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어떻게 인공지능에 포함된 편견을 제거할까
[테크M 독점제휴=MIT테크놀로지리뷰]
알고리즘은 가석방을 금지하거나 대출을 승인하는 등 사람들의 인생을 바꿀 수 있는 결정을 내린다.
하버드대의 컴퓨터과학자 신시아 드웍 교수는 인공지능이 공정하게 작동하도록 만드는 방법을 찾고 있다.
"알고리즘 디자이너와 데이터 과학자들이 편견이나 불공정을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여성에게 불리한 환경이 있습니다.
2~3년 정도 일하면 승진하는 것을 알고리즘에서 성공이라고 정의했다고 해봅시다.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알고리즘은 여성 채용이 좋은 생각이 아니라고 판단하게 될 것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여기서 과거에 누구를 채용했는지가 문제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과거의 채용 과정에 전혀 편견이 들어가지 않았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환경이 여성에게 불리하기 때문에 그런 불공정한 상황이 계속될 수 있습니다.
이는 구조적이고 사회에 더 깊이 새겨져 있어 더욱 극복이 어려운 조건입니다.
나는 인공지능과 기계학습이 누구와 누구를 공정하게 대해야 하는 지를 역사적으로 사회학적으로, 심리학적으로 잘 이해하는 사람들과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고 믿습니다.
인공지능이 이를 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적어도 지금은 아닙니다. 지금의 모델이 옳은지, 이 모델이 이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우리는 우리가 하는 이야기가 무슨 뜻인지 알아야 합니다. 유명한 말이 있지요.
“모든 모델은 틀렸고, 그 중 몇몇은 쓸만하다.”
<본 기사는 테크M 제56호(2017년 12월) 기사입니다>
-
모바일 메신저와 암호화폐의 통합을 주목하는 이유모바일 메신저가 사용자들이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중량감 있는 통로가 될 수 있을까?암호화폐와의 접점을 확보하려는 모바일 메신저 회사들의 행보에 가속도가 붙었다. 체감할만한 효과로 이어질지는 좀더 두고봐야겠지만 일단 연결고리는 만들어지는 분위기다.현재 암호화폐는 거래소를 통해 사고 파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활용 측면에서 암호화폐를 체감하기 힘든 것이현실이다.모바일 메신저가 붙으면 얘기가 달라질 수 있다. 유력 모바일 메신저의 지원은 사용자가 암호화폐를 체감할 수 있는 공간이 크기 확대되는 계기가2018-01-11 10:18:54황치규 기자
-
와이콤비네이터는 왜 기본소득 실험을 할까[테크M=이석원 벤처스퀘어 편집장]기본소득은 노동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사회 구성원에게 균등하게 지급하는 소득을 말한다. 정부가 무상으로 금전을 제공해 사람들이 더 창조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액셀러레이터인 와이콤비네이터는 이런 기본소득에 대해 관심을 보이는 건 물론 직접 대규모 실험도 진행 중이다.와이콤비네이터는 2016년 기본소득 연구에 투자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5년간 대규모 기본소득 실험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앞서 밝혔듯 기본소득은 정부가 모든 국민에게 최소한의 생활에 필요한2018-01-10 16:40:59공동기획=한국인터넷진흥원
-
아마존이 동영상서비스(OTT)를 준비하는 법[테크M=최홍규 EBS 연구위원]아마존닷컴은 지난해11월 자회사 아마존 웹서비스(AWS)의 연례 기술 컨퍼런스 ‘AWS 리인벤트2017’을 통해 AWS 엘리멘탈 미디어 서비스5종을 발표했다. OTT(Over The Top)로 대변되는 동영상 서비스 업체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바탕으로 동영상 스트리밍 시장을 더욱 견고하게 다지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아마존은 이미 AWS를 통해 동영상 서비스 업체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번발표로 보다 많은 업체들이 콘텐츠 리소스를 디스플레이하기2018-01-10 16:06:48공동기획=한국인터넷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