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과기정통부 "블록체인 육성한다"...암호화폐와는 분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암호화폐와의 분리에 초점을 맞춘 블록체인 산업 발전 전략을 추진한다. 올해 블록체인 정부지원 예산을 대폭 확대,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의 원년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12월 초부터 국무조정실 주관 관계부처회의에 참여하며 가상통화와 블록체인 이슈에 공동 대응해왔다. 이 과정에서 암호화폐 논란과 별개로 블록체인 기술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고 이러한 인식을 관계부처와 공유해왔다.
블록체인 관계자들 사이에선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을 따로따로 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주장도 많다. 불특정 다수 노드(Node: 컴퓨팅 인프라 제공자)의 참여에 기반한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 보상 체계가 없으면 제대로 돌아가기 어렵다. 현재로선 암호화폐가 가장 유력한 수단이라는 것이 업계 설명이다.
하지만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경우 참여하는 노드를 운영자가 통제할 수 있어, 암호화폐와 같은 보상 체계 없이도 운영 가능하다. 그러나 누군가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은 탈중앙화를 통해 무결성을 구현하다는 블록체인의 기본 개념과 충돌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과기정통부는 퍼블릭과 프라이빗 가리지 않고 블록체인을 지원한다는 입장이지만 암호화폐와는 거리를 두고 있음을 감안하면 프라이빗에 상대적으로 힘이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4억원을 투입해 실손보험금 청구 자동화, 세대 간 전력거래 등 4건의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올해는 세 배 확대된 42억원의 예산을 투입, 공공분야 우수사례를 발굴할 계획이다.
블록체인 기술개발의 경우, 대용량 초고속 데이터 처리기술, 블록체인 간 상호연동 기술 등을 개발하기 위해 작년 40억원 보다 두 배 이상 확대된 100억원 규모를 투입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블록체인 컨퍼런스, 인력양성, 실태조사 등을 통해 블록체인이 4차산업혁명 구현을 지원하는 기반기술로 자리매김하도록 체계적 지원체계를 갖출 계획이다.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가칭 ‘블록체인 산업발전 기본계획’을 올해 상반기까지 수립 및 추진할 방침이다.
[테크M=황치규 기자(delight@techm.kr)]
-
자영업자 겨냥 카톡 기반 회계 서비스 '캐시노트’ 뜬다[인터뷰]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자영업자들은‘24시간이 모자라’다. 업종에 따라 다르지만 새벽부터 재료마련과 손질 등 장사준비를 시작해야 하고,오픈한 뒤로는 고객응대로 바쁘다. 영업을 마친 뒤에는 청소를 비롯한 마감 업무에 정신이 없다. 매출관리와 세금신고를 제대로 하고 싶지만 해야 할 업무를 처리하다보면 뒤로 미루기 일쑤다.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에게 자영업자들이 처한 이같은 상황은 비즈니스 기회였다.그는 카카오톡으로쉽게매출관리와 세금신고 업무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2018-01-25 17:20:23김태환 기자
-
중국이 소형 하드웨어용 AI 칩 시장을 노리는 이유중국 정부과 기업들은 반도체 시장에서의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인공지능(AI)에 최적화된 칩을 주목해왔다. 이미 규모의 경제가 지배하는CPU나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AI용 칩은판이 새로 짜이고 있는 만큼, 초반 레이스를주도할기회가 있다는 판단에서다.구체적인 결과물들도 속속 나오고 있다. 24일(현지시간) MIT테크놀로지리뷰에 따르면 중국 칭화대 연구팀은 다양한 기기에 탑재될 수 있는 AI 칩인 싱커(Thinker) 개발했고, 이를 탑재한 첫 제품도 3월선보인다.칭화대 연구팀이 개발한 싱커는 신경망을 지2018-01-25 15:58:09황치규 기자
-
"3배 정교해졌다"...MS '드로잉봇'으로 본 AI 기술의 진화누군가가 그리고 싶은 그림을 텍스트로 정리해 주면 인공지능(AI)이 거기에 맞는 그림을정교하게 그려주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지금 나와 있는 기술보다 매우 정교한 결과물을 내놓는다고 한다.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가 캡션과 같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드로잉봇(drawing bot) 기술을 개발 중이다.마이크로로소프트 드로잉봇은 개별 글자들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특징. 이를 기반으로 이전에 개발된 문장 위주의 텍스트-이미지 변환 기술보다 품질 측2018-01-25 10:57:16황치규 기자, 곽예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