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17개 시·도 교육청 개인정보 점검체계 내년까지 구축
교육부와 17개 시·도 교육청,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내년까지 개인정보 노출 점검체계를 구축한다. 지난해 4개 시스템을 구축한데 이어 올해 9개 교육청 시스템을 만들고 내년에 4개 교육청에도 시스템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14일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3개년 계획으로 17개 시·도교육청에 개인정보 노출 점검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4개 교육청에 자체 시스템 구축을 지원했는데, 올해에는 4개 교육청에 자체 시스템을 지원하고 5개 교육청은 교육학술정보원에 시스템을 구축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며 ”내년에 4개 교육청 시스템을 구축하면 계획이 완료된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교육부는 행정자치부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교육 분야 개인정보 노출 여부를 점검해왔다. 하지만 교육기관들과 관련 홈페이지가 워낙 많아 주기적인 점검보다는 상시점검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업계에 따르면, 교육 사이트 웹페이지만 3만개 이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교육기관 개인정보 노출도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9월 이종배 의원(자유한국당)은 2012년부터 2016년 8월까지 국내 교육기관 홈페이지에 노출된 개인정보가 총 20만6756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노출된 개인정보는 학생과 교직원의 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운전면허번호 등이다.
이에 교육부가 3개년 계획을 마련해 상시 점검체계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하반기에는 대구시교육청, 인천시교육청, 충청북도교육청, 경기도교육청이 각각 개인정보 노출점검 시스템을 구축했다.
교육부는 세종시교육청, 제주도교육청, 울산시교육청, 대전시교육청, 광주시교육청 등 5개 교육청의 개인정보 노출점검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예산 절감과 효율성을 고려해 교육학술정보원에서 시스템을 구축한 후 중소 교육청 5곳이 이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학술정보원 관계자는 “3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5개 교육청 개인정보 노출 점검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며 “올해 하반기까지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며 교육학술정보원이 구축뿐 아니라 운영도 담당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교육청은 올해와 내년 중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개인정보 노출 점검시스템은 교육청 웹페이지내의 개인정보 노출여부를 점검해 주는 것으로, 웹 콘텐츠, 첨부파일, 웹페이지 소스내 URL 및 파일명 등의 주민번호, 신용카드, 금융계좌번호, 휴대폰, 이메일 등 개인정보 항목을 진단해주는 것이다. 시스템이 구축되면 교육청과 교육학술정보원에서 수시로 개인정보 노출 여부를 점검하고 조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황승익 한국NFC 대표, “특색 살려야 진짜 간편 결제”“우리나라는 페이 서비스가 특색이 없습니다. 규제에 막혀 있다가 한꺼번에 허용됐기 때문입니다. 사실 새로운 방법도 금융위원회 가이드라인을 따른 것입니다.”황승익 한국NFC 대표는 우리나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문제점 가운데 하나로 똑같은 방식의 서비스를 지적했다. 차별화할 수 있는 부분이 없으니 서로 장벽을 만들고 할인을 제공하는 똑같은 마케팅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하지만 황 대표는 “현재는 과도기로 볼 수 있고 앞으로 규제가 더욱 완화되고 다른2017-03-21 11:11:20도강호 기자
-
[블록체인 기획]비용절감 효율화 앞세워 다양한 서비스 '쑥쑥'블록체인과 분산원장 기술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기술중 하나다. 이 기술을 적용하려는 시도는 다양하지만 크게 제도권과 비제도권 시장으로 나눠볼 수 있다.제도권 시장에서는 블록체인을 데이터베이스 기술, 효율적 의사소통이나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보고 시스템 효율화와 비용절감에 초점을 맞춰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허가형 분산원장 기술 기업인 R3는 분산원장을 통해 은행과 금융 유관기관들이 서비스 절차를 최소화하고 효율화하도록 돕는다.분산원장 기술과 인증,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보고 자동화, 실시간 장부 공2017-03-20 17:25:04한승환 피넥터 대표
-
네이버 NBP 전자금융업 등록 말소...클라우드 사업 집중네이버가 자회사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의 전자금융업 등록을 말소시키며 사업 영역 조정에 나섰다. 네이버는 NBP를 클라우드 전문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이같은 조치를 한 것으로 알려져 향후 네이버의 클라우드 사업 확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20일 금융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NBP의 의사에 따라 3월 초 NBP의 전자금융업 등록을 말소 조치했다.현행 법제도상 전자지급, 결제 관련 사업을 하려면금융당국에 전자금융업자로 등록해야 한다. NBP는 2012년 2월 선불전자지급 수단발행업,2017-03-20 15:04:55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