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28일 언론사 홈페이지 온라인 광고 악성코드 공격
언론사 홈페이지에 게재된 광고를 이용해 악성코드 유포 사례가 발견돼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28일 보안 전문가들과 언론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두 개 이상의 언론사 사이트에 보안 문제가 발생해 조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문제를 발견한 IT 전문가들과 언론사 관계자들이 이를 확인해 보완 조치를 취했다.
한 보안 전문가는 “언론사 사이트 자체가 해킹 당한 것은 아니고 언론사 웹사이트에 게재되는 광고에 문제가 있었다”며 “광고를 제공하는 대행사에서 해킹을 당해 광고로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해커들은 언론사 방문자들이 많다는 점을 노려 이같은 범행을 시도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11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온라인 광고배너를 통한 악성코드 유포 대응 보안 가이드'를 공개한 바 있다. 온라인 광고를 통해 악성코드를 유포시키는 행위가 증가하는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3월 외신들은 뉴욕타임즈, BBC 등 유명 언론사 홈페이지의 광고배너를 통해 랜섬웨어 악성코드가 유포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런 공격이 이제 국내 언론사 사이트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언론사들이 광고 배너 등에 대해 보안 점검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용자들 역시 백신 소프트웨어(SW)를 최신 상태로 활성화해 사용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한 때 이들 언론사에 대한 해킹이 사드 배치에 반발하는 중국 해커들의 소행이 아니냐는 소문이 돌면서 보안 업계가 긴장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해킹의 주체와 목적은 불분명한 상황이다. 한 보안 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도 언론사 광고에 악성코드를 심어서 공격하는 방식이 있었다”며 “일반적인 사이버공격 사례인지 중국 해커집단의 공격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블록체인 기획]"비트코인만 블록체인 아니다" 대안의 블록체인들가상화폐 비트코인이 탄생한 지 8년이 넘었다. 비트코인이 가상화폐로 성공하면서 참여자가 지속적으로 늘고 비트코인 자체에 대한 대중의 투자도 확대되고 있다.비트코인은 암호화 및 네트워크 기술을 결합해 가상화폐 발행과 거래내역을 네트워크 상 다수 컴퓨터가 동시에 기록, 검증하는 블록체인이라 불리는 분산원장기술(distributed ledger)을 사용한다.이를 통해 위변조를 방지하고 은행이나 거래소 등 중개자 없이 자산거래를 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어 ‘제2의 인터넷’이라 여겨진다.2017-03-29 17:19:01최기우 코스콤 R&D부장
-
엘론 머스크의 오픈AI 기술, 구글 능가?테슬라의 CEO인 엘론 머스크가 공동으로 만든 비영리 인공지능연구소 오픈AI가 기존 강화학습을 뛰어넘는 머신러닝 기술인 '진화전략'을 개발했다고 밝혔다.오픈AI 소장인 일리야 서츠케버는최근 MIT테크놀로지리뷰가 개최한 한 콘퍼런스를 통해“오픈AI가 개발한 '진화전략' 기술이 표준벤치마크 강화학습 알고리즘에 비해 경쟁력이 있음을 확인했다”며 “단순한 개념이 큰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게 놀랍다”고 덧붙였다.강2017-03-29 17:05:53장윤옥 기자, 신재희 인턴기자
-
[MIT선정, 10대혁신기술④] 얼굴 인식 결제혁신성얼굴 인식 기술이 마침내 결제와 다른 일반적인 상황에서 사용될 만큼 정확해지다.왜 중요한가이 기술은 안전하면서도 아주 편리한 지불방법을 제공한다.하지만 개인정보에 대한 우려는 남아있다.주요 회사들페이스++ / 바이두 / 알리바바실용화 시기지금중국은 얼굴 인식 기술을 결제, 출입통제 시스템, 범죄자 추적에 사용하고 있다. 다른 나라들도 중국을 따르게 될까?1조 원이 넘는 가치를 가진 중국의 스타트업, 페이스++의 정문을 통과하자 면도를 하지 않은 시차로 아직 피곤해 보이는 내 얼굴이 입구의 커다란2017-03-29 15:39:14MIT테크놀로지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