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이통 3사 CEO, CES 총 출동 이유는?
(왼쪽부터) 박정호 SKT 사장, 황창규 KT 회장, 권영수 LGU+ 부회장.
[머니투데이방송 MTN 박소영 기자] 이통3사 CEO가 'CES 2017'에 총출동했다. 이들은 정체된 통신 산업 속에서 새로운 먹거리를 찾는 동시에, 여러 글로벌 기업들과 사업기회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5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박정호 SK텔레콤 사장과 황창규 KT 회장,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이 신사업 임원진들을 이끌고 CES 2017 참관에 나섰다. 지난해 황창규 KT 회장만 같은 행사에 참석한 것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다.
지난달 21일로 SK텔레콤에 둥지를 튼 박정호 사장은 첫 글로벌 행보로 CES행을 선택했다. 새로운 ICT 흐름을 파악하는 동시에, 임기 중 추진할 신사업 아이디어까지 얻을 수 있다는 전략이 자리한 것으로 보인다.
SKT측은 이번 박 사장의 CES 방문 키워드를 '생태계 확대'라고 전했다. SKT측 관계자는 "이제 갓 오셨기 때문에 구체적인 사업기회 등을 타진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것 같다"며 "다만 이번 CES 방문을 계기로 생태계를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고민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박 사장은 최진성 SK텔레콤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종합기술원장, 위의석 플랫폼사업부문장, 차인혁 사물인터넷(IoT)사업본부장 등 신사업 임원 10여명과 출국했다. 최진성 종합기술원장은 글로벌 장비제조사인 에릭슨, 자동차 제조사 BMW와 함께 5G·커넥티드 카 토론 세션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박 사장이 CES를 계기로 신사업 강화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SK C&C에서 IBM 왓슨 등 AI 협력을 주도적으로 전개하는 등 신사업에 관심이 많은 인물이기 때문. 때문에 인수합병을 포함한 다양한 글로벌 사업기회가 논의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황창규 KT 회장은 불참이었다가 갑자기 참관으로 입장을 선회했다. 글로벌 파트너들과 미팅이 잡혔기 때문인데, 공식적으로는 유엔 글로벌콤팩트(UNGC)·로웰 매캐덤 버라이즌 CEO와 회동을 가진다.
앞서 KT는 UNGC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방지를 위해 MOU를 체결한 바 있다. 버라이즌과는 지난해부터 5G 공동규격을 만들기 위해 협업 중이다.
KT측은 "이번 방문에서 가장 중점적인 키워드는 5G"라며 "CES에 등장하는 인공지능과 IoT, 커넥티드 카 등 모든 혁신 서비스엔 5G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교류가 활발하기 않겠느냐"고 설명했다.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도 주요 사업 부문 30명의 임직원과 CES를 찾았다. 특히 권 부회장은 IoT 제휴 등 구체적인 사업기회를 물색하기 위해 방문했다는 후문이다.
실제 권 부회장은 취임 이후부터 IoT, AI, 빅데이터 등 신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기존 IoT사업조직을 IoT부문으로 격상시키는 등 조직개편도 마친 상황.
LG유플러스 관계자는 "홈 IoT와 인공지능을 연계시키는 등 다양한 제휴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다만 구체적인 미팅 일정이나 상용화 시기를 말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
미래부, 국가 안전진단 시 SW안전성 집중 점검올해국가 안전진단의 일환으로 교통, 항공, 에너지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에서 사용 중인 소프트웨어(SW) 안전성에 대한 집중 점검이 실시된다.17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는 2월 6일부터 3월 31일까지 실시되는 ‘2017년 국가 안전대진단’의 중점 점검대상으로 방송·통신시설, 산하기관 건물 및 다중이용시설과 함께 기반시설 SW를 선정했다.국가 안전대진단은 2014년 세월호 참2017-01-17 10:50:39강진규 기자
-
비트루브, 중국 창업경진대회 우승에듀테크 스타트업 비트루브가 중국에서 열린 창업경진대회 ‘지성미래창신대새(智?未??新大?)’에서 우승했다고 16일 밝혔다.13일 중국 중관촌창업대로 이노갤러리에서 열린 이 대회는 중관촌창업대로 주관운영사인 중관촌이노웨이와 인텔 차이나 액셀러레이터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대회에는 창업진흥원 글로벌 창업기업 육성사업을 통해 지원받은 한국 스타트업 4개사와 지난해 10월부터 인텔 차이나 액셀러레이터의 보육을 통해2017-01-16 11:39:49도강호 기자
-
[이슈 브리핑] 클라우드 확산 원년…공공 열리고 국내외 기업 격돌전 세계 IT 시장에 클라우드 서비스 바람이 불고 있다. 시장조사기업 IDC에 따르면, 전 세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규모는 2016년 965억 달러(약 115조3657억 원)에서 2020년 1950억 달러(약 233조1225억 원)로 성장할 전망이다.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IBM, 오라클, 세일즈포스닷컴 등 미국 IT기업들이 주도적으로 클라우드 확산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중국, 일본, 유럽에서도 클라우드 전환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미래창조과학2017-01-15 13:09:31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