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꿈의 교통수단 현실화 겨루는 하이퍼루프 팟은 어떤 대회일까
전 세계 대학 연구팀, 3D 디지털 SW로 초고속 진공열차 설계
하이퍼루프 팟은 꿈의 운송기술로 불리는 하이퍼루프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모으기 위해 엘론 머스크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경진대회다.
2013년 엘론 머스크는 테슬라모터스 블로그를 통해 하이퍼루프에 대한 50페이지 가량의 아이디어를 공개했다. 미국 서부 도시를 연결하는 새로운 이동수단이었다. 엘론 머스크가 아이디어를 공개한 후 스페이스X를 비롯한 많은 기업과 전문가들이 하이퍼루프 개발에 도전하고 있다.
하이퍼루프는 진공 튜브에서 초고속으로 차량을 이동시키는 방식. 진공상태에서 차량을 발사하는 것처럼 이동하므로 현재 시속 1280㎞까지 속도를 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이퍼루프 기술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스페이스X를 중심으로 하이퍼루프 팟 경진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전 세계 대학, 기업, 전문가 등의 참여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시제품을 제작하자는 취지도 있다. 경진대회를 통해 제시된 기술은 오픈소스 형태로 공개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대회에는 총 1,200여개 팀이 출전했고 스페이스X는 이 가운데 26개 팀을 결선진출 팀으로 선발, 지난 1월 말 2차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종합 1위를 차지한 네델란드의 델프트기술대학은 최소 공기 저항과 안전한 브레이크 시스템을 갖추고 시속 1200㎞로 달리는 149㎏의 하이퍼루프 팟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독일의 뮌헨공과대학은 ‘가장 빠른 팟’ 상과 2위상을 동시에 수상했고 미국 MIT대학은 3위를 차지했다. 스페이스X는 이번 결과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팀을 중심으로 올 여름 경진대회를 개최할 방침이다.
한편 다쏘시스템은 이 대회에의 상위 3개팀은 다쏘시스템의 '3D 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활용해 하이퍼루프 차량을 설계 및 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차기 정부 ICT 전담부처 '융합혁신부' 신설하자”5월 9일 대통령 선거로 출범하는 차기 정부에서 대통령 산하 국가혁신위원회를 두고 정보통신기술(ICT) 전담부처로 융합혁신부를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IT 전문가들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ICT 거버넌스를 실패로 규정하고 이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회융합경제혁신포럼, 한국IT리더스포럼, 한국SW·ICT총연합회가 개최한 방송·통신 분야 거버넌스 개편 방향 토론회에서 ICT 전문가들은 과거 정보통신부와 같은 전담부처를 구성해야 한다2017-04-11 16:08:02강진규 기자
-
[로봇세 기획(2)]"4차 산업혁명 안착 위해 로봇세 필요"중세의 질서가 무너지고 아직 근대적인 이성이 자리를 잡지 않은 과도기를 살다간 토마스 무어는 모직산업이 엄청난 돈을 벌어들이면서 수백 년간 대를 이어 농사를 지어온 농민들이 토지로부터 쫓겨나고 기존의 농지는 양치는 목장으로 바뀌어가는, 이른바 ‘인클로저 운동’이 벌어지는 모습을 보면서 “양이 사람(농민)을 잡아먹는다”고 한탄을 했다.동시에 도시로 쫓겨난 농민 출신의 노동자들이 현실에 대항할 아무런 수단도 보호장치도 없이 생존을 위한 마지막 경계선에서 몸부림을 치고 다른 한편에서는2017-04-11 15:09:56최배근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블록체인' 활용법부터 미래전략까지 한 번에4차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블록체인(Blockchain)의 개념부터 기술과 시장, 미래전략까지 한 번에 파악할 수 있는 교육 세미나가 열린다.머니투데이방송과 테크M은 오는 21일 서울 역삼동 GS타워 세미나실에서 블록체인을 주제로 한 교육 세미나 ‘블록체인…서비스와 시장, 미래전략’을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번 교육 세미나에서는 W3C 블록체인 커뮤니티 의장인 이영환 차의과학대학 교수가 블록체인의 정확한 개념, 블록체인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와 활용방안,2017-04-11 13:33:14강동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