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중앙선관위, 조기 대선 대비 사이버보안 강화 나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5월 초로 예상되는 19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사이버보안 강화에 나섰다. 과거 사이버공격을 당한 바 있는 선관위가 이번 대선 과정에서 혼란을 막기 위해 대비책을 마련 중이다.
14일 선관위 관계자는 “이번 선거에 대비해 24시간 365일 관제 체계를 갖추고 디도스 공격 대응 매뉴얼을 최신 상황에 맞게 갖췄으며 모의훈련도 실시하고 있다”며 “또 디도스 공격 등에 대비해 회선을 증설했으며 침해 사고 예측시스템도 도입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2011년 선관위 홈페이지가 사이버공격을 당한 이후 그런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사이버보안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유관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선관위는 대책의 일환으로 최근 정보시스템에 대한 보안컨설팅과 사이버보안 관제를 강화하기 위해 해킹 집중관제 사업자를 선정했다.
선관위는 이달부터 보안컨설팅을 통해 정보시스템에 대한 보안진단을 실시하고 대책을 마련한다. 또 사이버 보안 전문인력을 투입해 통합관제체계도 강화한다. 기존 통합관제체계에 전문인력을 투입해 집중관제를 실시하고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선관위는 또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인용된 3월 10일 오후 ‘제19대 대통령선거 대비 정보보호시스템 강화사업‘을 진행하다고 나라장터에 긴급 공고했다. 이 사업은 보안 강화를 위한 기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골자다.
선관위는 대통령 선거에 대비해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양한 침입 시도에 대해 사전 탐지가 가능한 예측관제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위협에 대한 정보들의 종합적인 연관 관계를 분석하고 학습해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식별해 규칙이나 시그니처를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시스템이 탐지하지 못한 위협과 공격에 대응한다는 것이다.
또 내부자 또는 외주 인력의 정보접근을 통제하기 위해 매체 제어시스템도 도입한다. 사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주소(IP)를 중앙에서 관리해 허가되지 않은 기기 사용과 시스템 접근을 막겠다는 것이다. 또 외부에서 들어온 노트북, PC 등을 사내 네트워크에 허가 없이 접속하는 것도 엄밀히 차단할 방침이다.
선관위가 이같이 사이버보안을 강화하는 것은 이번 대선 과정에서 사이버공격으로 선관위 서비스가 마비되거나 홈페이지, 시스템 등이 해킹돼 혼란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2011년 10월 26일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일 중앙선관위 홈페이지가 디도스 공격을 당해 투표소 검색 기능이 마비되는 사건이 있었다, 이는 구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의원 일부 비서진들이 관여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었다. 이들은 선관위 사이트를 마비시켜 투표를 방해하기 위해 이같은 일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2016년 4월 13일 20대 총선에서도 오후 2시 22분부터 약 3분간 홈페이지 `내 투표소 찾기` 서비스에 디도스 공격이 발생하는 등 선거 과정에서 크고 작은 사이버공격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번 대선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둘러싼 갈등이 첨예한 가운데 진행돼 돌발 상황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황승익 한국NFC 대표, “특색 살려야 진짜 간편 결제”“우리나라는 페이 서비스가 특색이 없습니다. 규제에 막혀 있다가 한꺼번에 허용됐기 때문입니다. 사실 새로운 방법도 금융위원회 가이드라인을 따른 것입니다.”황승익 한국NFC 대표는 우리나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문제점 가운데 하나로 똑같은 방식의 서비스를 지적했다. 차별화할 수 있는 부분이 없으니 서로 장벽을 만들고 할인을 제공하는 똑같은 마케팅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하지만 황 대표는 “현재는 과도기로 볼 수 있고 앞으로 규제가 더욱 완화되고 다른2017-03-21 11:11:20도강호 기자
-
[블록체인 기획]비용절감 효율화 앞세워 다양한 서비스 '쑥쑥'블록체인과 분산원장 기술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기술중 하나다. 이 기술을 적용하려는 시도는 다양하지만 크게 제도권과 비제도권 시장으로 나눠볼 수 있다.제도권 시장에서는 블록체인을 데이터베이스 기술, 효율적 의사소통이나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보고 시스템 효율화와 비용절감에 초점을 맞춰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허가형 분산원장 기술 기업인 R3는 분산원장을 통해 은행과 금융 유관기관들이 서비스 절차를 최소화하고 효율화하도록 돕는다.분산원장 기술과 인증,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보고 자동화, 실시간 장부 공2017-03-20 17:25:04한승환 피넥터 대표
-
네이버 NBP 전자금융업 등록 말소...클라우드 사업 집중네이버가 자회사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의 전자금융업 등록을 말소시키며 사업 영역 조정에 나섰다. 네이버는 NBP를 클라우드 전문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이같은 조치를 한 것으로 알려져 향후 네이버의 클라우드 사업 확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20일 금융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NBP의 의사에 따라 3월 초 NBP의 전자금융업 등록을 말소 조치했다.현행 법제도상 전자지급, 결제 관련 사업을 하려면금융당국에 전자금융업자로 등록해야 한다. NBP는 2012년 2월 선불전자지급 수단발행업,2017-03-20 15:04:55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