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ETRI, 차세대 홀로그램 기술 개발
상전이 물질로 3㎝ 크기 홀로그램 이미지 구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상전이 물질을 이용해 3㎝ 크기의 홀로그램 이미지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해당 연구 내용은 1월 24일자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게재됐다.
ETRI는 “상전이 물질을 이용, 초고해상도 픽셀을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홀로그램 개발에 성공했다”며 “향후 홀로그램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구현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홀로그램 영상은 액정 소자를 이용해 만들어진다. 하지만 액정 소자는 홀로그램 영상의 화질과 시야각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픽셀을 만들어내는데 한계가 있다.
연구진은 상전이 물질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상전이 물질은 조건에 따라 비정질 상태와 결정질 상태로 변화하며, 상태에 따라 투과율과 굴절률이 바뀐다. 연구진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로 연구되던 상전이 물질을 이용해 기존 액정에 비해 4분의 1 크기의 픽셀을 가진 홀로그램 영상을 만들었다.
해상도가 높아지면 보통의 LED 빛만으로도 홀로그램 영상을 뚜렷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시제품에서는 스마트폰의 LED 조명을 비추면 체크무늬 바탕에 ‘나노(NANO)’라는 녹색 글씨가 홀로그램 영상으로 띄워진다. 또 상전이 물질의 두께를 조절해 다양한 색상도 표현할 수 있다.
ETRI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를 위한 공간 광변조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화두이자 걸림돌 중 하나인 1㎛ 이하의 초소형 픽셀 구현이 가능함을 밝힌 셈”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연구진은 향후 상전이 물질을 기반으로 2년 내 패널 형태로 제작해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동영상 구현과 플렉시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황치선 ETRI 실감디스플레이연구그룹장은 “현 수준의 연구결과는 상전이 물질을 이용, 정지상 홀로그램 이미지를 구현하는 수준이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차세대 광 변조장치를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논문의 제1저자는 ETRI 연구원 출신인 이승렬 경북대 교수이며, ETRI에서는 김용해 박사, 황치선 그룹장 등이 참여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기가코리아사업단 지원으로 진행됐다.
[테크M = 도강호 기자(gangdogi@techm.kr)]
-
안랩, 지난해 매출 1429억원, 영업이익 152억원 달성안랩(대표 권치중)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2016년 매출1429억 원, 영업이익 152억 원, 당기 순이익 146억 원을 기록했다고 6일 잠정 실적을 공시했다.이는 전년 대비 매출액 84억 원(6%), 영업이익 33억 원(27%), 당기순이익은 27억 원(23%)증가한 수치다.별도기준으로는 매출액 1408억 원, 영업이익 151억 원, 당기 순이익 144억 원을 기록했다.안랩은 자사의 보안 소프트웨어(SW) 및 네트워크 보안 제품, 보안 서비스(관제 및 컨설팅)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2017-02-06 10:34:02강진규 기자
-
한컴, 지난해 매출 1000억 원 돌파한글과컴퓨터(대표 김상철, 이원필)는 지난해 신제품 ‘한컴오피스 NEO’ 판매 호조와 해외 매출 확대에 힘입어 창립 이래 처음으로연매출1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6일 밝혔다.한컴은 연결재무재표기준 2016년 매출액 1012억 원, 영업이익 290억 원을 달성했다고 공시했다.이는 전년 대비 각각 19.2%,4% 증가한 수치다.한컴은 지난해 1월 ‘한컴오피스 NEO’를 출시한 바 있다. 또 한컴은 지난해 경기도교육청 180만 사용자의 통합 오피스 소프트웨어2017-02-06 10:24:44강진규 기자
-
[이슈 브리핑] 1000만 육박 '포켓몬고' 열풍 어디까지 갈까증강현실(AR)과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포켓몬스터 캐릭터를 잡고 육성하는 '포켓몬고'가 한국에 상륙했다. 일각의 부정적인 전망과 달리 포켓몬고는 다운로드 1000만 건을 바라볼 정도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포켓몬고는 거리의 풍경을 바꾸고 있으며 화제를 불러오고 있다. 포켓몬고가 화제가 되면서 사고 가능성, 악성코드 감염 등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다. 제2의 포켓몬고를 만들려는 시도도 이뤄지고 있다. 포켓몬고가 언제까지 흥행을 이어갈지 주목된다.현실과 결합한 캐릭터의 힘닌텐도2017-02-05 01:30:45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