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비식별화된 개인정보, 얼마나 안전할까?
인터넷진흥원, 비식별 빅데이터 개인정보 위험성 분석 나서
빅데이터 활용과 관련해 개인정보의 식별 위험에 대한 분석이 진행된다. 그동안 제기돼온 문제인 온라인 정보들을 조합한 개인 식별 위험과 비식별 조치된 개인정보와 공개 정보를 조합한 위험성에 대한 확인 작업이 이뤄진다.
3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는 이 달 말부터 6월까지 ‘빅데이터 환경의 차등화 된 개인정보 보호 연구’를 진행한다.
그동안 시민단체와 보안 전문가들은 빅데이터 활용 시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문제를 지적해왔다. 온라인상 대규모 정보를 수집, 이용할 때 개인정보 침해의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또 빅데이터 활용 시 비식별 조치된 개인정보에 대한 문제도 제기돼 왔다.
한편에서는 개인을 확인할 수 있는 일부 정보를 삭제하거나 볼 수 없도록 비식별 조치를 하면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비식별가 완벽한 것이 아니며 공개된 정보들과 비식별 정보가 결합될 경우 식별 정보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빅데이터와 개인정보를 놓고 갑론을박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연구는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실제 위험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다.
KISA는 온라인상 접근이 용이한 외부 공개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의 위험성을 분석한다. 포털 사이트, 카페, 블로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자 게시글을 비롯해 인터넷 사이트에 공개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 분석해 어느 정도 개인식별의 위험과 악용 가능성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는 것이다.
또 KISA는 비식별 조치된 샘플 데이터와 외부 공개정보 연계에 따른 개인식별 위험도 분석한다. 비식별 조치된 데이터에 공개정보를 조합할 경우 실제 어느 정도 개인식별이 가능한지, 또 어떤 위험이 있는지 알아보겠다는 것이다.
이 분석에는 가명처리, 총계처리, 데이터 삭제, 데이터 범주화, 데이터 마스킹 등 비식별 방법이 연구된다. K-익명성의 취약점, 안정성도 분석 대상이다. 정부는 지난해 6월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가이드라인을 통해 비식별화 안전장치로 K-익명성 모델을 소개했다. K-익명성은 동일한 값을 가진 레코드를 K개 이상으로 해 특정 개인을 추론하기 어렵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와 함께 KISA는 개인정보를 식별하려는 의도를 경제적 이익, 악의성, 기타 목적 등으로 나눠 위험성을 분석하고 위험에 따른 경제적, 사회적 영향도 분석한다.
KISA 관계자는 “KISA가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며 “센터를 운영하고 비식별조치를 지원하는데 활용하기 위한 내부 자료로 쓰기 위해 시뮬레이션 등의 방식으로 연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로 분석된 내용은 정부의 빅데이터 정책과 비식별화 등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우려했던 문제가 실제로 드러날 경우 보완 조치가 이뤄져야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대로 문제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면 빅데이터 활성화 추진의 근거 자료가 될 수도 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조달청 “클라우드 최적화 된 조달체계 만든다”조달청이 클라우드 서비스 조달체계 만들기에 나섰다. 조달청은 법제도 개편, 계약 및 공급체계 마련 등 클라우드 서비스 조달을 위한 종합적인 확립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7일 조달청 관계자는 “공공에서 클라우드 도입을 늘리려는 논의가 있다.이를 위해서는 조달이 뒷받침돼야 하는데, 클라우드 서비스 조달은 기존 조달과는 다른 점들이 있다”며 “이에 3월 말부터 6개월 간 관련 연구를 진행한 후 올해 하반기 결과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조달체계 구축방안을 마련하려고2017-03-07 14:16:00강진규 기자
-
[ICT거버넌스 기획] 이름뿐 위원회...공무원 바람막이?미래창조과학부 소관 ‘창조경제혁신센터운영위원회’라는 게 있다.위원회의 설치 목적은 ‘정부·지방자치단체·민간간 협력을 통한 창조경제 실현 및 확산에 관한 사항을 심의·조정하기 위함’이다.최양희 미래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고,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비롯해 대통령비서실 정책조정 수석비서관, 경제 수석비서관, 미래전략 수석비서관이 당연직 위원으로 참여한다.이 위원회는 지난해 딱 한 번 회의를 열었다.최 장관이 2016년 10월 4일 서2017-03-07 13:59:18최현숙 기자
-
[테크&가젯] 굿잠 돕는 스마트 침대, 세척 필요 없는 주서기‘주서’는 콜드프레스 방식을 지원하는 주서기다. 콜드프레스는 저온 압착 방식을 말한다. 일회용 팩 같은 것에 압력을 가해 주스를 짜내기 때문에 관리가 쉽고 심지어 세척을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또 주서기에서 사용하던 원심분리처럼 열이 발생하지 않아 과일이나 야채 속에 있는 영양소를 파괴하지 않은 채 그대로 섭취할 수 있다.주서 역시 이런 1회용 팩을 본체에 끼운 다음 90초 정도만 기다리면 본체 안에서 8톤 압력을 가해 야채나 과일 속에 있는 수분을 모두 짜낸다.제조사 측 설명에 따르면2017-03-07 12:06:34이석원 테크홀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