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황승익 한국NFC 대표, “특색 살려야 진짜 간편 결제”
“우리나라는 페이 서비스가 특색이 없습니다. 규제에 막혀 있다가 한꺼번에 허용됐기 때문입니다. 사실 새로운 방법도 금융위원회 가이드라인을 따른 것입니다.”
황승익 한국NFC 대표는 우리나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문제점 가운데 하나로 똑같은 방식의 서비스를 지적했다. 차별화할 수 있는 부분이 없으니 서로 장벽을 만들고 할인을 제공하는 똑같은 마케팅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황 대표는 “현재는 과도기로 볼 수 있고 앞으로 규제가 더욱 완화되고 다른 결제 방식이 나오면 상황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황 대표는 “그동안 결제가 너무 불편했다”며 “지금도 휴대폰 인증을 요구하는데 여전히 불편하다”고 말했다.
국내에 간편 결제 서비스가 쏟아져 나온 것은 규제가 풀린 것도 있지만 결제 서비스가 좋지 않은 근본적인 문제도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인터넷 서비스의 수익모델이 광고 아니면 쇼핑인데, 결제는 쇼핑의 관문”이라며 “규제가 풀리고 결제 서비스만 확보하면 안정적인 수익 확보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결제 서비스는 기업들이 안정적인 수익 확보를 위해 노력할 수밖에 없는 분야라는 설명이다.
초기에는 한국NFC와 같은 스타트업들도 결제 서비스 시장에 발 빠르게 뛰어들었다. 기존 기업들보다 혁신적인 서비스를 빠르게 개발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는 자신감 때문이었다.
하지만 규제의 영향으로 서비스의 차별성을 잃었고, 이제는 막대한 마케팅 비용이 발목을 잡고 있다.
한국NFC도 NFC를 이용한 간편 결제 서비스로 사업을 시작했지만 최근에는 방향을 바꿨다. 막대한 고객군과 자금력을 가진 기업들과 경쟁이 어렵다는 판단 때문이다. 그래서 눈을 돌린 시장이 판매자용 서비스다.
황 대표는 “퀵서비스, 대리운전, 방문판매원 등은 소비자들이 카드로 결제하기 원하더라도 현금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카드결제를 위한 단말기 가격이 70만 원, 단말기 통신비가 월 1만3000원이다. 황 대표는 “비용 때문에 결제 건수가 적으면 단말기를 쓰고 싶어도 쓸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한국NFC는 판매자를 위한 간편 결제 앱을 만들었다. 소비자의 핸드폰을 판매자의 핸드폰 가까이로 가져가면 NFC를 통해 결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소비자가 핸드폰이 아니라 NFC 통신이 가능한 교통카드를 판매자의 핸드폰으로 가져가면 결제가 이뤄진다. NFC가 가능한 결제 수단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삼성 페이도 마찬가지다. 삼성 페이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방식을 사용하지만 마그네틱의 사용을 막는 추세에 맞춰 NFC 신호도 함께 사용한다. 한국NFC는 이 MST와 함께 동작하는 NFC 신호를 통해 결제한다.
황 대표는 “삼성 페이가 삼성 페이 미니를 통해 모든 안드로이드폰으로 서비스를 확대하는 만큼 한국NFC의 서비스도 더욱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NFC의 다음 목표는 글로벌 서비스다. 이미 NFC를 사용하는 ‘애플페이’에 대한 서비스 개발과 테스트도 마친 상태다. 황 대표는 “4월부터는 일본에서 서비스를 시작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테크M = 도강호 기자(gangdogi@techm.kr)]
<본 기사는 테크M 제47호(2017년 3월) 기사입니다>
-
황승익 한국NFC 대표, “특색 살려야 진짜 간편 결제”“우리나라는 페이 서비스가 특색이 없습니다. 규제에 막혀 있다가 한꺼번에 허용됐기 때문입니다. 사실 새로운 방법도 금융위원회 가이드라인을 따른 것입니다.”황승익 한국NFC 대표는 우리나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문제점 가운데 하나로 똑같은 방식의 서비스를 지적했다. 차별화할 수 있는 부분이 없으니 서로 장벽을 만들고 할인을 제공하는 똑같은 마케팅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하지만 황 대표는 “현재는 과도기로 볼 수 있고 앞으로 규제가 더욱 완화되고 다른2017-03-21 11:11:20도강호 기자
-
[블록체인 기획]비용절감 효율화 앞세워 다양한 서비스 '쑥쑥'블록체인과 분산원장 기술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기술중 하나다. 이 기술을 적용하려는 시도는 다양하지만 크게 제도권과 비제도권 시장으로 나눠볼 수 있다.제도권 시장에서는 블록체인을 데이터베이스 기술, 효율적 의사소통이나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보고 시스템 효율화와 비용절감에 초점을 맞춰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허가형 분산원장 기술 기업인 R3는 분산원장을 통해 은행과 금융 유관기관들이 서비스 절차를 최소화하고 효율화하도록 돕는다.분산원장 기술과 인증,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보고 자동화, 실시간 장부 공2017-03-20 17:25:04한승환 피넥터 대표
-
네이버 NBP 전자금융업 등록 말소...클라우드 사업 집중네이버가 자회사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의 전자금융업 등록을 말소시키며 사업 영역 조정에 나섰다. 네이버는 NBP를 클라우드 전문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이같은 조치를 한 것으로 알려져 향후 네이버의 클라우드 사업 확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20일 금융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NBP의 의사에 따라 3월 초 NBP의 전자금융업 등록을 말소 조치했다.현행 법제도상 전자지급, 결제 관련 사업을 하려면금융당국에 전자금융업자로 등록해야 한다. NBP는 2012년 2월 선불전자지급 수단발행업,2017-03-20 15:04:55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