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엘론 머스크에 '뉴럴링크' 판 뇌연구자....뇌이식 기술 과제는?
[기사제휴= MIT테크놀로지리뷰]
최근 엘론 머스크가 뉴럴링크(Neuralink)란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 회사를 설립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화제가 됐다.
이 소식에 가장 놀란 사람은 따로 있다. 바로 뉴럴링크란 상표를 매각한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의 페드람 모세니(Pedram Mohseni) 교수다. 그와 동료인 캔사스대학의 랜돌프 누도는 2015년 뉴럴링크(NeuraLink, 엘론 머스크가 산 이름은 L이 소문자다)란 스타트업을 설립해 상표를 등록했다.
바이오엔지니어와 뇌 전문가인 두 사람은 2011년부터 외상성 뇌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전기 칩에 대해 고민했다. 뇌 한 부분에 뉴런을 기록하고 정보를 전송해서 손상된 연결부위를 다시 연결하자는 것.
2013년에는 그들의 프로토 타입이 뇌가 손상된 쥐의 치료효과를 증명했고 이를 계기로 공동으로 뉴럴링크를 설립했다.
하지만 두 사람은 곧 턱없이 늘어나는 투자비에 시달려야 했다. 인간의 뇌 속에 들어갈 기기는 스위스 시계만큼이나 정교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테스트와 개발에 약 2억 달러가 필요했다.
두 사람의 연구결과가 대단한 것이기는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될 지도 알 수 없었다. 사업화가 이뤄지더라도 막대한 비용을 지불할 능력이 있는 환자가 충분할 지도 고민거리였다.
난관에 봉착해 있는 이 회사에 갑자기 투자자가 나타나 수만 달러를 제시한 것. 자금난에 시달리던 두 사람은 이를 받아들였지만 누구도 이 계약의 뒤에 엘론 머스크가 있다고 말해주지 않았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의 것이었던 회사가 화제의 중심으로 떠오른 데 대해 모세니 교수는 '착잡하다기보다 흥분된다'고 밝혔다.
드디어 거대 테크기업이 소수의 신경과학자들이 끈질기게 발전시키려고 노력했던 비주류 아이디어에 돈을 투자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엘론 머스크뿐 아니라, 온라인 결제업체를 설립, 이베이에 매각한 브라이언 존슨은 커널이란 뇌 이식 기업에 1억 달러를 투자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엘론 머스크의 뉴럴링크가 질병 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예정이며 인간과 기계 지능이 결합할 방법에 대해서도 연구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엘론 머스크가 그동안 인공지능의 위험을 경고해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뉴럴링크의 매입은 인공지능의 위협에 대한 머스크식 대비 방식인 것으로 보인다.
최근 엘론 머스크는 트위터를 통해 "(테슬라와 스페이스X 외에) 다른 첨단기술 기업에 투자할 여력이 없지만 인류의 존재적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머스크의 회사는 뇌 연구가 어떻게 인간성을 인공지능과 함께 유지시킬지, 또 추구하는 바는 무엇인지 밝히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해 캘리포니아대의 리키 뮬러 교수는 MIT테크놀로지리뷰와의 인터뷰를 통해 “사람의 몸 속에 부착하는 기기는 모두 의학기기의 기준을 충족해야 하므로 뇌와 컴퓨터의 연결은 질병치료과도 연관이 높다”고 말했다.
지금 엘론 머스크는 맨 처음 뉴럴링크를 세운 사람들과 같은 위치에 서 있다.
모세니는 엘론 머스크가 장애물을 충분히 헤쳐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건강한 사람에게 기억을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 한다는 아이디어는 현실성 없는 이야기지만 머스크는 그런 것들을 이야기할 수 있는 비전과 믿음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
다른 기업이라면 투자를 받기 위해 조금이라도 더 연구를 진전시켜야 하고 예비 휴먼데이터를 얻어야하는 데 머스크는 그런 문제가 없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시장이 작기는 하지만 가장 폭넓게 활용되고 팔리는 제품은 파킨슨병 환자의 떨림을 개선해주는 메드트로닉의 ‘딥 브레인 시뮬레이터’다. 14만 명 이상의 환자가 이 제품을 받았고 메드트로닉은 이를 통해 연간 5억 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한 두 개의 전극으로 뇌에 전기신호를 보내는 80년대의 낮은 수준의 기술에 기반을 둔 제품으로 사실 아무도 정확히 작동하는지 확신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메드트로닉은 시스템을 더 작게 만들고 이식 기능을 확대하기 위해 꾸준히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진보된 이식 수술이 시장에 진출하기까지는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란 전망이다.
최근 뉴로페이스란 기업이 처음으로 ‘폐쇄형(closed-loop)' 뇌 이식기기를 간질 환자들에게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 기기는 발작징후를 탐지, 적절한 신호를 뇌에 보내 발작을 중단시킨다. 이에 비해 브레인게이트나 노스스타 같은 실패한 뇌연구 회사들은 매각절차를 밟았다.
새로운 주인을 만난 뉴럴링크가 엘론 머스크의 다른 회사처럼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나갈지 아니면 비슷한 사업을 하는 다른 기업들처럼 오랜 개발기간을 견디지 못하고 주저앉을지 세계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리= 신재희 인턴기자 (jaehee@mtn.co.kr)]
-
[테크&가젯] 전문작가 필요 없다 ‘로봇 스튜디오’‘스타일샷 라이브’는 로봇 스튜디오다. 조명이나 배경 같은 사진과 영상 촬영에 필요한 기능을 모두 태블릿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 사진과 영상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어 별도 장소를 따로 구해야 할 필요도 없다. 스튜디오 내부에는 배경과 바닥 색상을 바꿀 수 있고 심도 센서와 LED 패널도 갖추고 있다.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는 건 물론, 태블릿으로 조명을 실시간 조절할 수 있다. 스튜디오 내부에는 4K 영상 촬영까지 가능한 캐논 EOS-1D X 마크Ⅱ를 갖추고 있다.이 제품이 노리는 시장은2017-04-08 13:58:19이석원 벤처스퀘어 기자
-
[테크&가젯] 침구도 이젠 자동 정돈?‘스마트 듀벳’은 침대 이불을 자동 정리해주는 제품이다.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전용 시트 이불과 커버 사이에 스마트 듀벳 본체를 끼워 넣는 형태다.이렇게 해두면 송풍기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어 팽창, 이불을 늘 깔끔하게 정돈된 상태로 자동 정리할 수 있다.이불 세트 자체는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의 것을 그대로 쓸 수 있어 경제적이다.그 뿐 아니다. 전용 앱을 설치하고 사전에 시간을 설정해두기만 하면 요일이나 시간 등 세세하게 조건을 정해 침구를 늘 깔끔하게 정돈할 수 있다.원2017-04-07 13:55:54이석원 벤처스퀘어 기자
-
“직장인 절반, 비인가 모바일 기기 업무에 사용”국내 직장인 10명 중 8명이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며 그 중 절반은 허가 받지 않은 기기를 사용 중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VM웨어코리아(사장 전인호)는 국내 제조, 의료 및 헬스케어, 소비재, 공공 등 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워크스페이스 현황을 조사한 연구결과를 6일 발표했다.VM웨어는 이번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중 87%가 개인 소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며,그 중 53%만이 회사의 허가를 받은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다고2017-04-06 15:57:42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