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DNA 테스트 시장 뒤흔드나
개인들의 DNA 데이터 수익화 지원하는 네불라 제노믹스 주목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기술을 활용해 사람들이 자신의 유전자 염기 서열 데이터를 팔아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타트업이 등장해 주목된다.
MIT테크놀로리리뷰에 따르면 네불라 제노믹스는 1000달러 미만에 사람들이 유전자 염기 배열 정보를 테스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자신의 데이터를 갖고 수익화도 가능한 플랫폼을 준비 중이다.
흥미로운 점은 이 회사가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23앤드미나 헬릭스 등 기존 DNA 테스트 회사들과는 확실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23앤드미 같은 기업들은 사용자 DNA 데이터를 자신들이 소유한다. 반면 네불라 제노믹스는 데이터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넘기고 이들이 자신의 정보를 제약회사 등에 공유하고 암호화폐를 벌 수 있도록 한다. 자신의 유전자 염기서열 데이터를 저렴하게 분석해 질병 가능성 등을 파악하는 것에 대해 자신의 데이터로 수익도 낼 수 있는 길을 열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제약회사나 연구기관들은 신약 개발을 위해 유전자 테스트 회사 등으로부터 수백만달러를 내고 사람들의 데이터를 구입해왔다. 네불라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중개자 없이 개인들이 바로 제약회사 등에 자신의 데이터를 팔 수 있는 직거래 프로세스를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회사측에 따르면 네불라 제노믹스에서 유전자 염기 배열 테스트를 하려는 개인들은 암호화폐인 네불라 토큰으로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유전자 데이터를 사려는 연구기관이나 기업들도 네불라 코인을 써야 한다.
네불라 제노믹스 플랫폼에서 이뤄지는 유전자 데이터 거래 기록은 블록체인에 의해 안전하게 유지된다. 데이터를 구입하려는 기업들은 데이터 자체를 완전히 다운로드할 수는 없다. 빌려 쓰는 방식으로 거래가 이뤄진다. 또 데이터 소유자들은 익명성을 유지할 수 있고, 구매하는 기업들 신원은 투명하게 공개된다.
네불라 제노믹스는 몇개월안에 플랫폼을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토큰을 얼만큼 발행할 것인지, 또 ICO 방식으로 자금을 유치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확실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테크M=황치규 기자(delight@techm.kr)]
-
페넥스, 애플의 무선 이어폰을 보청기로[테크M 독점제휴=MIT테크놀로지리뷰]무선 이어폰과 스마트폰 앱으로 보청기를 대체할 수 있다면 어떨까?스위스 스타트업 페넥스는 페넥스란 앱을 통해 이를 현실화하려고 한다.최근 앱스토어에 출시된 이 앱은 애플의 159달러짜리 에어팟과 호환된다. 페넥스의 알렉스 마리 대표는 애플의 기기와 모바일 플랫폼을 택한 것은 에어팟이 널리 보급된 이유도 있지만 안드로이드폰의 음성처리 대기시간이 더 길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이 앱은 아직 초기단계다. 지금은 무료로 서비스되고 있지만 앞으로 특정 기능을 사용하려면 페넥스에 돈을 내야2018-02-08 14:43:23독점제휴=MIT테크놀로지리뷰
-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DNA 테스트 시장 뒤흔드나개인들의 DNA데이터수익화 지원하는 네불라 제노믹스 주목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기술을 활용해 사람들이 자신의 유전자 염기 서열데이터를 팔아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타트업이 등장해 주목된다.MIT테크놀로리리뷰에 따르면 네불라 제노믹스는 1000달러 미만에사람들이유전자 염기 배열 정보를 테스트할 수 있는것은 물론 자신의 데이터를갖고 수익화도 가능한플랫폼을 준비 중이다.흥미로운 점은 이 회사가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23앤드미나 헬릭스 등 기존 DNA 테스트 회사들과는 확실한 차별화를 시2018-02-08 13:45:33황치규 기자
-
[전망2018]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제작 장벽 허물어져[테크M=우운택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상·증강현실은 매년 시장을 달굴 키워드로 대접받았지만 여전히 기대주에 머물고 있다. 뜰거 같은데 확실하게 뜨지 않은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2018년은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을까? 지난해보다는 긍정적인 상황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먼저 스마트폰 기반 가상·증강현실 저작도구 보급으로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증강현실을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스마트폰 3차원 카메라를 활용한 응용 서비스도 많이 등장할 것이다.가상·증강현실을 카2018-02-07 16:05:23우운택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