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미 연구진, 초 미숙아 생존율 높인 ‘인공자궁’ 개발
미국 필라델피아 어린이병원 연구팀이 초 미숙아를 사람의 자궁과 비슷한 환경에서 키울 수 있는 ‘인공자궁’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인공자궁 시스템은 임신 23∼28주 만에 태어난 초 미숙아의 성장과 장기성숙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것. 이 시스템은 초 미숙아의 생존율을 높이고 장애율을 낮추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4월 25일 네이처커뮤니케이션즈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필라델피아 어린이병원 연구팀은 사람일 경우 23∼24주에 해당하는 조산한 새끼 양 8마리를 인공자궁 안에서 4주간 생존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 시스템은 모체 자궁 안의 환경과 최대한 유사한 형태로 제작된 바이오백(Biobag)으로, 생리학적으로 필요한 요소를 공급하는 맞춤기계에 부착된다. 인공자궁 안의 새끼 양들은 온도가 조절되고 멸균 상태에서 자라며 모체 자궁에서처럼 정상적으로 양수 호흡을 한다.
인공자궁에서 자란 새끼 양의 폐는 태아의 폐가 발달하는 모습과 비슷한 양상으로 발달했다. 이 장치에는 혈액순환을 유도하는 외부 인공펌프가 없다.
미 성숙한 심장은 아주 작은 인공 압력에도 심각한 과부하가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폐 역시 대기 중의 산소를 직접 호흡할 준비가 돼 있지 않기 때문에 호흡을 위한 환기장치도 없다.
대신 실제 태반처럼 탯줄을 통해 외부 산소공급기로 혈액을 보내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한다. 또한 바이오 백을 통해 양수를 교환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기존의 신생아 치료법은 미숙아의 생존 한계를 임신 22~23주 태아로 높였지만 만성 폐 질환, 장기 미성숙에 따른 합병증이 90%로 평생 장애를 안고 살아가는 경우가 많았다.
25주차 이상 초 미숙아의 생존율은 80% 정도이나, 24주차는 55%, 23주차는 15%, 23주차 미만 초미숙아는 생존 가능성은 0에 가깝다. 그러나 만약 28주가 지날 시 가장 위험한 상태를 넘어서게 된다. 이 연구를 통해 전문가들은 초 미숙아의 생존율 향상 및 폐질환과 심장질환, 장애율을 낮추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은 향후 FDA와 협력해 추가 동물실험을 거친 뒤 이르면 3년 안에 인간 미숙아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 현재 연구에 사용된 새끼 양의 3분의 1 크기인 인간 태아에게 맞도록 시스템을 축소할 예정이다.
하지만 23주보다 더 빠른 시기의 미숙아들에까지는 이 시스템을 적용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스템이 실용화되면 초 미숙아 관리에 들어가는 연간 430억 달러(약 49조 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전망이다.
[테크M= 신다혜 인턴기자 (dhshin131@techm.kr)]
-
“인공지능 시대, 문화‧콘텐츠 산업에 주목하라”“앞으로 로봇이 잘하는 일은 더욱 늘어날 것입니다. 자동화로 인해 인간의 삶은 더욱 풍족해질 것입니다. 하지만, 앞으로 닥칠 더 큰 문제는 로봇 등 기술의 발달로 자신의 일을 잃은 사람들이 어떻게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느냐에 있습니다.”지난 2월 두바이에서 열린 '세계정부서밋(WGS) 2017'에서 엘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다가오는 인공지능(AI) 시대에는 인간이 자신의 삶을 가치 있게 만드는 것에 대해 고민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2017-06-09 10:38:23마송은 기자
-
스마트TV, 스마트홈 시대 왕의 귀환[테크M = 연세대 UX랩 인지공학스퀘어(추두연, 전종우, 조광수)] 30대 회사원 종우는 늦은 퇴근을 했다. 며칠 동안의 야근으로 피곤해진 몸을 이끌고 혼자 사는 집에 들어서자 집안의 불이 자동으로 켜졌다. 종우가 옷을 벗기 위해 세탁실로 가려고 거실을 지나는데 TV가 종우를 알아보고 그동안 바빠서 못 봤던 축구경기 하이라이트를 추천한다.잠시 멈춰 멍하니 축구를 보고 있던 종우는 TV에서 세탁물이 밀렸다는 메시지를 보고 퍼뜩 본인이 옷도 갈아입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편한 옷으로 갈아입고 세탁기에 입고 있던 옷을 넣2017-06-08 15:15:26연세대 UX랩 인지공학스퀘어(추두연, 전종우, 조광수)
-
아이팟 다음은 홈팟, 음성비서도 음악으로 승부[테크M 독점제휴= MIT테크놀로지리뷰] 애플이 개발자 콘퍼런스인 WWDC 2017에서 시리를 탑재한 스피커 ‘홈팟(HomePod)’을 선보이고 음성인식 스피커 시장에 도전장을 냈다. 오는 12월 출시, 349달러에 판매되는 이 제품은 음성 명령에 답하고 음악을 재생하는 스피커로 애플이 월 10달러에 제공하는 ‘애플 뮤직’과 통합해 제공되는 것이 특징이다.현재 가정용 비서 시장은 아마존 에코와 구글 홈이 지배하고 있다. 아마존의 에코 스피커가 71%로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2017-06-08 11:23:15기사제휴=MIT테크놀로지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