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2018전망]“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의 융합 주목해야”
Interview-인치원 카카오브레인 CSO
[인터뷰] 인치원 카카오브레인 CSO
인공지능으로 인한 산업 지형도의 변화가 거세다. 2018년엔 변화는 더욱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카카오브레인의 인치원 최고전략책임자(CSO)는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업의 본질을 바꾸고 있고, 많은 분야가 인공지능 업종으로 바뀔 것”이라고 전망했다.
테슬라도 전기차를 넘어 자율주행 알고리즘이 주특기라고 말하고 GE 역시 오래전부터 공장이 아니라 공장에서 발생하는 빅데이터로 수익을 내는 회사임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그에 따르면 이같은 상황은 업의 생명주기가 점점 짧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인공지능으로 인해 어떤 업종의 성격 자체가 바뀌는 흐름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얘기다.
여기에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기술의 결합되면 변화의 폭은 더욱 커질 것이라는 것이 그의 전망이다.
인치원 CSO는 “휴먼 데이터 이해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모션, 음성과 같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분산처리 기술도 진화에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며 "여기에 알고리즘이 무서운 속도로 발전하면서 인공지능이 꽃을 피우고 있다”고 말했다.
각국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미국에 이어 중국이 글로벌 인공지능 시장의 큰손으로 급부상했다.
인치원 CSO도 중국의 부상을 주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중국은 신규 인공지능 투자를 선도하고 있다. 국가적으로 2030년까지 글로벌 넘버원이 되겠다고 선포하는 등 중국식 인공지능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가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아이플라이테크에 역할을 분담시키는 방법으로 미국을 무섭게 추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2018년에는 글로벌 업체들의 국내 인공지능 시장 공략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국내 업체들은 안방에서도 만만치 않은 경쟁에 직면할 수 있다. 인치원 CSO는 “글로벌 업체들은 아마존처럼 API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국내 인공지능 시장 공략에 나설 것”이라며 “규모가 중요한데, 국내 업체들이 이들을 상대로 규모로 싸우기가 쉽지는 않다”고 말했다.
인치원 CSO는 이와 관련해 기업간 제휴를 해법으로 내세웠다.
그는 “카카오나 네이버는 인공지능 엔진을 잘 개발해 삼성전자 스마트폰, LG전자 가전, 현대차 자동차, SK하이닉스 반도체 등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중소기업들을 상대로 오픈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거대 회사들과의 제휴도 점점 중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본 기사는 테크M 제57호(2018년 1월) 기사입니다>
-
[전망2018]이경수 교수, "자율주행차와 교통인프라 연계가 이슈"[인터뷰]이경수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2018년 자율주행차 분야는 낮은 단계의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대비한 준비가 본격화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개별차량 시험 운행을 넘어 제한된 공간에서 여러 대의 자율주행차를 운행하는 단계로 진입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또 자율주행차 운행에 대비한 법제도와 교육 등에 대한 논의도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서울대 자율주행차 연구팀을 이끌고 있으며 판교자율주행 버스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이경수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에게 2018년 자율주행차 발전 방향에 대2018-01-20 11:15:35강진규 기자
-
[망중립성 논쟁] 美 정부 원칙 파기로 업계 공방가열[테크M=김익현 지디넷코리아 미디어연구소장]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망중립성 원칙을 무력화했다.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들을 기간통신 사업자(타이틀2)에서 정보서비스사업자(타이틀1)로 재분류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인터넷 자유 회복(Restoring Internet Freedom)’ 최종안(final draft) 을 3대 2로 통과시킨 것.이로써 오바마 행정부 때인 2015년 강력한 망중립성 원칙을 도입한 지 2년 만에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게 됐다.이번 조치로 구글, 페이스북 등인터넷2018-01-20 09:15:18김익현 지디넷코리아 미디어연구소장
-
MS 애저, 리눅스 VM 비중 50% 돌파..."글로벌보다 높다"마이크로소프트가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애저(Azure)’를 통해 오픈소스 생태계를 활성화한다는 전략이과실을 맺고 있다.글로벌 시장에서 애저 리눅스 기반 가상 컴퓨터(VM) 서버가 40%를 돌파한데다 한국 시장에서는 50%에 육박한 점유율을 보이며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상황.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픈소스 생태계를 활용한 실증사례도 속속 등장하면서 파급력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마이크로소프트는 19일 미디어 브리핑 세션을 열고 애저를 통한 오픈소스 지원 성과2018-01-19 15:06:07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