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시가총액 10억달러 이상이고 수요 높은 암호화폐가 잠재력 커"
프레드 쿠르거 워크코인 대표, 이더리움-스팀잇 등 높게 평가
블록체인 기반 프리랜서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워크코인의 프레드 쿠르거 대표가 암호화폐 투자시 시가 총액이 10억 달러 이상이 되는지 여부가 중요하다고 밝혀 눈길을 끈다.
이외에도 투자자나 사용자가 오래 보유하고 있고, 거래가 활발한 암호화폐를 투자 우선순위로 꼽았다.
프레드 쿠르거 대표는 5일 서울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d10e 글로벌 컨퍼런스 서울’에서 성공할 수 있는 암호화폐의 조건에 대해 이같은 입장을 공유했다.
그에 따르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급등락이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다. 비트코인은 작년 2000달러까지 가격이 빠르게 오르다 1000달러 대로 하락했지만, 지난 4년간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는 2012년부터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상승했다. 이를 감안하면 비트코인의 가격 상승 여력은 크지 않다는게 그의 설명이다.
프레드 쿠르거 대표는 “일반적으로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법칙으로 결정된다. 비트코인 공급은 2100만개로 정해져 있지만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는 지난 4년간 점진적으로 증가했으며, 2012년부터 2014년에는 거의 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반면 이더리움은 공급량은 정해져 있지 않지만 비트코인과 달리 수요가 급등했다. 수요의 빠른 증가가 가격 상승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같은기간 이더리움은 거의 4배 가까이 가격이 올랐다. 비트코인보다 대단히 빠른 속도로 가격이 상승했다”면서 “거래 건수 역시 점진적이지 않고 급진적으로 상승했으며, 이런 이더리움에 대한 수요 급증은 많은 ICO로 인해 촉발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성공적인 암호화폐 투자를 위해서는 이더리움과 같이 수요와 공급이 함께 늘어나며 시장이 확대돼야 한다. 그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하락은 상승에 따른 조정 국면으로, 시장 확대가 지속되면 다시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스팀잇의 잠재력도 높게 평가해 주목된다. 그는 “스팀잇은 콘텐츠 만드는 것에 대한 보상으로 코인 제공하는 개념의 플랫폼으로, ICO 이후 시가총액이 16억 달러까지 상승했지만 7000만 달러로 갑자기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3월 즈음에 사용자들이 스팀코인을 팔고 나갔기 때문”이라며 “그 후에는 다시 17억 달러로 시총이 급증하며 이더리움 보다도 더 커졌다”고 말했다.
시가총액이 커진 이유에 대해 프레드 대표는 실제 프로젝트가 가동되며 사용자들의 참여가 늘고, 거래량 자체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암호화폐는 적어도 시가총액이 10억 달러 이상이어야 한다. 거래 건수가 많고 활성화된 시장에서 성공확률이 커진다. 거래가 활발하다는 범용성이 높다는 증거”라고 거듭 주장했다.
d10e은 스타트업들이 모여 다양한 주제로 진행하는 컨퍼런스로 지난 2014년부터 암스테르담, 부카레스트, 다 보스, 지브롤터, 키예프, 류블 랴나, 샌프란시스코, 싱가포르, 텔 아비브 및 바르샤바에서 개최됐다. 핀테크, ICO, 블록 체인, 공유 경제 등이 주제로 다뤄졌다.
[테크M = 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
암호화폐가 중요한 플랫폼 기술인 이유[테크M =이윤수 IT컬럼니스트]플랫폼은 다양한 서비스(생산자)와 다양한 사용자(소비자)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거래를 하는 장소(시장)이다.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인 ‘디지털’의 특성은 개방성이고, 컴퓨터와 인터넷은 우리 시대 플랫폼을 특징짓는 위대한 두 발명품이다. 이 기술의 벡터 방향은 분명해 보인다. 권력이 분산되고 자유가 확산된다.컴퓨터는 대중에게 저렴하고 고품질의 생산과 소비의 도구를 제공해 생산자 문턱을 낮추고 확산시켰으며, 개개인의 소비 기회를 극대화했다. 또 인터넷의 등장과 더불어2018-03-09 13:54:42이윤수 IT컬럼니스트
-
스마트시티, 다양한 IoT 표준 끌어안는 플랫폼이 강해질 것스마트시티가 제대로 돌아가려면 단순히 서비스만 개발하는 것을 넘어 생태계가 돌아갈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에서 들린다. 플랫폼을 잘 만들어야 스마트시티가 지속 가능하다는데 대부분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플랫폼이 스마트시티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소라는 것이다. 정부가 내놓은 스마트시티 계획에도 플랫폼이라는 개념은 비중있게 다뤄지고 있다.관건은 어떤 성격의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냐다. 이와 관련해 시스코시스템즈코리아의 성일용 부사장은 시장에 나와 있는 다양한 I2018-03-09 10:22:12황치규 기자
-
카페24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진검승부”이재석 카페24 대표 1999년 설립된 전자상거래 플랫폼 업체 카페24는 호스팅 서비스, 쇼핑몰 솔루션을 공급하던 것을 넘어 이제 한국의 대표적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2017년 기준으로 150만개 쇼핑몰이 카페24 플랫폼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쇼핑몰 거래액도 2015년 4조3000억 원에서 2016년 5조2000억 원, 2017년에는 6조5000억 원으로 늘었다.2월 8일에는 코스닥 시장에도 데뷔, 투자자들로부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카페24는 테슬라 요건 상장 1호 기업이다. 테슬라2018-03-08 17:21:59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