:39강진규 기자
-
비트루브, 중국 창업경진대회 우승에듀테크 스타트업 비트루브가 중국에서 열린 창업경진대회 ‘지성미래창신대새(智?未??新大?)’에서 우승했다고 16일 밝혔다.13일 중국 중관촌창업대로 이노갤러리에서 열린 이 대회는 중관촌창업대로 주관운영사인 중관촌이노웨이와 인텔 차이나 액셀러레이터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대회에는 창업진흥원 글로벌 창업기업 육성사업을 통해 지원받은 한국 스타트업 4개사와 지난해 10월부터 인텔 차이나 액셀러레이터의 보육을 통해2017-01-16 11:39:49도강호 기자
-
[이슈 브리핑] 클라우드 확산 원년…공공 열리고 국내외 기업 격돌전 세계 IT 시장에 클라우드 서비스 바람이 불고 있다. 시장조사기업 IDC에 따르면, 전 세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규모는 2016년 965억 달러(약 115조3657억 원)에서 2020년 1950억 달러(약 233조1225억 원)로 성장할 전망이다.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IBM, 오라클, 세일즈포스닷컴 등 미국 IT기업들이 주도적으로 클라우드 확산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중국, 일본, 유럽에서도 클라우드 전환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미래창조과학2017-01-15 13:09:31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