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테크&가젯] 마지막 1마일을 위한 스쿠터

2017-02-09이석원 테크홀릭 기자

 

자동차 업계나 유통, 물류 업계에서 라스트 마일(last mile)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목적지까지 도착 혹은 제품을 전달하기 위한 마지막 블록이라고 할 수 있다. 자동차 제조사가 자전거나 스쿠터 같은 제품을 내놓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퀴글’은 라스트 마일에 잘 어울릴 만한 자전거다. 접은 상태에선 크기가 550×400×250㎜, 무게도 8.5㎏에 불과한 접이식 자전거인 것. 접은 상태에서 미니 바퀴를 더해 이동성도 확보하고 있다. 비행기 수하물이나 가방에 넣을 수 있을 만큼 작다. 본체를 접는 데 걸리는 시간은 10초가량이면 충분하다.


이 제품은 이런 높은 휴대성을 앞세워 시티 커뮤터를 표방한다. 전철이나 버스를 타고 혹은 우버 같은 차량 공유 서비스를 이용한 뒤 최종 목적지까지 라스트 마일을 이동할 때에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


‘아이오닉’ 스쿠터는 현대자동차가 선보인 접이식 전동 스쿠터다. 이 제품은 자동차 사용자를 위한 라스트 마일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아이오닉 스쿠터는 이를 위해 한 손으로 간편하게  접을 수 있다. 옆구리에 낄 수 있을 만큼 작지만 다시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손잡이 부분을 일으켜 핸들을 펼치면 어엿한 전동 스쿠터로 변신한다.


이 제품은 핸들 가운데 부위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곁들였다. 물론 콘셉트 모델인 만큼 자세한 사양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차량 운전석에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거나 트렁크가 아닌 도어 부분에 설치해 충전할 수 있는 스타일을 제안하고 있다.

 

Kwiggle / www.hyundainews.com / 미정

 

[POINT]

앞서 밝혔듯 유통이나 물류 업계에서도 라스트 마일은 이미 미래 전략의 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폭스바겐은 이미 2015년 저렴한 접이식 삼륜 전동 스쿠터를 개발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BMW도 같은 해 전동 스쿠터 콘셉트 모델인 미니 시티서퍼를 발표하기도 했다. 지난해 푸조는 스쿠터 제조사인 마이크로와 공동으로 킥스케이터를 닮은 전동 스케이트보드를 발표했다.

이들 제품은 모두 간편하게 접거나 아예 크기를 작게 만들어 휴대나 보관성을 높여 자동차를 보조할 수 있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자동차 업계가 라스트 마일에 주목하는 게 심심풀이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포드 같은 경우 지난해 전기 자동차 바퀴를 빼서 전동 사이클로 이용할 수 있는 특허를 개발했다. 이보다 한 해 먼저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인 ‘모드:플렉스’ 같은 모델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왜 라스트 마일에 자동차 기업은 주목하는가. 포드 같은 기업의 움직임에 힌트가 있어 보인다. 포드는 오는 2021년까지 완전 자율주행 시스템을 완성해 카셰어링, 차량 공유 서비스와 제휴를 맺어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런 점에서 서비스화 될 가능성이 있는 자동차 외에 다른 이동수단을 포괄하는 모바일 컴퍼니로서의 전환을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 자전거나 스쿠터 같은 보조이동수단에 대한 관심은 여러 이동수단을 결합하는 복합 이동 솔루션으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이다.

 

 

 <본 기사는 테크M 제46호(2017년 2월) 기사입니다>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