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암호화 정보 둘러싼 기업과 정부의 줄다리기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 기간 중 암호화된 정보에 대한 정부의 접근 권한은 분명 다시 문제로 떠오를 것이다.
[테크M 독점제휴= MIT테크놀로지리뷰]
미국 정부는 IT 기업이 갖고 있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에 대해 어느 정도의 권한을 행사해야 할까?
지난해 일어난 FBI와 애플 사이의 극적인 충돌(FBI-애플 싸움 새 국면…구글에도 협조 요구)은 법원의 판결이 내려지기 전에 마무리됐다.
하지만 이 문제에 대한 논쟁은 오래지 않아 워싱턴에서 다시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번에는 과연 어떤 기업이 무대를 장식하게 될까?
사법 당국은 암호화가 대중화되고 서비스 제공자조차 사용자의 암호화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는 애플의 ‘iOS’ 같은 제품이 수사를 극히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문제가 있다고 말한다.
미국 정부는 지난해 샌 버나디노 총기사건 용의자의 ‘아이폰’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수사를 위해 암호화된 기기의 정보를 꺼내도록 애플을 법정 고소할 수 있다. 만약 FBI가 이런 소송을 피하고 싶다면 암호화 된 메시지나 이메일 서비스, 또는 다른 종류의 암호화 사용 프로그램을 노릴 지도 모른다.
‘왓츠앱’, ‘아이메시지’, ‘시그널’ 등 종단간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앱들은 기존의 이메일이나 채팅 서비스와 달리 서비스 제공자가 그 내용을 읽거나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수 없다.
전자프런티어재단 소속 변호사인 앤드류 크로커는 FBI가 애플에게 아이폰에 저장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달라고 요구한 것처럼, 메시지 서비스 회사에게도 암호화된 메시지를 읽을 수 있는 도구를 요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지난 3월 뉴욕타임스는 법무부가 왓츠앱과 암호화된 메시지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조용하게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크로커는 암호화된 정보에 대한 다음 법적 싸움은 공개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정부가 테러리스트의 공격을 막기 위해 비밀 유지가 필요하다는 이유를 들어 정부의 요청을 공개하지 못하도록 법원의 명령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애플은 전자프론티어단체 등 시민의 프라이버시와 자유를 지키는 단체들과 대중의 지지를 받았기 때문에 애플을 공개 압박하려는 FBI의 계획을 저지할 수 있었다.
우선 암호화에 대한 다음 논쟁은 새 의회에서 시작될 가능성이 크다. 오바마 정부 막바지에 백악관은 사이버 범죄에 노출될 위험을 피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사법 당국이 암호화된 정보에 특별한 접근권한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을 포기했다.
도널드 트럼프는 당시 애플이 FBI의 요구를 거부하자 애플 불매운동을 벌인 바 있다. 그는 “범죄 수사에 있어 암호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국익에 심각한 문제가 될 것”이라고 믿는 앨라배마주의 상원의원 제프 세션을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암호화 정보에 대한 정부의 접근 권한을 무작정 확대하는 법안은 양당 의원의 강한 반대에 부딪힐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12월 하원 주요 의원들로 구성된 암호화위원회는 의회가 암호화를 약화시키는 법안을 통과시킬 경우 ‘국익에 위배될’ 가능성이 높다며 해당 법안을 반대하는 결론이 담긴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암호화된 정보에 대해 사법기관에는 특별 접근권을 주면서 사용자들의 보안에 위협을 주지 않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암호전문가와 보안전문가들의 의견을 인용했다. 또 미국이 법으로 암호화를 규제할 경우 사용자들은 해외에서 만든 서비스를 사용할 것이라는 점도 지적했다.
“암호화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는 방법은 없다.”
미국 의회 법사위와 에너지 및 상업위원회 의장들을 포함한 보고서 저자들이 내린 결론이다. 그들은 사법기관이 ‘합법적 해킹’을 포함, 이미 공개된 데이터를 더 잘 활용할 수 있게 돕고 사법기관과 IT 기업 사이의 협력을 장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테크M 독점제휴= MIT테크놀로지리뷰]
<본 기사는 테크M 제51호(2017년 7월) 기사입니다>
-
[테크&가젯] 턴테이블과 스포티파이를 하나로씨드 턴테이블은 스피커를 곁들였을 뿐 아니라 LP레코드판 외에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음악 감상도 지원한다.턴테이블이 스트리밍까지‘씨드 턴테이블’은 휴대용이지만 1인치 트위터와 4인치 우퍼를 곁들이는 한편 60W 고출력을 지원하는 스피커도 갖췄다. 고출력일 뿐 아니라 우퍼를 더해 자칫 휴대용에서 떨어질 수 있는 음역대까지 만끽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외부에서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기능도 더했다. 회전수는 33 1/3, 42017-07-20 11:47:07이석원 벤처스퀘어 기자
-
암호화 정보 둘러싼 기업과 정부의 줄다리기트럼프 대통령의 재임 기간 중 암호화된 정보에 대한 정부의 접근 권한은 분명 다시 문제로 떠오를 것이다.[테크M 독점제휴= MIT테크놀로지리뷰]미국 정부는 IT 기업이 갖고 있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에 대해 어느 정도의 권한을 행사해야 할까?지난해 일어난 FBI와 애플 사이의 극적인 충돌(FBI-애플 싸움 새 국면…구글에도 협조 요구)은 법원의 판결이 내려지기 전에 마무리됐다.하지만 이 문제에 대한 논쟁은 오래지 않아 워싱턴에서 다시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번에는 과연 어떤 기업이 무대를 장식하게 될2017-07-19 15:19:02독점제휴= MIT테크놀로지리뷰
-
자율주행 인공지능도 운전면허를 따야할까?자율주행차 시대가 다가오는 가운데 자율주행인공지능(AI)에 운전면허나 인증을 부여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 자율주행차 AI의 면허 적용 여부는 자율주행 중 사고 시 책임 소재, 그리고 자율주행차 탑승자의 운전면허 개편과도 관련이 있어 주목된다.19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도로교통공단은 이 달부터 오는 11월까지 ‘자율주행차 상용화 대비 법·제도 관점 운전면허제도 연구’를 진행한다.국내외에서 자율주행차 시대면허제도 등에 대한 연구는 수 년 전부터2017-07-19 13:34:48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