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탈중앙화된 암호화폐거래소 레이더릴레이, 하드웨어 지갑도 지원
테크 분야 많은 전문가들이 블록체인에 담긴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지만 현재 시점에서 블록체인은 잠재력 만큼 한계 또한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가 암호화폐거래소 인프라다.
암호화폐거래소가 암호화폐 생태계의 일원이라고 강조하고 있는 이상, 암호화폐 기반 기술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서비스가 운영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하지만 현실은 거꾸로다. 블록체인과 상극이라 할 수 있는 중앙집중식 서버 기반으로 암호화폐거래소들이 운영되고 있다.
블록체인에 관심 있는 이들 사이에선 중앙집중식 환경에서 암호화폐를 사고 파는 거래소들의 인프라는 역설을 상징하는 장면으로 통하고 있다.
그러나 향후 거래소 인프라도 블록체인을 활용한 방식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해외의 경우 블록체인 기반으로 탈중앙화된 거래소 인프라를 제공하는 회사들이 이미 등장했다.
레이더릴레이(radarrelay)도 그중 하나. 레이더 일레이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암호화폐인 '이더'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발행되는 토큰 표준인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 20 기반 토큰들을 다른 레저 월렛 사용자들에게 바로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레이더 릴레이는 브라우저 기반 암호화폐 지갑인 메타마스크에 이어 최근에는 하드웨어 형태 지갑인 레저 월렛도 지원 목록에 추가했다. 레저 월렛 사용자는 컴퓨터에 하드웨어 지갑을 연결하고 이더리움 앱을 열은 뒤 레이더 릴레이 앱을 사용해 필요한 양 만큼의 암호화폐를 다른 이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레이더 릴레이는 블록체인과 0x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0x 프로토콜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서 수수료가 없는 거래를 활성화기 위해 지난해 처음 공개됐다. 0x는 사용자들이 프로토콜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비영리 단체 형태로 설립됐다. 지난해 8월 0x는 암호화폐를 발행해 투자금을 확보하는, 이른바 ICO를 통해 2400만달러를 확보했다. 이에 기반해 서비스를 개발한 레이더 릴레이도 지난해 300만달러의 투자를 받았다.
레이더 릴레이는 마켓플레이스가 아니라 메신저임을 강조하고 있다. 자산이 아니라 주문만 관리한다는 것이다. 암호화폐 소유자가 거래를 원하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인들에게 이같은 의사를 전달하고 주문이 완료되면 암호화폐는 개인들이 소유한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오고간다는 설명이다.
[테크M=황치규 기자(delight@techm.kr)
-
자영업자 겨냥 카톡 기반 회계 서비스 '캐시노트’ 뜬다[인터뷰]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자영업자들은‘24시간이 모자라’다. 업종에 따라 다르지만 새벽부터 재료마련과 손질 등 장사준비를 시작해야 하고,오픈한 뒤로는 고객응대로 바쁘다. 영업을 마친 뒤에는 청소를 비롯한 마감 업무에 정신이 없다. 매출관리와 세금신고를 제대로 하고 싶지만 해야 할 업무를 처리하다보면 뒤로 미루기 일쑤다.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에게 자영업자들이 처한 이같은 상황은 비즈니스 기회였다.그는 카카오톡으로쉽게매출관리와 세금신고 업무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2018-01-25 17:20:23김태환 기자
-
중국이 소형 하드웨어용 AI 칩 시장을 노리는 이유중국 정부과 기업들은 반도체 시장에서의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인공지능(AI)에 최적화된 칩을 주목해왔다. 이미 규모의 경제가 지배하는CPU나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AI용 칩은판이 새로 짜이고 있는 만큼, 초반 레이스를주도할기회가 있다는 판단에서다.구체적인 결과물들도 속속 나오고 있다. 24일(현지시간) MIT테크놀로지리뷰에 따르면 중국 칭화대 연구팀은 다양한 기기에 탑재될 수 있는 AI 칩인 싱커(Thinker) 개발했고, 이를 탑재한 첫 제품도 3월선보인다.칭화대 연구팀이 개발한 싱커는 신경망을 지2018-01-25 15:58:09황치규 기자
-
"3배 정교해졌다"...MS '드로잉봇'으로 본 AI 기술의 진화누군가가 그리고 싶은 그림을 텍스트로 정리해 주면 인공지능(AI)이 거기에 맞는 그림을정교하게 그려주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지금 나와 있는 기술보다 매우 정교한 결과물을 내놓는다고 한다.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가 캡션과 같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드로잉봇(drawing bot) 기술을 개발 중이다.마이크로로소프트 드로잉봇은 개별 글자들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특징. 이를 기반으로 이전에 개발된 문장 위주의 텍스트-이미지 변환 기술보다 품질 측2018-01-25 10:57:16황치규 기자, 곽예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