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진대제 블록체인협회장 “암호화폐, 주식에 준하는 규제 필요”
한국블록체인협회 창립식…“묻지마 투자 못하게 막아야 한다”
암호화폐거래소 등 관련 업체들이 참여하는 한국블록체인협회가 공식 출범했다. 초대 협회장은 삼성전자 사장 출신으로 참여정부 정보통신부 장관을 지낸 진대제씨가 맡았다.
진대제 협회장은 26일 한국블록체인협회 창립 기념 행사에서 암호화폐에 대해 주식시장에 준하는 규제가 필요하다다는 점을 강조했다. 벤처회사가 상장할 때처럼 심사규정을 정밀히 설계해 정보 없이 투자하는 이른바 ‘묻지마 투자’를 근절해야 한다고 지적이다.
진대제 협회장은 “벤처기업은 상장시 무엇을 하는지, 돈을 어떻게 버는지, CEO가 어떤 사람인지 모두 심사를 하는데, 암호화폐도 마찬가지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벤처 상장처럼 보편성 있는 심사기준을 마련해 꼼꼼히 점검하고, 거래소에서는 주식에 준하는 제도를 도입해 급등락이 나타나지 않도록 브레이크를 걸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한국블록체인협회는 민간 차원의 자율규제를 마련하고 회원사들에게 적용해 나가기로 했다. 진대제 협회장은 일본의 사례를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경우 암호화폐 거래소는 전자금융거래법에 기반해 운영되고 있지만, 일본은 자본개척법에 기반해 있다”면서 “한국은 디지털 토큰을 사고파는 형태로 취급하지만 일본은 주식처럼 대하고 있다. 앞으로 블록체인 육성차원에서도 암호화폐를 주식처럼 취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블록체인협회가 들고 나온 자율규제안은 크게 세 가지 틀로 구성돼 있다. 이용자들의 암호화폐 보관과 관련한 ‘자산 안전보관 시스템 통제’, 해킹 방지를 위한 ‘내부보안시스템에 대한 최소요건 구축’, 자금세탁을 방지하기 위한 거래실명제 등 ‘자금세탁방지 규제 보강’ 등이다.
진 회장은 상반기 중으로 협회 내에서 블록체인산업발전위원회, 자율규제위원회를 구성해 투트랙으로 육성과 규제를 동시에 진행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그는 “협회 내에 블록체인산업발전위원회와 자율규제위원회가 있지만, 제대로 정립돼 있진 않다”면서 “빠른 시간 내 자율규제심사안과 규제틀 만들 예정이며, 아직까지 블록체인 산업을 이해 못한 정책당국자에게 이해를 돕는 정보 체계를 만들어 배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자율규제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했다. 진대제 협회장은 “암호화폐 이슈로 정부가 여러 조치를 취하겠다고 얘기 하지만 실질적인 액션은 많이 나오지 않았다. 기업 활동은 시속 100km로 가는데 제도나 법은 시속 10km도 못따라간다”면서 “부작용이 나타나면 법은 ‘뒷북’을 칠 수밖에 없는데 적절한 시기에 (협회 자율규제를 통해) 생태계 참여한 분들이 블록체인의 효과를 모두 향유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블록체인협회는 이날 창립기념식에서 진대제 전 정보통신부 장관을 초대회장, 전하진 전 한나라당 의원을 자율규제위원장으로 선출하는 등 지도부를 구성을 완료했다.
[테크M = 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
[전망2018] 블록체인, 새 비즈니스 모델로 기존 산업 재편2018년 ICT 이슈 : 전방위로 적용 확산될 블록체인[테크M =오세현 SK텔레콤 블록체인사업개발 유닛장]키포인트금융을 넘어 다양한 산업에서 블록체인 기술 도입이 활성화된다.과거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들이 본격등장한다.블록체인으로 인해 산업 생태계 지형도가 달라지는 흐름도 가속화될 것이다.비트코인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2017년은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IT에 종사자 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은 해였다.몇몇 은행에서의 해외송금을 시작으로 블록체인을 기반의 인증 서비스개발시2018-01-30 09:55:54오세현 SK텔레콤 블록체인사업개발 유닛장
-
라뜰리에-명화 속 19세기 프랑스를 깨우다‘벨 에포크’시대, 꿈과 낭만의 19세기 프랑스를 체험할 수 있다면? 낭만과 사랑, 꿈과 희망으로 가득한 19세기 프랑스를 고스란히 재현한 마법 같은 공간을 서울 도심에서 만날 수 있다. ‘라뜰리에’에서는 디오라마, 영상기술, ICT를 기반으로 빈센트 반 고흐,클로드 모네, 모리스 위트릴로, 에두아르 레옹 코르테스 등 19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화가들의 작품을 색다르게 경험할 수 있다.라뜰리에(L’atelier)는 ‘빛의 회화&r2018-01-30 09:25:23글 신다혜 기자· 사진 성혜련
-
인간과 공존하는 빌려쓰는 로봇, 페치[테크M=장길수 칼럼리스트]미국 산호세의 물류로봇 스타트업인 페치로보틱스는 지난해 12월초 시리즈 B펀딩에서 2500만 달러를 유치했다. 기존의 펀딩 금액까지 포함하면 총 4800만 달러의 투자 자금을 끌어모은 것. 인공지능과 로봇을 차세대 성장엔진으로 선택한 일본 소프트뱅크를 비롯, 샤스타벤처스, 오라일리알파테크벤처스 등이 이 회사의 잠재력을 믿고 투자했다.페치로보틱스는 공급망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집중하는 로봇업체다. 공장이나 물류창고에서 박스나 부품을 옮기는 자율주행 이동 로봇(AMRs)인 페치, 이 로봇과 짝2018-01-29 14:32:44장길수 IT컬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