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테크&가젯] 전문작가 필요 없다 ‘로봇 스튜디오’
‘스타일샷 라이브’는 로봇 스튜디오다. 조명이나 배경 같은 사진과 영상 촬영에 필요한 기능을 모두 태블릿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 사진과 영상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어 별도 장소를 따로 구해야 할 필요도 없다. 스튜디오 내부에는 배경과 바닥 색상을 바꿀 수 있고 심도 센서와 LED 패널도 갖추고 있다.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는 건 물론, 태블릿으로 조명을 실시간 조절할 수 있다. 스튜디오 내부에는 4K 영상 촬영까지 가능한 캐논 EOS-1D X 마크Ⅱ를 갖추고 있다.
이 제품이 노리는 시장은 웹사이트나 길거리 광고 혹은 페이스북 같은 SNS 광고나 홍보 등 다양한 플랫폼이다. 사진과 영상을 한꺼번에 찍어 이런 온갖 플랫폼에 맞게 자동 출력해주는 것. 또 다른 장점은 전문 작가가 없더라도 광고에 곧바로 쓸 수 있는 고품질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드라이드’는 스마트 블랙박스다. 물론 블랙박스라고 표현했지만 기능은 이보다 좀 더 복합적이다. 핸즈프리와 내비게이션, 문자 등 다양한 기능을 한꺼번에 지원하기 때문. 일단 블랙박스 기능을 보면 HD 영상 녹화를 할 수 있다. 버튼 한 번만 누르면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에 곧바로 영상을 올릴 수도 있다.
이 제품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를 지원한다. 덕분에 차간 거리를 제대로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해주고 차선 이탈 감지기능도 이용할 수 있다. 안전운전 보조 기능까지 곁들인 것이다.
재미있는 건 아마존의 인공지능 비서 기능인 ‘알렉사’를 지원한다는 것이다. 덕분에 운전 중 음성으로 문자를 보낼 수도 있고 대화 형태로 음성 지시를 할 수도 있다. 다만 드라이드는 하드웨어도 라즈베리파이를 써서 기능 개선에 여지를 남겨둔 건 물론 음성 기능도 알렉사뿐 아니라 사용자가 원한다면 ‘구글나우’나 ‘코타나’ 등 다른 것으로 바꿔 쓸 수도 있다. 드라이드는 이들 기능 외에 내비게이션은 구글맵을 지원하며 실시간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인 스포티파이도 기본 지원한다. 네트워크는 와이파이와 블루투스를 이용할 수 있고 본체에는 GPS를 내장하고 있다.
[Point]
드라이드 같은 제품은 2가지 키워드를 품고 있다. 첫째는 오픈소스다. 이 제품은 오픈소스 하드웨어인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 소비자 혹은 제삼자가 기능 개선을 할 수 있는 여지를 두고 있다.
또 다른 키워드는 인공지능이다. 알렉사는 이미 지난 1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7’ 기간 중 시선을 끌어 모았다.
물론 ‘구글홈’이나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타나’, 애플 ‘시리’ 등 경쟁 그룹의 움직임도 여전히 분주하지만 적어도 현재 상태만 놓고 보면 알렉사는 상당한 승리를 거둔 상태인 건 분명하다.
<본 기사는 테크M 제48호(2017년 4월) 기사입니다>
-
[테크&가젯] 전문작가 필요 없다 ‘로봇 스튜디오’‘스타일샷 라이브’는 로봇 스튜디오다. 조명이나 배경 같은 사진과 영상 촬영에 필요한 기능을 모두 태블릿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 사진과 영상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어 별도 장소를 따로 구해야 할 필요도 없다. 스튜디오 내부에는 배경과 바닥 색상을 바꿀 수 있고 심도 센서와 LED 패널도 갖추고 있다.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는 건 물론, 태블릿으로 조명을 실시간 조절할 수 있다. 스튜디오 내부에는 4K 영상 촬영까지 가능한 캐논 EOS-1D X 마크Ⅱ를 갖추고 있다.이 제품이 노리는 시장은2017-04-08 13:58:19이석원 벤처스퀘어 기자
-
[테크&가젯] 침구도 이젠 자동 정돈?‘스마트 듀벳’은 침대 이불을 자동 정리해주는 제품이다.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전용 시트 이불과 커버 사이에 스마트 듀벳 본체를 끼워 넣는 형태다.이렇게 해두면 송풍기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어 팽창, 이불을 늘 깔끔하게 정돈된 상태로 자동 정리할 수 있다.이불 세트 자체는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의 것을 그대로 쓸 수 있어 경제적이다.그 뿐 아니다. 전용 앱을 설치하고 사전에 시간을 설정해두기만 하면 요일이나 시간 등 세세하게 조건을 정해 침구를 늘 깔끔하게 정돈할 수 있다.원2017-04-07 13:55:54이석원 벤처스퀘어 기자
-
“직장인 절반, 비인가 모바일 기기 업무에 사용”국내 직장인 10명 중 8명이 개인용 모바일 기기를 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며 그 중 절반은 허가 받지 않은 기기를 사용 중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VM웨어코리아(사장 전인호)는 국내 제조, 의료 및 헬스케어, 소비재, 공공 등 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워크스페이스 현황을 조사한 연구결과를 6일 발표했다.VM웨어는 이번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중 87%가 개인 소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며,그 중 53%만이 회사의 허가를 받은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다고2017-04-06 15:57:42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