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자율주행차 넘어 스마트시티 플랫폼까지...포드의 야심만만 시나리오
UN에 따르면 오는 2050년까지 세계 인구의 66% 가량이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시를 효율적이고 환경친화적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됐다.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스마트시티는 연초부터 글로벌 테크 이슈가 됐다. 최근 막을 내린 소비자가전전시회(CES) 주제도 스마트시티였고 비슷한 시점에 한국도 정부 차원에서 스마트시티를 성장 동력으로 강조하고 나섰다. 민관 협력 기구인 4차산업혁명위원회 산하엔 스마트시티 특별 위원회까지 만들어졌다. 관련 정책도 구체화되고 있다.
스마트시티를 겨냥한 거대 기업들의 행보에도 가속도가 붙었다. 자동차 회사인 포드도 자율주행차를 넘어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강조하고 나서 주목된다.
포드는 1월 미국에서 열린 소비자가전전시회(CES)에서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인 오토노믹과 협력해 스마트시티를 겨냥한 오픈 플랫폼인 TMC(Transportation Mobility Cloud)를 개발 중이라고 공개했다.
포드에 따르면 TMC는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으로 전체 도시를 오픈 개발자 커뮤니티 프로그램과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스마트 교통 서비스와 인접한 커넥티드 사물을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자동차, 자전거, 보행자, 대중 교통, 인프라들간 정보 흐름을 관리한다.
도시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를 사용해 TMC는 자동차, 교통, 기차, 시민들을 지휘하는 허브가 될 수 있다는 것이 포드 설명이다.
TMC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해 차량 노선을 결정하고 서비스 중단 같은 상황과 관련해 알람을 보낼 수 있다. 도시들이 TMC를 사용해 혼잡 시간대에 자율주행차가 병목 지점에 가지 않도록 하거나 배기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특정 구간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이 전기자동차 모드로만 다닐 수 있도록 지정하는 시나리오가 가능해진다.
TMC는 신원 관리 및 결제 처리, 데이터 수집 및 분석과 같은 프로세스들도 지원한다. 이용 가능한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비스와 앱을 개발하는 플랫폼 역할도 할 수 있다.
포드는 TMC 생태계를 강조하기 위해 레고 박스를 예로 들었다. TMC 환경에서 새로운 서비스와 제품을 개발하기위해 구성 요소들은 레고블록처럼 빠르게 해체되고 재조립될 수 있다. TMC는 모든 파트너들과 협력이 가능할 만큼 유연함도 갖췄다고 포드는 강조했다.
포드는 TMC 생태계의 판을 크게 그리는 모습이다. 개방된 접근 방식을 통해 교통 서비스 업체 외에 경쟁 자동차 제조 업체까지 끌어들여 스마트시티 플랫폼으로 키워나간다는 전략이다. 도로에 있는 대부분의 차량 및 이를 겨냥한 서비스와 호환성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포드는 TMC에 투입되는 통신 기술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기반한 셀룰러(Cellular Vehicle to Everything: C-V2X)를 활용한다. 이를 위해 포드는 퀄컴과 손을 잡았다.
[테크M=황치규 기자(delight@techm.kr)]
-
페넥스, 애플의 무선 이어폰을 보청기로[테크M 독점제휴=MIT테크놀로지리뷰]무선 이어폰과 스마트폰 앱으로 보청기를 대체할 수 있다면 어떨까?스위스 스타트업 페넥스는 페넥스란 앱을 통해 이를 현실화하려고 한다.최근 앱스토어에 출시된 이 앱은 애플의 159달러짜리 에어팟과 호환된다. 페넥스의 알렉스 마리 대표는 애플의 기기와 모바일 플랫폼을 택한 것은 에어팟이 널리 보급된 이유도 있지만 안드로이드폰의 음성처리 대기시간이 더 길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이 앱은 아직 초기단계다. 지금은 무료로 서비스되고 있지만 앞으로 특정 기능을 사용하려면 페넥스에 돈을 내야2018-02-08 14:43:23독점제휴=MIT테크놀로지리뷰
-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DNA 테스트 시장 뒤흔드나개인들의 DNA데이터수익화 지원하는 네불라 제노믹스 주목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기술을 활용해 사람들이 자신의 유전자 염기 서열데이터를 팔아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타트업이 등장해 주목된다.MIT테크놀로리리뷰에 따르면 네불라 제노믹스는 1000달러 미만에사람들이유전자 염기 배열 정보를 테스트할 수 있는것은 물론 자신의 데이터를갖고 수익화도 가능한플랫폼을 준비 중이다.흥미로운 점은 이 회사가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23앤드미나 헬릭스 등 기존 DNA 테스트 회사들과는 확실한 차별화를 시2018-02-08 13:45:33황치규 기자
-
[전망2018]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제작 장벽 허물어져[테크M=우운택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상·증강현실은 매년 시장을 달굴 키워드로 대접받았지만 여전히 기대주에 머물고 있다. 뜰거 같은데 확실하게 뜨지 않은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2018년은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을까? 지난해보다는 긍정적인 상황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먼저 스마트폰 기반 가상·증강현실 저작도구 보급으로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증강현실을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스마트폰 3차원 카메라를 활용한 응용 서비스도 많이 등장할 것이다.가상·증강현실을 카2018-02-07 16:05:23우운택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