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5G 기반 커넥티드카 시장이 먼저 열릴 것”
INTERVIEW-김동구 연세대 교수
INTERVIEW-김동구 연세대 교수
“5G는 4차 산업혁명의 근간이 되는 네트워크이고, 전 산업에 적용되는 기술입니다. 5G가 어디로 튈지 모릅니다.”
5G포럼 집행위원장인 김동구 연세대 교수(전기전자공학부)는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5G의 가장 큰 특징이 모든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5G가 어디로 튈지 모른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김동구 교수는 “과거 많은 사람이 4G가 신세계를 열 것이라고 말했지만 정작 4G가 시작되기 전에는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는 알 수 없었다”며 “전 산업에 적용되는 것이 핵심인 5G 역시 엄청난 변화를 일으키겠지만 지금은 어떤 모습으로 전개되고 누가 주역이 될 지 알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5G는 4G에 비해 전송속도가 최대 100배 빠르고 지연시간은 10분의 1로 줄어든다. 또 업로드가 약한 4G와 달리 많은 데이터를 업로드 할 수 있고, 엔드투엔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한다.
이러한 차이가 지능형 기기에 대응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성능을 제공해 이동통신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꿔놓게 될 전망이다.
김 교수는 5G가 적용돼 획기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대표적인 산업으로 자동차(자율주행 및 교통), 에너지, 공장, 헬스케어,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를 들고 “이 중에서 자동차 분야가 먼저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율주행 등을 위해 자동차와 자동차, 자동차와 도로 교통신호간에 끊임없이 통신을 해야 하는데 이 때 5G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또 이 분야의 변화 발전 속도가 다른 어느 분야보다 빨라 먼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김동구 교수는 또 5G는 새로운 형태의 헤게모니 싸움을 불러올 것으로 보고 있다. 대부분의 영역에서 이동통신사와 각 산업의 주요 기업들이 네트워크, 서비스 등의 주도권을 놓고 충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전개 과정에서 전혀 새로운 해법을 제시하는 세력이 등장할 가능성도 매우 크다.
김 교수는 “4G에서 혁신이 일어난 것은 카카오톡과 같은 킬러 앱이 나왔기 때문” 이라며 “5G 시대에도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나올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2018년이 5G 분야에서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우선 상용화 시점을 2019년으로 앞당긴다고 발표한 한국이 2월 평창동계올림픽에서 5G 기반의 다양한 시범서비스를 선보인다.
또 평창올림픽에 이어 다양한 실증사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물론 미국, 중국, 일본, 유럽 등 경쟁국들도 5G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2018년에 제한된 5G 서비스에 나서거나 다양한 실증사업을 진행하면서 성과를 보여주는데 전력을 기울일 전망이다.
김 교수는 “한국이 상용 서비스 시점을 2020년에서 1년 앞당긴 것은 전 세계 기업들이 치열하게 경쟁할 관련 장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것”이라며 “실제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먼저 적용하고 개선 과정을 거친 장비가 우위에 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의 5G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오픈 이노베이션’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중소기업, 대학, 연구자 등 다양한 주체가 각 산업군의 5G 플랫폼에 자유롭게 접근해 해당 분야의 요구사항에 맞춰 개발하고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다”며 이같은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다양한 킬러앱을 만들어낼 수 있고, 그래야 5G를 통한 혁신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
전통의 컴퓨팅 업체들, 블록체인 타고 제2의 도약?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등 서비스 기반 회사들에 밀려 디지털 생태계의 관심 밖으로 밀려난 느낌을 주는 전통의 엔터프라이즈 컴퓨팅 회사들이 2018년 분위기 반전을 꾀할 수 있을까?IBM, 오라클 등 컴퓨팅 인프라 공급 업체들이블록체인을 앞세워제 2의 도약을 노리고 있다.현재까지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 블록체인이 이들회사의매출 확대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시그널이 감지되고 있다.포춘 인터넷판에 따르면IBM,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 등 기업용 솔루션 회사들은 블록체인을 통해다양한 제품에 대2017-12-29 16:05:39황치규 기자
-
마지막 문샷 프로젝트, "뇌를 알아내라"[테크M 독점제휴=MIT테크놀로지리뷰]인공지능은 뇌를 모방한 것이지만 뇌와 완전히 같은 원리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정말 뇌처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실제 뉴런과 신경섬유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지금까지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일을 이뤄내야 한다.완벽에 가까운 얼굴 인식에서부터 자율주행차, 세계를 제패한 바둑프로그램 등 인공지능은 우리를 놀라게 하고 있다. 심지어 어떤 인공지능 프로그램은 프로그래밍 할 필요도 없다. 경험을 통해 스스로 배울 수 있는 아키텍처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인공지능은 여전히2017-12-29 14:23:22독점제휴=MIT테크놀로지리뷰
-
“5G 기반 커넥티드카 시장이 먼저 열릴 것”INTERVIEW-김동구 연세대 교수“5G는 4차 산업혁명의 근간이 되는 네트워크이고, 전 산업에 적용되는 기술입니다. 5G가 어디로 튈지 모릅니다.”5G포럼 집행위원장인 김동구 연세대 교수(전기전자공학부)는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5G의 가장 큰 특징이모든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5G가 어디로 튈지 모른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김동구 교수는 “과거 많은 사람이 4G가 신세계를 열 것이라고 말했지만 정작 4G가 시작되기 전에는 어떻게2017-12-29 11:35:29강동식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