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블록체인 기획]블록체인의 핵심, 스마트 계약이란?
2017-03-23도강호 기자
‘에스크로’는 상거래에서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를 신뢰할 수 있는 제3자가 중계하는 서비스다. 먼저 구매자가 대금을 맡기고, 판매자는 입금을 확인한 후 상품을 발송한다.
구매자는 상품을 확인하고 문제가 없으면 대금이 지급된다. 상품에 문제가 있을 경우 상품 반송 등을 통해 거래를 파기하고 대금을 돌려받는다.
에스크로는 거래 계약을 중계하고 계약 이행을 강제하는 신뢰할 만한 제3자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서비스다. 사실 모든 거래나 계약은 강제력을 가진 신뢰할만한 제3자가 있기 때문에 유지된다.
금융거래에서는 금융기관이, 투표에서는 선거관리위원회가 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중앙집권적 권력을 가진 존재가 없이도 거래나 계약을 유지할 수 있을까?
스마트 계약은 신뢰할만한 제3자의 역할을 프로그램이 대신한다. 특히 블록체인은 중앙집권화된 기관이 없이도 블록체인 참여자를 통해 계약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거래를 진행한다. 비트코인 거래 자체도 스마트 계약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금융거래, 투표, 개인 인증 등 계약의 형태로 진행되는 모든 행위는 블록체인을 통해 스마트 계약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스마트 계약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의 작성과 검증 등 부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스마트 계약을 쉽게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계약에 최적화해 제작된 블록체인 플랫폼 ‘이더리움’이 대표적인 사례다.
[테크M = 도강호 기자(gangdogi@techm.kr)]
-
[이슈 브리핑] 논란 여전한 ‘빅데이터’, 4차 산업혁명 열쇠 될까?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방직기, 증기기관이 산업구조를 바꾸고 컴퓨터와 인터넷이 정보화 사회를 열었던 것처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빅데이터 등 신기술이 세상을 바꾸고 있다.실제로 AI가 의료,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기 시작했고 IoT 기기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으며, 2020년에는 다수의 부분 자율주행차가 선보일 전망이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의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성패가 빅데이터에 달렸다고 보고 있다.2017-03-26 13:21:52강진규 기자
-
[창작과 인공지능]구상은 사람이 작품은 인공지능이“여기서 저는 어떤 색을 선택해야 하는 걸까요?”데이터 시각화 수업을 하다보면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컴퓨터공학이나 통계를 전공한 사람, 시각이나 영상 디자인을 하는 사람, 또 데이터를 이용한 순수 예술 작업을 생각하는 사람 등 경계를 넘나들며 다양한 사람이 온다.이 중 프로그래밍 배경지식이 없는 사람은 컴퓨터 언어를 배우는 데 어려움을 느끼지만 시각작업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종종 생각지도 못했던 질문을 한다.색의 선택. 솔직히 이것이 어려울 것이란 생각은 한 번도 해 본 적이 없다.2017-03-26 09:46:56민세희 데이터 시각화 아티스트
-
보스턴 다이나믹스는 왜 보행로봇에 집착할까지난해 초 미국 로봇기업 보스턴 다이나믹스(Boston Dynamics)는 2족 보행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가 눈 덮인 산길을 성큼 성큼 걸어가는 모습을 유튜브에 공개해 네티즌들의 열광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아틀라스는 우리나라의 휴보가 우승한 ‘다르파 로보틱스 챌린지(DRC)’에도 모습을 드러냈었는데, 대회가 끝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괄목할만한 기량 향상을 보여준 것이다.아틀라스 신모델에는 ‘차세대’ 휴머노이드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175㎝에 81.6㎏으로, 기존 모델2017-03-26 09:12:39장길수 IT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