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폰카야, DSLR이야?" 갤럭시S20의 카메라 기술 대해부
아름다운 야경을 마주하거나 멀리 있는 피사체를 사진으로 간직하고 싶을 때, 그 순간을 기록해줄 마땅한 장비가 없어 촬영을 포기할 때가 있다. 갤럭시S20은 이용자들이 만나는 모든 순간을 최고의 사진으로 담을 수 있도록 첨단 카메라 하드웨어 시스템에 인공지능(AI) 기반 소프트웨어 기술을 결합했다. 갤럭시 최초 1억800만 화소, 스페이스 줌 등 갤럭시 S20 시리즈의 한 차원 다른 카메라 기술을 자세히 살펴봤다.
◆어두울 때나 밝을 때나 선명하게…'초고화질 센서'
세세한 디테일까지 포착해 사진의 선명함을 높이는 것은 '해상도'에 달려있다. 갤럭시S20 울트라는 1억800만 화소를, 갤럭시S20과 S20+는 6400만 화소를 지원해 초고해상도 시대를 활짝 열었다. 사진을 확대하거나 일부분만 잘라서 저장하면 디테일이 떨어졌던 과거와 달리, 갤럭시S20 시리즈의 초고화질 센서로 찍은 사진은 확대해도 선명한 화질을 유지한다.
이 같은 초고해상도 구현은 이미지 센서의 크기와 관련된 기술을 근본적으로 바꿨기에 가능했다. 센서의 크기가 커지면 더 많은 광량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조도가 낮은 상황에서도 또렷하고 풍부한 색감의 고품질 사진을 얻을 수 있는 것. 갤럭시S20 울트라는 이에 더해 9개의 픽셀을 하나로 병합해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이는 노나 비닝(Nona-binning) 기술을 도입했다. 이렇게 확대된 픽셀이 더 많은 광량을 받아들여 저조도 환경에서도 또렷한 사진을 완성한다.
반대로 주변이 밝은 상황에선 컬러 픽셀을 재정렬해 디테일을 살리는 리모자이크(Re-mosaic) 기술을 적용했다. 픽셀을 기존 RGB 패턴으로 다시 맵핑해, 주변이 밝은 상황에서도 풍부한 디테일을 살려내는 알고리즘이다. 카메라 모드에서 상단의 4번째 ‘비율 9:16 버튼을 누른 뒤 3:4를 선택하면 1억800만 화소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더 멀리, 더 또렷하게…망원 렌즈로 구현한 '스페이스 줌'
갤럭시S20은 멀리 있는 피사체도 또렷하게 촬영할 수 있는 스페이스 줌(Space Zoom) 기능을 탑재했다. 이는 하이브리드 광학 줌에 AI 기반의 디지털 줌 기능을 결합한 형태로, 기존의 광학 줌을 뛰어넘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혁신적인 렌즈에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를 더했다. 덕분에 망원 렌즈 없이도 무대 위 가수의 얼굴까지 가깝게 당겨 사진을 찍을 수 있다.
갤럭시S20과 S20+는 하이브리드 광학 줌을 통해 최대 3배까지, 갤럭시S20 울트라는 최대 10배까지 확대해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여기에 AI 기반의 디지털 기능을 더하면, 갤럭시S20과 S20+은 최대 30배까지, 갤럭시S20 울트라는 최대 100배까지 줌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무려 100배 줌이라는 놀라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갤럭시S20 울트라는 폴디드(Folded) 렌즈와 고해상도 센서 기술을 탑재했다. 폴디드 렌즈는 최대 10배의 하이브리드 광학 줌을 구현한다. 여기에 AI 멀티 프레임 처리 기술을 바탕으로 10배 줌을 추가로 지원해, 손 떨림을 보정해 주는 것은 물론, 이미지를 확대해도 화질 저하를 최소화한다. 또한 광각 센서와 고해상도 센서의 크롭 줌(Crop Zoom)의 결합으로 더 선명한 결과물을 제공한다.
