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스마트홈 핵심 허브 유력 후보 ‘아몬드3’
2017년 CES의 중심은 단연 아마존의 ‘알렉사(Alexa)’였다. ‘Alexa Everywhere’라고 할 만큼 많은 알렉사 연동 제품이 전시됐다. 그 중 ‘아몬드3(Almond3, www.securifi.com/rg)’가 스마트홈의 핵심 허브가 될 것으로 예측돼 소개한다.
아몬드3는 와이파이(WiFi) 무선공유기(AP)에 홈허브 기능을 결합한 기기로, 홈 기기와 홈 네트워크를 음성(Alexa)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기이다. 게다가 아몬드3는 터치 디스플레이가 있어 AP 단말 자체 설정이 간편하다.
점점 댁내 가전기기가 무선화되고 있는 가운데 아몬드는 댁내 무선화의 중심에 있는 홈 와이파이 AP를 홈허브로 선택해 댁내 무선인터넷을 사용자 편의와 상황에 맞춰 효율적으로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아몬드3는 아주 세밀한 맞춤형 제어를 위해 IFTTT(IF-This-Then-That)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아빠가 퇴근하면 서재에 불이 켜지고 실내 온도를 25도로 올리며, 클래식 음악을 재생하는 등 개인별 조건에 맞게 댁내 환경을 세밀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파티’라는 룰(Rule)을 만들고 그 룰을 ‘거실의 A 조명만 키고 음악을 틈’이라고 지정하면 파티를 할 때 ‘파티’를 선택하기만 하면 내가 미리 지정해둔 설정대로 전체 기기와 단말이 작동한다.
또 아몬드3는 와이파이 AP이기 때문에 단말별 사용시간을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에 아이가 컴퓨터를 1시간만 하도록, 또는 IPTV를 3시 30분부터 5시 30분까지 2시간만 보도록 설정하는 등 단말별 시간에 따라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어 학부모에게 매우 유용하다.
두 번째는 이미지를 텍스화하는 모바일 앱 ‘에이폴리(Aipoly, www.aipoly.com)’를 소개한다. 에이폴리는 스마트폰 카메라로 보이는 것을 텍스트로 즉각 안내한다. 예를 들어 꽃을 보여줬을 때 ‘Flower(꽃)’이라고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Dragon’s mouth’라고 꽃 명칭까지 알려준다. 또 색을 보여주면 어떤 색인지도 알려준다.
신경망(Neural Network)으로 인공지능 기능이 탑재돼 사물 식별력, 사물에 대한 지식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가까운 미래에 사물간의 관계(상황)까지 설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한다.
예를 들면 ‘가로등 뒤 모퉁이가 있다’는 것까지 이미지를 텍스트화 할 예정이다. 그렇게 되면 시각장애인도 시각정보 대신 텍스트로 실시간 정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물 식별력과 사물에 대한 지식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사람의 눈보다 빠르고 많은 정보를 알려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 기술에 주목한 이유는 빠른 속도이다. 클라우드나 인터넷 서버 연결로 정보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앱 자체 인식으로 식별(텍스트화)하기 때문에 클라우드보다 10배 빠른 0.002초 만에 인식이 가능하다.
현재 애플 앱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다.
<본 기사는 테크M 제46호(2017년 2월) 기사입니다>
-
스마트홈 핵심 허브 유력 후보 ‘아몬드3’2017년 CES의 중심은 단연 아마존의 ‘알렉사(Alexa)’였다. ‘Alexa Everywhere’라고 할 만큼 많은 알렉사 연동 제품이 전시됐다. 그 중 ‘아몬드3(Almond3, www.securifi.com/rg)’가 스마트홈의 핵심 허브가 될 것으로 예측돼 소개한다. 아몬드3는 와이파이(WiFi) 무선공유기(AP)에 홈허브 기능을 결합한 기기로, 홈 기기와 홈 네트워크를 음성(Alexa)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기이다. 게다가 아몬드3는 터치 디스플레2017-02-09 11:43:26백승화 KT 융합기술원 기술전략팀 책임연구원
-
스마트워크 효과 불구 도입은 여전히 저조스마트워크를 적용한 기업들은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여전히 스마트워크를 도입한 기업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8일 국내 민간분야 스마트워크 인지도와 이용 현황을 조사한 ‘2016년 스마트워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이번 조사 결과, 스마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는 기업의 관리자 98.5%가 스마트워크 운영 효과가 있다고 응답했다. 구체적으로 업무 효율성 증진, 업무 연속성 향상 등에서 효과가 크다고 답했다.스마트워크 이용 경험2017-02-09 08:01:59강동식 기자
-
미래부, 블록체인 실증사업 추진…IoT 적용방안 모색블록체인 기반의 신규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블록체인 시범사업이 추진된다.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8일 서울 중구 한국정보화진흥원 서울사무소에서 '2017 ICT융합사업 설명회'를 열고, 스마트홈, 헬스케어·웰니스, 스마트카톡(Car-Talk), 사물인터넷(IoT) 등 올해 추진하는 ICT융합 사업에 대한 설명이 이뤄졌다.특히 이날 설명회에서 미래부에서 처음 추진하는 블록체인 시범사업이 소개됐다. 블록체인을 IoT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IoT 융합2017-02-08 17:48:43도강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