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미국 연방정부 사이버 사고 대응 5대 원칙은?
미 국토안보부 ‘국가 사이버사고 대응 계획' 최종판 발표
미국 정부가 ‘국가 사이버 사고 대응계획(NCIRP)’을 확정했다. 미국 정부는 이 계획에서 사이버사고 시 책임, 역할, 대응 등에 관한 5대 원칙을 수립했다.
28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보호나라 홈페이지에 올린 최신 동향에 따르면 제이 존스 미국 국토안보부(DHS) 장관이 중대한 사이버 사고 발생 시 연방 차원의 대처를 위한 국가 사이버 사고 대응계획 최종판을 발표했다.
KISA는 미국 정부가 계획 최종판에서 중대한 사이버 사고 발생 시 연방정부, 주 및 지방 정부, 민간, 국제 파트너 역할 조정을 위한 전략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최종판에는 주요 기반시설 보호 관련 내용이 대폭 보강됐고 전체적으로 내용, 순서, 배열, 설명이 변경, 추가됐다. 사이버 위협을 국가 중대 위협으로 보고 사이버 사고 발생 시 체계적이고 신속한 대응을 위해 이번 계획을 마련한 것이다.
계획에는 미국 연방정부의 사이버 사고 대응활동에 대한 5가지 원칙이 제시됐다. 5가지 원칙은 ‘책임공유’, ‘위험기반 대응’, ‘피해측 존중’, ‘정부의 단합된 노력’, ‘복원 및 복구 지원’ 등이다.
국토안보부는 개인, 민간, 정부가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하고 피해를 관리할 공동책임이 있으며 역할을 공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책임공유).
또 연방정부와 주요 기반시설 관리자가 위험평가를 토대로 사이버 사고 대응활동을 수행해야 한다고 밝혔다(위험 기반 대응).
법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피해측의 프라이버시와 의견을 존중, 보호해야 하며(피해측 존중) 연방정부의 모든 조직이 사이버 사고 대응에 협조하는 것은 물론 필요한 경우 주정부, 지방정부, 국제 파트너 등도 참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정부의 단합된 노력).
이외에 처음 사건을 인지한 연방기관은 다른 유관기관들에게 신속해 내용을 전달해 공동 대응 할 것도 주문했다. 사이버 사고 대응에 필요한 경우 모든 미국 정부 부처의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연방정부의 사이버 사고 대응활동이 피해측의 복원 및 복구를 중심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복구 복원 지원).
하지만 국토안보부는 대응 범위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미국 연방정부는 연방정부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사이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연방정부 차원에서 대응하고 민간의 경우는 비개입을 원칙으로 정했다.
이는 사이버 사고 대응을 빌미로 민간 영역에 정부가 개입하는 것을 막으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대신 국토안보부는 직접적으로 민간 부문 사이버 사고에 역할을 하지는 않지만 상황을 인식하고 해당 민간 기업, 단체 등과 협력하고 지원하도록 한다는 입장이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문재인 전 대표 “ICT, 금지된 것 빼고 다 할 수 있게 하겠다”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선 공약으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ICT 분야에 규제를 네거티브 방식으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문 전 대표는 ICT 산업 육성을 국가, 산업 대개조 전략 차원에서 진행하겠다며 변화를 강조했다.문재인 전 대표는 2일 오후 서울 구로 지밸리컨벤션에서 열린 ‘ICT 현장 리더들과의 대화’ 간담회에 참석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중소벤처기업이 성장동력이 되도록 만들겠다”며 &ld2017-03-02 16:16:28강진규 기자
-
[AI기획]경쟁 통해 배우는 인공지능 기술 GAN머신러닝 기술 중에서도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은 어떤 기술일까.쉽게 말해 정답(label) 없이 데이터 자체에서 지식을 얻는 ‘비지도 학습’ 기술이다.그동안 머신러닝은 대부분 컴퓨터에 사물이 무엇인지 일일이 표시해주는 ‘지도학습’이었다.하지만 세상에는 정답이 없는 데이터가 훨신 더 많다. 때문에인간이 컴퓨터에게 정답을 알려주는 것은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결국, 인2017-03-02 14:42:13엄태웅 캐나다 워털루대 연구원
-
[추천도서] 위기와 기회가 교차하는 골든타임현재 우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고 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아는 이는 많지 않다.자동차가 마차를 대체하기 시작했던 산업혁명 당시 마부들은 자동차가 일자리를 빼앗아 갈 것으로 생각했다. 영국의 마부 조합은 자동차가 도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자동차 기술자들에게 압력을 행사했다.하지만 결국 인간은 기술의 발전을 막지 못했다.오늘날 자동차는 현대인의 필수품이 됐고, 영국의 자동차 기술자를 받아들인 독일은 자동차 강국이 됐다. 만약 영국이 시대의 흐름을 읽고 적절히2017-03-02 11:24:13신재희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