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MIT 10대 혁신 기술: 제로탄소 천연가스
[테크M 독점제휴=MIT테크놀로지리뷰]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새로운 엔지니어링 접근 방식
- 혁신성 천연가스발전에서 나오는 탄소를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포집함으로써 온실가스 방출을 피할 수 있다.
- 왜 중요한가 천연가스는 미국 전기생산의 32%를 담당하고 있으며 전기 생산에서 발생하는 탄소방출량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 주요 회사들 8리버캐피탈 / 엑셀론제너레이션 / CB&I
- 실용화 시기 3~5년
천연가스는 앞으로도 한동안 전 세계에서 주요 에너지원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천연가스는 저렴하고 발전이 쉬운 게 특징으로 오늘날 미국전기생산의 30%, 전 세계 전기 생산의 22%를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천연가스는 석탄보다 훨씬 깨끗한 자원임에도 여전히 많은 탄소를 배출한다.
미국 정유산업 중심지인 휴스턴 외곽에는 천연가스를 청정에너지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인 시험 발전소가 있다. 50MW 규모의 이 발전소를 지은 넷파워는기존 천연가스 발전소와 비슷한 비용으로 전기를 생산하지만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거의 완벽하게 포집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는 우리가 화석연료를 합리적인 비용으로 탈탄소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천연가스 발전소는 또한 초기에 많은 자본이 들어가는 원자력 발전이나 공급 안정성이 떨어지는 일반 재생 에너지가 갖는 문제를 피해 수요에 맞춰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넷파워는 기술 개발 업체인 8리버캐피탈과 엑셀론제너레이션, 그리고 발전소 건설회사인 CB&I와 협력하고 있다. 발전소는 최근 완공됐고 초기 시험을 시작했다. 넷파워는 몇 달안에 초기 운용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천연가스를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고온·고압처리 과정을 통해 초임계 CO2로 바뀌어 특별하게 제작된 터빈을 가동하는 ‘동작유체’로 사용된다. 대부분의 이산화탄소는 재사용되며 나머지는 저렴한 비용에 포집된다.
이들이 비용을 절감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는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판매하는 것이다. 오늘날 이산화탄소의 주요 사용처는 유정에서 석유를 채굴할 때다. 그러나 이 시장은 크지 않으며, 환경에도 좋지 않다. 그러나 넷파워는 시멘트 제조공정과 플라스틱 및 탄소 기반 소재 제작에 이산화탄소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 보고 있다.
넷파워의 기술은 천연가스가 가진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천연가스 채굴 과정에서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그러나 인류가 천연가스를 오래 사용하게 될수록 우리는 천연가스를 가능한 깨끗하게 사용해야할 것이다. 넷파워는 제자리 걸음 중인 탄소배출량 감소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기사는 테크M 제60호(2018년 4월) 기사입니다>
-
고객이 주문한 물건만 콕 집어내는 물류 로봇 유망주[테크M=장길수 IT컬럼니스트] 독일 뮌헨에 위치한 모바일 피킹 로봇(mobile picking robot) 전문 업체 ‘매가지노(Magazino)’는 지난 2014년 프레데릭 브란트너(Frederic Brantner), 루카스 쟁거( Lukas Zanger), 니콜라스 엥겔하드(Nikolas Engelhard) 등이 공동 창업했다. 독일 뮌헨공대(TUM) 산하 ‘혁신과 비즈니스 창조 센터(the Center for Innovation and Business Creation)’의 지원을2018-04-30 11:19:55장길수 IT컬럼니스트
-
국내서도 응용 활발…오픈소스 기반 공동 연구도 가속네이버, SK텔레콤 등 국내 업체들도 생성적 적대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연구와 적용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사진을 자동으로 동양화풍으로 전환하거나 웹툰 독자 사진을 주인공 얼굴로 변환시키는 등 실제 서비스에 구현하는 사례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GAN은 상반되는 목적을 가진 두 모듈(판별망, 생성망)이 대결하는 구조를 통해 이미지 생성을 학습하는 구조로 이뤄진다. 판별망(Discriminator)은 주어진 이미지가 실제인지, 거짓인지 판별하2018-04-30 11:05:41김태환 기자
-
글로벌과 격차 3~5년…산업생태계 조성 필요한국 3D프린팅 산업과 해외 선진국들과의 격차는 약 3~5년 수준인 것으로 파악된다. 3D프린팅에 대한 수요는 높아지고 있지만, 기업들이 고비용 장비와 재료값으로 인해 시장 생태계 진입을 주저하는 것이 원인이라는 평가다. 3D 프린터 기술 발전에 비해 이를 운용할 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3D프린팅 시장을 조사한 보고서 월러스 리포트(Wohlers Report)에 따르면 세계 3D 프린팅 시장 규모는 2016년 기준 7조 원 수준이다. 기계·항공분야에서 경쟁력을 가진 미국이 시장점유율2018-04-30 11:00:55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