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전자정부도 AI 기반 전환 본격화 ...선봉은 '보안'
정부가 기존 전자정부 서비스를 인공지능(AI) 기반으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한다. 첫 단계로 정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정부시스템을 겨냥한 사이버위협 50만 건을 AI로 분석, 대응할 방침이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2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2018년 전자정부 지원사업 사업설명회’를 열고 인공지능 중심의 전자정부 추진 전략을 밝혔다.
첫 번째 적용 사례는 보안이 될 전망이다. 이날 행사에서 전용광 행안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구 정부통합전산센터) 사무관은 “매일 정부시스템을 대상으로 1000만 건의 보안이벤트(이상징후)가 발생하고 이중 핵심적인 내용 10만 건을 전문가들이 분석하고 있다”며 “올해 인공지능으로 1000만 건 중 5%(50만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관리하는 1500여개 시스템을 대상으로 발생하는 보안 이상징후에 대한 대응능력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인공지능 기반 차세대 보안시스템 구축’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했다. 그리고 올해 7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 1차 사업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3단계 사업을 진행한다.
전용광 사무관은 “2월에 공고를 낸 후 8개월 간 1단계 시스템을 구축해 보안이벤트 5%에 대응하고 3단계 사업 후에는 보안이벤트의 80%(800만 건) 분석에 인공지능을 적용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사업에서 정부는 시스템을 겨냥한 보안 위협과 유형을 인공지능에게 학습시켜 보안전문가들의 대응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령 인공지능이 먼저 보안이벤트를 분석해 위험성이 높은 것과 낮은 것을 분류해주면 전문가들이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위험한 징후에 대해 우선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능정보 기반 차세대 국민신문고 구축사업도 진행한다. 국민신문고 서비스는 대국민 민원서비스로 2017년에만 310만건의 민원과 8만1600여건의 제안이 제기된 바 있다. 국민권익위는 지능정보 기술을 적용해 민원 분석을 고도화하고 민원 추이에 따른 조기 대응 시스템도 만들 방침이다.
행안부는 인공지능 보안 시스템 같은 사례가 나올 수 있도록 지능형 전자정부 체계 구축에도 나선다. 행안부는 올해 ‘지능형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행정서비스 재설계’ 사업을 진행한다. 이 사업은 기존 전자정부를 지능형 전자정부로 재설계하기 위해 종합적으로 전자정부 현황을 분석하고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는 것. 이 사업에서 행안부는 지능형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ISP도 수립한다. 국민들 개개인의 요구와 환경, 서비스 이용패턴 등을 고려해 인공지능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행안부는 올해 ISP를 수립한 후 이 내용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계획을 만들고 기획재정부에 관련 예산을 신청해 내년부터 본 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행안부는 인공지능 뿐 아니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새로운 기술을 전자정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세대 전자정부 플랫폼 구축 ISP도 진행한다. 차세대 전자정부 플랫폼은 기존 전자정부 플랫폼과는 별개로 완전히 새로운 기술들에 최적화돼 설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플랫폼은 지능형 전자정부 플랫폼으로 명명될 것으로 보이며 지능정보화 사업의 핵심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올해 ISP 수립 후 내년부터 차세대 플랫폼 개발을 진행한다.
행안부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플랫폼을 만들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지능정보화 사업에 적용할 경우 중복 투자와 상호호환성 해결로 3748억 원의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 행안부와 NIA는 올해 전자정부지원사업으로 26개 과제에 869억 원이 투입될 것이라고 밝혔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
자영업자 겨냥 카톡 기반 회계 서비스 '캐시노트’ 뜬다[인터뷰]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자영업자들은‘24시간이 모자라’다. 업종에 따라 다르지만 새벽부터 재료마련과 손질 등 장사준비를 시작해야 하고,오픈한 뒤로는 고객응대로 바쁘다. 영업을 마친 뒤에는 청소를 비롯한 마감 업무에 정신이 없다. 매출관리와 세금신고를 제대로 하고 싶지만 해야 할 업무를 처리하다보면 뒤로 미루기 일쑤다.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에게 자영업자들이 처한 이같은 상황은 비즈니스 기회였다.그는 카카오톡으로쉽게매출관리와 세금신고 업무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2018-01-25 17:20:23김태환 기자
-
중국이 소형 하드웨어용 AI 칩 시장을 노리는 이유중국 정부과 기업들은 반도체 시장에서의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인공지능(AI)에 최적화된 칩을 주목해왔다. 이미 규모의 경제가 지배하는CPU나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AI용 칩은판이 새로 짜이고 있는 만큼, 초반 레이스를주도할기회가 있다는 판단에서다.구체적인 결과물들도 속속 나오고 있다. 24일(현지시간) MIT테크놀로지리뷰에 따르면 중국 칭화대 연구팀은 다양한 기기에 탑재될 수 있는 AI 칩인 싱커(Thinker) 개발했고, 이를 탑재한 첫 제품도 3월선보인다.칭화대 연구팀이 개발한 싱커는 신경망을 지2018-01-25 15:58:09황치규 기자
-
"3배 정교해졌다"...MS '드로잉봇'으로 본 AI 기술의 진화누군가가 그리고 싶은 그림을 텍스트로 정리해 주면 인공지능(AI)이 거기에 맞는 그림을정교하게 그려주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지금 나와 있는 기술보다 매우 정교한 결과물을 내놓는다고 한다.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가 캡션과 같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드로잉봇(drawing bot) 기술을 개발 중이다.마이크로로소프트 드로잉봇은 개별 글자들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특징. 이를 기반으로 이전에 개발된 문장 위주의 텍스트-이미지 변환 기술보다 품질 측2018-01-25 10:57:16황치규 기자, 곽예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