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정부, 공공 홈페이지 응답 속도 13->3초로 줄인다
정부, 공공 부문 홈페이지를 더 빠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공 홈페이지 응답속도를 현재 평균 13초에서 3초로 단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느리고 복잡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공공 웹사이트의 사용자 경험(UX)이 개선되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20일 정부 및 공공기관 IT 관계자들에 따르면 행정안전부가 지난 13일 정부, 공공 기관들에 홈페이지를 최적화해달라고 요청했다.
행안부는 각 기관에 ‘행정, 공공기관별 웹 사이트 최적화 추진계획’을 11월까지 수립하고 가능한 빨리 적용해달라는 내용을 전달했다. 대상은 중앙 행정 기관들과 산하 기관들 그리고 광역시도 및 시도교육청과 산하 기관들이다.
행안부는 11월 중 각 기관들이 자율적으로 홈페이지 최적화 계획을 수립해 추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행정, 공공기관 웹사이트 구축운영 가이드도 곧 개정해 제공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우선 각 기관들이 자율적으로 최적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하고 내년에 추진 상황을 점검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사이트 품질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평가를 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최근 공공 부문 홈페이지를 최적화하는 방안에 대해 요청한 것이 맞다”며 “요청에 따라 무거운 홈페이지를 가볍게 하고 응답속도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바로 적용 가능한 조치부터 하게 될 것이다. 목표는 홈페이지 응답속도를 3초 정도가 될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것이다. 다만 각 사이트의 서비스 내용과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현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행정, 공공 기관의 대국민 웹사이트가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일부 사이트의 경우 웹 페이지 용량이 크고 정비도 되지 않아 이용에 불편을 준다고 판단하고 있다.
실제로 행안부가 올해 8월 81개 주요 사이트를 분석한 결과 첫 페이지의 응답속도가 평균 13.3초로 나타났다. 중앙부처에서 운영하는 47개 사이트의 경우 응답속도가 10.4초였지만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17개 사이트는 20.2초에 그쳤다.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17개 사이트도 응답속도가 14.3초로 평균보다 느렸다.
공공 홈페이지들은 용량도 커서 사용을 불편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81개 사이트 첫 페이지 용량은 6.2MB에 달했다. 중앙부처는 4.8MB였지만 지자체 용량은 9MB, 교육청은 7.2MB로 큰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조사에서는 기관들 간 응답속도, 페이지 용량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81개 홈페이지 중 응답속도가 1.9초 밖에 안된 곳도 있지만 어떤 곳은 56초나 걸렸다. 첫 페이지 용량도 제각각이다. 0.7MB 밖에 안되는 것도 있지만, 20.4MB에 달하는 사이트도 있었다.
공공 부문 웹사이트 응답 속도와 페이지 용량이 제각각인 것은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로선 기관들 간 격차를 문제 삼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일부 사이트는 시간이 지나면서 사이트가 편해지는게 아니라 오히려 느려지고 있는 상황이다.
행안부는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공공 부문 홈페이지 최적화 방안을 추진하게 됐다.
테크M이 입수한 관련 공문들에 따르면 우선 행안부는 ‘3초, 3MB’ 기준을 정했다. 기본적으로 공공 부문 홈페이지 첫 페이지 용량을 3MB 이하로 최소화하도록 하고 사이트 특성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 예외를 인정할 방침이다. 또 응답속도 역시 3초 이하를 권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행안부는 전송 데이터 압축, 이미지 최적화, 중복 또는 미사용 스크립트 제거 등 홈페이지 개선과 인프라, 웹서비스 운영방식 개선 등을 해줄 것을 요청했다. 행안부는 정부, 공공 기관에서 홈페이지 최적화에 참고할 수 있도록 주요 기법들도 전달하고 있다. 콘텐츠전송네트워크 활용, 도메인네임서버(DNS) 조회수 줄이기, 자바스크립트 최소화, 중복 스크립트 제고, HTTP 요청 최소화 등이 그것이다.
11월 각 기관들이 홈페이지 최적화 계획을 수립한 후 최적화를 추진하면 내년까지 홈페이지들이 전반적으로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정부, 공공 홈페이지 응답 속도 13->3초로 줄인다정부, 공공 부문 홈페이지를 더 빠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공 홈페이지 응답속도를 현재 평균 13초에서 3초로 단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느리고 복잡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공공 웹사이트의 사용자 경험(UX)이 개선되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20일 정부 및공공기관 IT 관계자들에 따르면 행정안전부가 지난 13일 정부, 공공 기관들에 홈페이지를 최적화해달라고 요청했다.행안부는 각 기관에 ‘행정, 공공기관별 웹 사이트 최적화 추진계획’을 11월까지 수립하고2017-10-20 16:51:32강진규 기자
-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으로...글로벌 모빌리티 서비스 새판 꿈틀모빌리티 서비스 생태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두 축인 완성차 제조사와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 간 이합집산이 거세다. 어제의 친구가 적으로 바뀌는 사례들도 나오고 있다.19일(현지시간) 미국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 리프트는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의 주도 속에10억 달러 투자를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를 통해 리프트 기업 가치는 75억 달러에서 110억 달러로 늘었다.알파벳의 행보는 우버와 사이가 틀어진데 따른 후속 조치로 풀이된다.알파벳 산하 구글은 우버의 초기 유력 투자사 중 하나였다. 구글은 202017-10-20 13:18:52황치규 기자
-
신용카드 역사가 말해주는 핀테크의 미래[테크M=글 송경모 미라위즈 대표]외상 거래의 역사는 오래 됐다. 19세기 말부터 미국의 일부 대형 호텔, 백화점, 주유회사는 고객의 이름이 기록된 금속 또는 판지 재질의 카드를 발급해서 외상 구매를 허용했다. 이는 고객을 관리하는 중요한 수단 가운데 하나였다.1915년 이후에는 이 고객 관리 수단이 소규모 호텔, 상점, 전화회사, 철도회사로 확산됐다. 이들은 고객이 매달 신용결제, 즉 외상을 이용할 수 있도록 ‘쇼퍼 플레이트(Shopper Plate)’라 불리는 토큰을 발행해 줬다.18882017-10-20 10:58:45글 송경모 미라위즈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