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방구석 게이머'들은 '코로나19'에도 중국산 게임을 택했다
중국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 역시 중국산 게임들이 잠식하는 모습이다. 정부의 외출 자제령으로 집에서 게임을 즐기는 이용자가 많아지면서 국내 게임업계가 반등 기회를 잡는 듯 보였지만, 중국산 게임의 인해전술에 또다시 밀려나는 모양새다.
◆엔씨-넥슨 다음은 릴리즈게임즈? 우리 안방 휩쓰는 중국산게임
24일 구글의 애플리케이션 마켓 구글플레이에 따르면 지난 12일 릴리즈게임즈가 내놓은 신작 'AFK 아레나'가 매출순위 4위로 올라섰다. 유명배우 김유정을 앞세운 대규모 마케팅이 통했다는 평가다. 아울러 지난해 출시된 릴리즈게임즈의 또다른 게임 '라이즈오브킹덤즈'도 여전히 매출 순위 5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라이즈오브킹덤즈는 그간 국내에서 크게 인기를 끌지 못했던 전략게임이다. 중국게임이 신시장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간 국내 게임시장은 리니지를 비롯한 MMORPG 장르가 시장을 지배해왔다. 그러나 비인기 장르의 중국산 게임이 대형게임사의 주류게임을 제치고 매출 상위권에 자리매김한 것이다.
이밖에도 4399의 '기적의 검'이 6위, 요스타의 '명일방주'가 7위다. 두 게임 모두 중국 게임사의 게임이다. 사실상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의 허리를 중국산 게임들이 장악한 모습이다. 매출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엔씨소프트의 리니지M과 리니지2M, 매출 3위 넥슨의 V4를 제외하면 사실상 국내에서 돈을 벌고 있는 게임사업자는 중국업체들 뿐이다.
◆중국산 게임의 힘… 앞으로가 더 두려워
이처럼 중국 게임들이 국내 게임시장을 종횡무진하는 원동력으로 전문가들은 '투자의 결과물'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주요 게임사들이 대형 MMORPG에 주력하는 동안, 중국개발사들은 미소녀를 앞세운 수집형 게임, 전략시뮬레이션 게임 등 다양한 장르에서도 규모의 경제를 달성했다.
주 52시간제와 같은 규제가 없는 덕분에 대규모 개발인력을 투입, 다양한 시도를 통해 한국인에게 최적화된 게임 콘텐츠를 완성했다. 아울러 유명배우를 앞세운 대규모 마케팅으로 중국산 게임이라는 색안경도 벗겨냈다. 일부 게임사는 국내 유통사를 두지 않고, 자체 배급사를 통해 직접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앞으로 더욱 고도화된 한국 맞춤형 게임이 급증할 것으로 점쳐진다.
떄문에 일각에서는 엔씨-넥슨-넷마블과 같은 대형게임사가 내놓는 MMORPG만 살아남고, 전략과 미소녀, 캐주얼과 같은 다양한 신장르 게임은 중국개발사들에게 밀려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산게임이 우리 안방을 꿰차고 있지만, 반대로 국내 게임사들의 중국 수출길은 3년째 막혀 있다. 앞서 중국은 지난 2017년 3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갈등이 불거진 이후 국산 게임에 판호를 내주지 않고 있다. 중국은 게임유통을 당국이 관리하며 판호라 불리는 일종의 허가증을 통해 게임산업을 관리하고 있다.
중국 게임 공세에 손 놓고 시장을 내주고 있는 국내 게임업계는 오는 3월로 예고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방한에 발맞춰 '한한령' 해제에 사활을 걸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이마져도 기대감이 낮아진 상태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
콘텐츠프로토콜로 드러난 'ICO' 민낯... 투자자 권리 보호 못받는다#일방적 사업중단 통보 #ICO는 투자 아니다#CPT 사례 또 나올수도'한국판 넷플릭스'라고 불리던 왓챠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콘텐츠프로토콜이 최근 일방적으로 사업 중단 통보하고 암호화폐 보유자 보상 절차에 돌입한다고 공지했다.사업을 운영할 자금이 부족한 것도 아닌데 규제, 시장 등 외부적 요인으로 사업 전망이 부족하다 판단해 프로젝트를 중단하기로 했다. 암호화폐 보유자들의 의사와 무관하게 하루 아침에 사업 중단을 발표해도 법적 문제는 없을까.◆ICO 참여자는 투자자 아니다이같은 일방적 사업 중단은 기2020-02-24 14:30:09테크M 문정은 기자
-
투자한만큼 벌고 싶은 SKT-KT-LGU+ '5G' 경쟁, 차별화 포인트 있니?#마법의 비밀번호 '5대3대2'#5G 킬러 서비스 경쟁 점화 #결국 게임에서 승부날까?'5대3대2'라는 마법같은 시장점유율을 10여년째 이어온 국내 이동통신3사가 5G라는 새로운 전선에서 본격적으로 경쟁할 채비를 마쳤다.지난해 3사가 나란히 영업이익면에서 부진했던 이유 역시 5G에 대한 시설투자(CAPEX)와 마케팅비 때문이다.올해는 그 투자에 대한 과실을 따야한다. 이미 6G까지 개발 중이라고 하는데,과연 5G는 이통3사의 황금알이 될 수 있을까.◆마법의 점유율은 5G에서도 계속된다지2020-02-24 13:47:51테크M 이수호 기자
-
게임음악과 오케스트라의 만남... 펄어비스 '오딜리타' 협주곡 공개펄어비스는 24일 전세계 150여개국 1000만명이 즐기는 검은사막의 신규 지역 '오딜리타' 메인 테마곡인 '오딜리타 피아노 협주곡' 영상을 공개했다.'오딜리타 피아노 협주곡'은 펄어비스 류휘만 음악감독이 작곡했다. 오케스트라 편곡은 주인로가 담당했다. 정통 클래식 오케스트라 교향곡 형식을 계승하면서도 국내 외 게임음악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고난도의 클래식 피아노 협주곡 형식으로 제작했다.업데이트를 앞두고 있는 '오딜리타'는 '카마실비아'에서 쫓겨나 오2020-02-24 12:21:31테크M 허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