갤럭시S20 울트라에 탑재된 4800만 화소 센서는 조명 정도나 줌 배율과 같은 촬영 조건에 따라 테트라 비닝(Tetra binning)과 리모자이크 모드를 전환하며 최대 10배의 고배율 줌을 구현한다. 테트라 비닝은 4개의 픽셀을 하나로 결합하는 기술로, 한 픽셀을 1200만 화소 수준까지 확대해 고품질의 사진을 완성한다. 또한 리모자이크 기술로 RGB 픽셀이 재배열되면서 각 픽셀들이 독립적으로 센서 크롭을 작동시킨다.
1억800만 화소의 이미지 센서를 갖춘 갤럭시S20 울트라가 얇은 두께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폴디드 렌즈 덕분. 일반 렌즈의 경우 수직 구조로 공간을 더 필요로 하기 때문에 카메라가 두꺼워지지만, 폴디드 렌즈는 잠망경 원리와 같이 프리즘을 사용한 방식이기 때문에 스마트폰 카메라 바닥에 평평하게 자리 잡을 수 있었던 것. 스마트폰 뒷면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프리즘에 의해 렌즈로 전달되면, 폰 내부에 렌즈의 구조를 가로로 정렬한 폴디드 렌즈가 이를 다시 90도로 굴절 시켜 초점 거리를 늘린다. 이렇게 카메라의 높이와 넓이가 줄어들어 갤럭시S20 울트라의 혁신적인 줌 성능이 구현된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
콘텐츠프로토콜로 드러난 'ICO' 민낯... 투자자 권리 보호 못받는다#일방적 사업중단 통보 #ICO는 투자 아니다#CPT 사례 또 나올수도'한국판 넷플릭스'라고 불리던 왓챠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콘텐츠프로토콜이 최근 일방적으로 사업 중단 통보하고 암호화폐 보유자 보상 절차에 돌입한다고 공지했다.사업을 운영할 자금이 부족한 것도 아닌데 규제, 시장 등 외부적 요인으로 사업 전망이 부족하다 판단해 프로젝트를 중단하기로 했다. 암호화폐 보유자들의 의사와 무관하게 하루 아침에 사업 중단을 발표해도 법적 문제는 없을까.◆ICO 참여자는 투자자 아니다이같은 일방적 사업 중단은 기2020-02-24 14:30:09테크M 문정은 기자
-
투자한만큼 벌고 싶은 SKT-KT-LGU+ '5G' 경쟁, 차별화 포인트 있니?#마법의 비밀번호 '5대3대2'#5G 킬러 서비스 경쟁 점화 #결국 게임에서 승부날까?'5대3대2'라는 마법같은 시장점유율을 10여년째 이어온 국내 이동통신3사가 5G라는 새로운 전선에서 본격적으로 경쟁할 채비를 마쳤다.지난해 3사가 나란히 영업이익면에서 부진했던 이유 역시 5G에 대한 시설투자(CAPEX)와 마케팅비 때문이다.올해는 그 투자에 대한 과실을 따야한다. 이미 6G까지 개발 중이라고 하는데,과연 5G는 이통3사의 황금알이 될 수 있을까.◆마법의 점유율은 5G에서도 계속된다지2020-02-24 13:47:51테크M 이수호 기자
-
게임음악과 오케스트라의 만남... 펄어비스 '오딜리타' 협주곡 공개펄어비스는 24일 전세계 150여개국 1000만명이 즐기는 검은사막의 신규 지역 '오딜리타' 메인 테마곡인 '오딜리타 피아노 협주곡' 영상을 공개했다.'오딜리타 피아노 협주곡'은 펄어비스 류휘만 음악감독이 작곡했다. 오케스트라 편곡은 주인로가 담당했다. 정통 클래식 오케스트라 교향곡 형식을 계승하면서도 국내 외 게임음악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고난도의 클래식 피아노 협주곡 형식으로 제작했다.업데이트를 앞두고 있는 '오딜리타'는 '카마실비아'에서 쫓겨나 오2020-02-24 12:21:31테크M 허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