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테크&가젯] GPS 품은 자전거…도난방지에 운동이력까지
Life
‘라이라’는 자전거다. 모양 자체는 여느 제품과 크게 다를 바 없다. 하지만 이 제품 본체 앞뒤에는 LED만 무려 100여 개 이상이 달려 있다. 앞바퀴를 끼우는 포크 쪽에 LED 100개를 심어 360도 사방을 비춰주고 안장 아래쪽에도 5개를 더했다.
이 LED는 상황에 따라 연속, 깜박임, 물결 등 3가지 모드를 선택 적용할 수 있다. 라이라는 이렇게 LED를 이용해 밤낮 없이 사방에 자전거의 존재를 알려준다.
물론 이렇게 LED만 더한 건 아니다. 도난 방지책으로 GPS 기능도 내장하고 있다. 이 제품은 바이크인덱스라는 곳과 손잡고 실시간으로 본체 위치 정보를 서버와 연동한다. 덕분에 도난 방지 외에도 GPS를 이용해 어떤 경로로 라이딩을 즐겼는지 운동 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다.
이 제품은 내부에 LED와 GPS 사용을 위해 아예 프레임 속에 리튬이온 배터리를 내장했다. 제조사 측 설명에 따르면 20시간 이상 연속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아임백’은 기존에 사용하던 필름 카메라를 디지털로 탈바꿈시켜주는 제품. 아날로그 감성과 디지털을 한데 묶어 주는 셈이다. 제품 장착은 간단하다. 니콘F나 라이카 M2 등 뒷면 커버를 분리할 수 있는 아날로그 카메라에 장착할 수 있다.
끼우고 셔터를 누르면 결과물을 디지털로 변환, 저장해준다. 기존 아날로그 카메라의 손맛은 그대로 유지한 채 결과물만 디지털로 저장하는 것이다. 본체만 분리하면 다시 예전처럼 필름 카메라로 되돌려 사용할 수도 있다.
Point
라이라에서 재미있는 건 역시 클라우드 연동이다. GPS와 연동해 위치정보를 받아 서버에 저장한다는 것만으로도 도난방지는 물론 개인 운동 이력 등 각종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급속도로 늘어나는 사물인터넷 제품이 그렇듯 센서를 통해 긁어모은 정보는 클라우드에 쌓인다. 다음에 남은 건 이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다. 아마존이 클라우드와 인공지능을 결합하는 것도 결국은 데이터 분석과 스마트한 활용을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기사는 테크M 제49호(2017년 5월) 기사입니다>
-
미래부-경찰청, 480억 투입 '폴리스랩' 만든다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범죄 예방과 생활 안전에 활용하기 위해 향후 5년간 480억 원이 투입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경찰청이 ICT 기술을 치안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이같은 예산을 투입해 내년부터 연구 조직인 폴리스랩(PoliceLab)을 구성해 연구개발과 실증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8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미래부와 경찰청은 지난1월부터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 사업’을논의해 지난 달 말 추진계획(안)을 마련했다.이번 사업은 국민, 경찰, 연구자 등이 협업2017-05-08 17:14:06강진규 기자
-
사람다운 대화 꿈꾸는 AI, 당신에게 말을 걸다[테크M = 한상기 소셜컴퓨팅연구소 대표] ‘알렉사’, ‘시리’, ‘구글 어시스턴트’, ‘코타나’ 등이 서로 경쟁하는 가운데 ‘빅스비’라는 새로운 인공지능 비서가 등장했다.국내에서는 SK텔레콤의 ‘누구’와 KT의 ‘기가지니’가 선보였고, 네이버도 진출했다. 앞으로도 우리는 새로운 비서 이름을 듣게 될 것이고, 서로 주인의 명령을 누가 더 잘 수행하는 지를 놓고 경쟁할 것이다.2017-05-08 14:09:09한상기 소셜컴퓨팅연구소 대표
-
엘론 머스크가 전망하는 미래교통과 주택[번역 및 정리= 장윤옥 기자, 신재희 인턴기자]지난달 엘론 머스크는 TED토크를 통해 터널 프로젝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소개했다.엘론 머스크가 공개한 영상을 보면 도로를 달리던 자동차가 은색 플랫폼에 들어가 정차하면 바로 30층 규모의 지하로 운반한다. 이 플랫폼은 자동차를 태운 채로 지하의 전기식 주행로를 시속 200km로 달린다. 터널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하이퍼루프 아이디어를 적용할 가능성도 있다.보링사는 현재 스페이스X의 주차장에 데모 터널을 건설하고 있는데 엘론 머스크의 구상이 현실화 되려면 LA시2017-05-08 11:26:12정리=장윤옥 기자, 신재희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