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테크&가젯] 움직임 알아채는 용기, 185개국 통한 위치태그
‘일루미소프’는 사실 별다른 복잡한 설명이 필요없는 제품일지도 모른다.
언뜻 보면 그저 평범한 물비누 용기일 뿐이다. 하지만 여기에 모션센서와 LED 조명을 곁들였다. 간접 조명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자는 것.
조명색도 8가지 가운데 고를 수 있어 인테리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밝기는 3단계 설정이 가능하다.
모션 센서가 붙은 이유는 간단하다. 버튼을 필요할 때마다 일일이 누를 필요 없이 움직임이 있으면 이를 자동 감지, 알아서 조명을 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원은 AAA 건전지 3개를 이용하기 때문에 케이블을 끼워둘 필요도 없다. 당연히 본체는 방수 처리되어 있다.
일루미소프가 모션센서를 통해 편의성을 높였다면 ‘맥파이’는 GPS 센서를 넣어 활용도를 넓힌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요즘 애완동물이나 가방 등에 끼워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해주는 제품이 자주 눈에 띈다. 그런데 이들 제품은 대부분 스마트폰과 연동해 위치를 표시해준다. 문제는 스마트폰과 연결이 끊기면 태그 위치도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맥파이는 아예 본체에 GPS 센서를 내장해 전 세계 185개국 어디를 가도 실시간 추적할 수 있는 GPS 추적 태그다. 제품 크기도 두께가 9.3㎜에 불과할 만큼 작고 IP67 방수 규격, 그러니까 아이폰 수준의 생활방수를 지원해 1m 수중에 넣어도 30분 동안 견딜 수 있다고 한다.
제품 모양 자체는 일반 태그와 비슷해 고리나 전용 클립 케이스 등을 통해 어디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내부에는 500㎃h 리튬이온 배터리를 내장해 최대 3개월 연속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마이크로USB 단자를 통해 충전할 수도 있다.
이 제품도 스마트폰과 연동은 해야 한다. 모바일앱과 연동하면 지도 위에 나타난 맥파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 연동은 블루투스 외에도 GSM이나 GPRS, HSPA 등 다양한 방식을 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유료 서비스에 가입해야 이용할 수 있다.
Point
센서는 사물인터넷을 구축하기 위한 첫 단추라고 할 수 있다. 센서는 사람으로 따지면 오감의 역할을 한다. 요즘 초소형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센서 관련 특허가 부쩍 늘어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트에 따르면, MEMS 센서 시장은 2018년 12억2000만 달러 수준까지 상승하고 연 평균 매출 성장률도 11.7% 수준이 될 전망이라고 한다.
<본 기사는 테크M 제52호(2017년 8월) 기사입니다>
-
경찰청 "디지털 포렌식에서 정보인권 보호 강화"디지털 정보를 분석해 범죄 단서를 찾는 디지털 포렌식 규정에 인권 보호를 위한 항목이 반영된다. 디지털 증거의 압수, 수색, 검증 절차가 상세히 규정되고 범죄 사실과 무관한 디지털 정보의 삭제, 폐기도 의무화된다.14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경찰청은 ‘디지털 증거 수집 및 처리 등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마련했으며 이 달 말경찰위원회 정기회의에서 의결한 후내달시행할 방침이다.디지털 포렌식은 PC, 노트북, 휴대폰, 이메일, 태블릿PC 등의 데이터를 수집, 복구, 분석2017-08-14 16:23:11강진규 기자
-
"구걸도 스위시로 달라"…현금없는 사회 속도내는 스웨덴지난 4월 한국은행이 동전 없는 사회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이를 통해 2만 여 개 편의점과 마트에서 거스름돈을 동전이 아닌 앱머니로 받거나 교통카드에 충전할 수 있게 했다.현금 없는 사회로 가기 위한 디딤돌 하나를 놓은 것이다. 우리도 발을 내딛기 시작한 현금 없는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한 발 앞서 현금 없는 사회로 이행하고 있는 스웨덴에서 실마리를 찾아볼 수 있다.스웨덴은 2030년까지 현금 없는 사회로 완전히 이행한다는 계획을 적극추진하고 있다.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말이나올 정도로 빠르게 현금 사용이 줄고2017-08-13 15:59:31강동식 기자
-
디지털 기술, 헬스케어 넘어 뷰티케어로[테크M 한국인터넷진흥원 공동기획=글 윤대균 아주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교수] 디지털 기술이 이미 환자관리, 진단정보, 모니터링 등 의료 분야에서 깊이 활용되어 온지는 꽤 오래다. 최근에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원격 진단 및 진료, 인공지능을 활용한 질병 분석 등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가상환경은 기존에 없던 새로운 진료 방식을 제공하기도 한다. 특히, 정신 의학 분야에서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모바일 서비스의 확산은 디지털 헬스케2017-08-13 09:56:22공동기획=한국인터넷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