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미 국방성, 실패에서 배우는 로봇 만든다
ROBOT TECH : 인공지능과 로봇
[테크M=장길수 칼럼리스트]
미 국방성, 평생학습 로봇 L2M 프로젝트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헤니 벤 아머 교수팀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농구공을 던지는 로봇을 개발했다.
로봇은 양손으로 농구공을 잡아 팔로 골대에 넣는 동작을 반복 학습한다. 양팔과 로봇 관절들이 잘 협력해야만 공을 넣을 수 있다. 골대의 높이를 바꾸거나 골대와의 거리를 조정해도 로봇은 새로운 환경에 맞게 스스로 학습할 수 있다.
이전에도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이같은 동작을 학습할 수 있었지만 아머 교수팀이 개발한 알고리즘은 2~3시간이면 바뀐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고 한다.
사실 로봇은 새로운 환경을 접하면 그동안 학습한 행동이 한순간에 무력화된다. 농구공을 넣는 강화 훈련을 오랫동안 받았더라도 골대의 높이가 30cm 정도만 높아지면 대부분 로봇들은 어쩔 줄 모른다.
지난해 11월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는 자율주행 셔틀버스 나비야(Navya)가 야심찬 첫 운행을 시작했지만 교차로에서 만난 트럭과 접촉하는 사고가 났다.
정식 운행에 앞서 수많은 운행 경험을 갖고 있었던 나비야지만 접촉사고를 막지는 못했다. 문제는 나비야가 인간처럼 실수로부터 교훈을 얻지 못한다는 것.
인공지능 신경망은 방대한 양의 이미지 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학습한다. 하지만 한 번도 훈련받지 않은 환경을 만났을 때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훈련 과정을 진행하지 않으면 실수를 반복한다.
미 국방성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차세대 머신러닝 시스템인 평생학습기계(L2M)를 4개년 계획으로 개발 중이다.
L2M은 인공지능에 인간의 유연성을 결합하는 연구 사업으로 총 6500만 달러의 자금이 투입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DARPA는 새로운 일을 학습할 수 있으며, 언제 새로 학습해야 하는지, 무엇을 학습해야 하는지를 인공지능이 스스로 깨우치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이 프로젝트를 함께 할 협력기관을 물색하고 있다. 차세대 머신러닝 기술이 개발되면 이전의 사고나 운전 중 사각지대 등에서 습득한 지식을 자율주행차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프로그래밍 되지 않거나 훈련받지 않은 상황에도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의 디렉터인 하바 T 시겔만은 “우리는 인간의 유연성을 겸비한 엄격한 로봇을 원하지만 기존의 머신러닝은 불규칙하고 예측 불가능한 환경을 만나면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며 새로운 환경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머신러닝의 능력을 확장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본 기사는 테크M 제57호(2018년 1월) 기사입니다>
-
[전망2018] 블록체인, 새 비즈니스 모델로 기존 산업 재편2018년 ICT 이슈 : 전방위로 적용 확산될 블록체인[테크M =오세현 SK텔레콤 블록체인사업개발 유닛장]키포인트금융을 넘어 다양한 산업에서 블록체인 기술 도입이 활성화된다.과거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들이 본격등장한다.블록체인으로 인해 산업 생태계 지형도가 달라지는 흐름도 가속화될 것이다.비트코인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2017년은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IT에 종사자 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은 해였다.몇몇 은행에서의 해외송금을 시작으로 블록체인을 기반의 인증 서비스개발시2018-01-30 09:55:54오세현 SK텔레콤 블록체인사업개발 유닛장
-
라뜰리에-명화 속 19세기 프랑스를 깨우다‘벨 에포크’시대, 꿈과 낭만의 19세기 프랑스를 체험할 수 있다면? 낭만과 사랑, 꿈과 희망으로 가득한 19세기 프랑스를 고스란히 재현한 마법 같은 공간을 서울 도심에서 만날 수 있다. ‘라뜰리에’에서는 디오라마, 영상기술, ICT를 기반으로 빈센트 반 고흐,클로드 모네, 모리스 위트릴로, 에두아르 레옹 코르테스 등 19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화가들의 작품을 색다르게 경험할 수 있다.라뜰리에(L’atelier)는 ‘빛의 회화&r2018-01-30 09:25:23글 신다혜 기자· 사진 성혜련
-
인간과 공존하는 빌려쓰는 로봇, 페치[테크M=장길수 칼럼리스트]미국 산호세의 물류로봇 스타트업인 페치로보틱스는 지난해 12월초 시리즈 B펀딩에서 2500만 달러를 유치했다. 기존의 펀딩 금액까지 포함하면 총 4800만 달러의 투자 자금을 끌어모은 것. 인공지능과 로봇을 차세대 성장엔진으로 선택한 일본 소프트뱅크를 비롯, 샤스타벤처스, 오라일리알파테크벤처스 등이 이 회사의 잠재력을 믿고 투자했다.페치로보틱스는 공급망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집중하는 로봇업체다. 공장이나 물류창고에서 박스나 부품을 옮기는 자율주행 이동 로봇(AMRs)인 페치, 이 로봇과 짝2018-01-29 14:32:44장길수 IT컬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