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MIT 선정 10대혁신기술⑤]두배로 효율 높인 열 태양전지
10대 혁신 기술
혁신성
이론적으로 기존의 태양전지보다 두 배 더 높은 효율을 갖는 새로운 태양전지 기술
왜 중요한가
이 새로운 기술은 해가 진 뒤에도 동작하는 저렴한 태양전력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주요 회사들
MIT의 데이비드 비어맨, 마린 솔랴시치, 에벌린 왕 /
퍼듀대의 블라디미르 사라예프
실용화 시기
10~15년 뒤
열을 특정 주파수의 빛으로 바꾸는 태양 전지가 개발되면 싸고 지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을 덮은 지붕이 점점 늘고 있다. 하지만 개발된 지 수십 년이 지났음에도 불구, 이 실리콘 판은 두껍고 비싸고 비효율적이다. 기존의 광전지는 태양광 에너지의 일부만을 전환한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MIT의 과학자들은 창의적인 방법과 첨단 재료과학을 이용해 태양 에너지를 훨씬 더 많이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태양 전지를 만들었다. 비결은 태양에너지를 먼저 열로 바꿨다가 다시 빛으로 바꾸는 것. 두 번째 변환 과정에서 태양전지가 흡수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빛으로 바꾸게 된다.
수많은 연구자들이 소위 태양 열광전기술을 연구해왔지만 MIT가 개발한 기술은 처음으로 광전지 자체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했다. 이를 통해 효율을 극적으로 높일 수 있음을 보였다.
표준 실리콘 태양 전지는 보라색에서 붉은 색 사이의 가시광선만을 흡수한다. 이 외의 다른 몇 가지 요소 때문에 태양 에너지를 전기로 바꾸는 효율은 절대 32%를 넘을 수 없다. MIT가 개발한 기술은 아직 프로토 타입이고 효율도 6.8%에 그치지만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면 잠재적 효율이 기존 광전지의 두 배에 달한다.
이 기술의 핵심인 흡수-발광층은 태양 전지 위에서 빛을 모으는 역할을 한다. 고체인 블랙카본 나노튜브로 만든 흡수층은 태양광의 모든 에너지를 받아들여 열로 바꾼다. 이 소자의 온도가 1000℃에 이르면 옆의 발광층이 광전소자가 흡수하는 대역의 빛으로 에너지를 내보낸다.
이 기술은 기존의 광전지보다
두 배나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발광층은 광결정으로 만들어졌으며 적절한 빛의 파장이 나오도록 나노스케일로 디자인되었다. 다른 핵심 기술에는 발광된 빛을 광전지에 전달하되 사용되지 않은 광자를 반사하도록 만든 매우 특별한 광섬유가 있다. 이 ‘광자 재활용’ 기술은 광자를 열로 변화시키며 이 열을 다시 태양 전지가 사용할 수 있는 빛으로 변환해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게 된다.
MIT 연구진의 기술에도 몇 가지 단점은 있다. 우선 몇몇 부품이 상대적으로 고가이며 이 장치는 진공 상태에서만 작동한다. 그러나 효율이 올라갈수록 경제성 또한 높아질 것이며 연구진은 이미 이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가지고 있다.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에벌린 왕 MIT 부교수는 “우리는 효율을 더 높이기 위해 필요한 방법을 찾았고, 부품 역시 고도화 시킬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태양 열광전 기술의 다른 장점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다. 열은 전기보다 더 저장이 쉽기 때문에 열광전 기술로 만들어진 전기 중 남는 만큼을 열로 다시 바꿔 축열장치에 저장한다면 해가 진 뒤에도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이 에너지 효율을 충분히 올리고 거기에 저장장치를 결합한다면 언젠가 이 기술은 깨끗하고 값쌀 뿐 아니라 언제나 사용 가능한 태양 전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기사는 테크M 제47호(2017년 3월) 기사입니다>
-
[미래의눈]초중고 SW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2018년부터 초등학교 17시간, 중학교 34시간의 필수로, 고등학교는 68시간의 선택으로 소프트웨어(SW) 교육이 교과과정에 포함됐다.미국의 오바마 정부는 ‘컴퓨터 사이언스 포 올(Computer Science for All)’이라는 기치로 2016년부터 3년간 4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영국, 인도, 중국도 초등학교는 우리의 최대 10배 수준, 중고등학교는 2배가 넘는 시수의 SW 교육을 필수로 이수하도록 돼있다.다소 늦고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우리의 결정은 아쉽지만, SW 기초 교육이2017-04-03 16:35:35이민석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교수
-
HPE 아루바 “2019년 한국 기업 89%가 IoT 기술 도입”2019년까지 한국 내 기업의 89%가사물인터넷(IoT) 기술을 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또 IoT 도입에 있어서 걸림돌은 보안, 비용 문제인 것으로 조사됐다.HPE(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아루바는 3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서울파르나스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IoT 트렌드 리포트 ‘사물인터넷: 현재와 미래’를 발표했다.HPE 아루바는 지난해11월과 12월 3100명의 IT 및 비즈니스 의사결정권자를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했다. 호주, 중국, 인도, 일본, 싱가2017-04-03 14:55:37강진규 기자
-
[테크&가젯] 자동차 배기가스로 잉크 만들었다‘픽슬플레이’는 어린아이를 위한 카메라다. 물론 조금 다른 점이 있다면 기존에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폰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 스마트폰과 픽슬플레이를 코드로 연결한 채 서로 단단하게 고정시키면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이렇게 하면 모듈형 스마트폰처럼 셔터 버튼 같은 건 물론 그립이나 스트랩 등 카메라에 필요한 요소를 간편하게 쓸 수 있다.픽슬플레이 자체는 작은 아이들의 손에 맞춰서 디자인했기 때문에 부담 없이 쓸 수 있다. 또 본체 겉면을 고무 재질로 만드는 등 내충격 설계를 곁들여 아이가2017-04-03 11:24:15이석원 벤처스퀘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