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전 미국 해군 대장 “북한, 중국발 사이버위협 경고”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한국을 겨냥한 사이버위협이 고조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 사이버공격을 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4개국 중 한국은 중국과 북한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는 지적이다.
패트릭 월시 파이어아이 부사장은 지난달 27일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한국을 둘러싼 강대국들의 긴장상태가 지속되면서 사이버스파이 활동이 증가할 것이며 한국은 지정학 및 경제적 요인으로 앞으로도 계속 공격 타겟이 될 것”이라며 “사이버 공격 그룹이 한국의 사물인터넷(IoT) 취약성을 이용할 것이며 복잡한 랜섬웨어 공격 발생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패트릭 월시 부사장은 미군 태평양 함대 사령관 대장 출신으로 파이어아이 부사장으로 미국 정부 및 민간 기관들과 협력해 사이버보안 강화 훈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월시 부사장은 사이버범죄 조직을 후원하는 4개 국가로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 등을 지목했다. 그는 이들 국가들이 사이버 범죄 조직의 고용, 조율, 조직, 지시, 작업, 위임, 감독 및 기금 등을 후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과 러시아의 경우 파이어아이가 추적하는 그룹 중 가장 대표적이며 숙련된 그룹이며 러시아는 군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 군대 등으로부터 정보를 유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에는 북한과 중국의 위협이 크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자국 기업의 이익 및 최신 군사 기술, 중국 공산당 보호를 위해 지정학적인 정보 및 경제 정보와 관련된 스파이 활동을 하고 있으며 아세안과 관련한 정보와 의견을 수집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한국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가 결정된 후 한국에 대한 중국 해커들의 사이버공격 빈도가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월시 부사장은 북한 정부의 경우 표면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기 때문에 사이버 공격 동기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고 지적하면서도 북한이 김정은 정권의 정치적 안정과 군사적 안보를 향상시키고 국가적 자부심을 고취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 미국, 일본 지역에서 혼란을 일으키려는 목적으로 공격 역량을 개발하고 있다고 전했다.
월시 부사장은 북한의 사이버공격 사례로 지난해 3월 북한 해킹 그룹이 한국 방위산업체와 국방 관련 기관들을 대상으로 악성코드 실행을 유인하며 ‘엑스마크(Exmark)’와 ‘픽미(PickMe)’ 악성코드를 유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도 한국을 대상으로 한 중국, 북한발 사이버위격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북한 해킹 그룹이 지난해 8월부터 10월까지 약 3개월 간 동일한 백도어를 이용해 ‘포항 흥해 토막살인사건’, ‘휴가신청서’, ‘저는요 북조선 강원도 사람이에요’, ‘통일북한학술대회 심사서류’ 등의 제목으로 작성된 악성 문건을 유포했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11월 최순실 스캔들과 관련된 내용으로 스피어피싱을 시도한 것으도 북한과 관련있다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월시 부사장은 “한국을 겨냥한 사이버 스파이, 사이버 범죄가 많아질 수 있다”며 “한국은 경제 강국이며 기업들이 기술 투자도 많이 했고 지식재산권도 다량 보유하고 있다. 지식재산권 탈취를 노린 공격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미래부-경찰청, 480억 투입 '폴리스랩' 만든다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범죄 예방과 생활 안전에 활용하기 위해 향후 5년간 480억 원이 투입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경찰청이 ICT 기술을 치안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이같은 예산을 투입해 내년부터 연구 조직인 폴리스랩(PoliceLab)을 구성해 연구개발과 실증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8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미래부와 경찰청은 지난1월부터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 사업’을논의해 지난 달 말 추진계획(안)을 마련했다.이번 사업은 국민, 경찰, 연구자 등이 협업2017-05-08 17:14:06강진규 기자
-
사람다운 대화 꿈꾸는 AI, 당신에게 말을 걸다[테크M = 한상기 소셜컴퓨팅연구소 대표] ‘알렉사’, ‘시리’, ‘구글 어시스턴트’, ‘코타나’ 등이 서로 경쟁하는 가운데 ‘빅스비’라는 새로운 인공지능 비서가 등장했다.국내에서는 SK텔레콤의 ‘누구’와 KT의 ‘기가지니’가 선보였고, 네이버도 진출했다. 앞으로도 우리는 새로운 비서 이름을 듣게 될 것이고, 서로 주인의 명령을 누가 더 잘 수행하는 지를 놓고 경쟁할 것이다.2017-05-08 14:09:09한상기 소셜컴퓨팅연구소 대표
-
엘론 머스크가 전망하는 미래교통과 주택[번역 및 정리= 장윤옥 기자, 신재희 인턴기자]지난달 엘론 머스크는 TED토크를 통해 터널 프로젝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소개했다.엘론 머스크가 공개한 영상을 보면 도로를 달리던 자동차가 은색 플랫폼에 들어가 정차하면 바로 30층 규모의 지하로 운반한다. 이 플랫폼은 자동차를 태운 채로 지하의 전기식 주행로를 시속 200km로 달린다. 터널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하이퍼루프 아이디어를 적용할 가능성도 있다.보링사는 현재 스페이스X의 주차장에 데모 터널을 건설하고 있는데 엘론 머스크의 구상이 현실화 되려면 LA시2017-05-08 11:26:12정리=장윤옥 기자, 신재희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