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MDS테크놀로지 “가상 주행 환경 시스템 내년에 선보인다”
임베디드 솔루션 기업 MDS테크놀로지가 내년에 도로 주행을 하지 않고 자율주행차 기술을 테스트할 수 있는 가상 주행 환경 시스템을 선보인다. 이는 구글 등 해외에서 자율주행차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들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국내 자율주행차 개발에 큰 자극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우준석 MDS테크놀로지 부사장은 3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자동차 SW 개발자 컨퍼런스 2017’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모 기업으로부터 차량 대부분의 기능을 가상으로 시험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주문받았다”며 “이에 따라 내년에 가상 주행 시스템이 국내 최초로 도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준석 부사장은 “자율주행 기술 발전으로 소프트웨어(SW) 복잡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로 인해 버그도 많아지고 있다”며 “이에 새로운 개발 방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구글의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며 “구글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매일 1만 마일(1만6000㎞)에서 1만5000마일(2만4000㎞)씩 자율주행차를 시험 주행했다. 그런데 구글은 이와 별도로 매일 300만 마일(382만8000㎞)을 가상 환경에서 시험 주행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글이 자동차를 실제 주행하지 않아도 자동차와 부품 성능 등을 테스트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으로 자율주행차 주행을 테스트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구 둘레 4만㎞인 것을 감안하면 구글은 엄청난 거리를 가상에서 주행한 것이다. 이는 제한적으로 운영될 수밖에 없는 자율주행차 운영 상황과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한 것이다.
그는 가상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데이터를 축적해 자율주행차 SW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우 부사장은 “구글뿐 아니라 해외 대부분의 자동차 회사들이 비슷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중국 업체들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BMW 경우에는 가상 주행 환경 장비가 100기가 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차종에 따라 다양하게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 부사장은 “국내에는 최근 2~3년 전부터 도입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며 “MDS테크놀로지도 부분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장비를 8대 공급한 바 있다. 내년에는 차량 주행과 기능의 대부분을 가상으로 시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에서도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이 활발하지만 도로 주행 허가를 받은 곳들은 현대자동차, 네이버,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등 일부 기업, 기관들뿐이다. 허가를 받은 곳도 몇 대씩만 운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자율주행차 안전성 보장을 위해서는 많은 테스트가 필수라는 지적이다. 가상 주행 환경이 도입되면 주행 허가 없이도 테스트가 가능해 자율주행차 연구가 더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MDS테크놀로지가 개최하고 한국자동차공학회와 한국ITS학회가 후원한 자동차 SW 개발자 컨퍼런스 2017에는 자동차, IT 업계 관계자들이 1400여명 참석해 최신 자동차 SW 기술에 대한 발표를 들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트럼프 당선이 보여준 직업 위기의 경고등(상)인공지능은 경제를 성장시키고 일상을 크게 바꾸겠지만그 혜택이 모두에게 고루 돌아가게 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테크M 독점제휴= MIT테크놀로지리뷰]지난해 10월, 우버는 자율주행트럭으로 미국 포트 콜린스에서 콜로라도 스프링스까지 200km의 고속도로로 버드와이저 맥주를 날랐다. 트럭에는 사람이 하나 타고 있기는 했지만 대부분의 시간을 운전석 뒤 침상에서 자동화된 시스템을 관찰하며 보냈다. (이 시범주행 몇 주 전, 우버는 피츠버그에서 무인주행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우버가 최근 인수한 오토의 자율주행트2017-06-02 10:37:01독점제휴= MIT테크놀로지리뷰
-
"아마존 클라우드 서버에 미국 정부 문건 6만건 노출"전 세계 1위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인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버에서 미국 국방성 시스템 암호를 포함한 미국 정부 문서 6만 건이 노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이 늘고 있는 가운데 클라우드 보안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2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최신 보안동향을 통해 아마존 클라우드 서버에서 미국 정부기관의 민감 파일들이 암호화 없이 저장돼 노출되는 사건이 있었다고 밝혔다.외신과 KISA에 따르면, 보안업체 업가드의 사이버위험 분석가 크2017-06-02 10:25:49강진규 기자
-
트럼프 당선이 보여준 직업 위기의 경고등(중)[테크M 독점제휴= MIT테크놀로지리뷰]어떤 이들은 기술적 진보가 직업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오더라도 결국경제 성장으로 인해 새로운 직업이 생겨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주장은 오늘날 인공지능과 자동화가 일으키고 있는 충격에 비하면 너무 안이하다.노스웨스턴대학에서 경제사를 연구하는 조엘 모키어는 오늘날의 변화 속도는 그때보다 더 빠르고 ‘더 집약적’이라고 말한다. 뿐만 아니라, “우리가 과거에 보았던 어떤 것과도 다르다”며 “과연 우리의 체제가 과거처럼 그 변화에2017-06-02 09:42:12독점제휴= MIT테크놀로지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