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글로벌과 격차 3~5년…산업생태계 조성 필요
파괴적 혁신 기술 한국 동향➌ 3D 프린팅
한국 3D프린팅 산업과 해외 선진국들과의 격차는 약 3~5년 수준인 것으로 파악된다. 3D프린팅에 대한 수요는 높아지고 있지만, 기업들이 고비용 장비와 재료값으로 인해 시장 생태계 진입을 주저하는 것이 원인이라는 평가다. 3D 프린터 기술 발전에 비해 이를 운용할 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3D프린팅 시장을 조사한 보고서 월러스 리포트(Wohlers Report)에 따르면 세계 3D 프린팅 시장 규모는 2016년 기준 7조 원 수준이다. 기계·항공분야에서 경쟁력을 가진 미국이 시장점유율 38%로 1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4%로 세계 8위 수준이다. 국내 3D 프린팅 활성화가 더딘 이유는 장비와 소재 가격이 높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강민철 3D프린팅 연구조합 박사는 “국내서는 6개 업체가 다양한 방식의 장비를 제조하지만 아직까지는 경험과 기술 수준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라며 “외국산 장비를 도입하려면 중형크기의 경우 부수장비를 포함하면 10억 원 이상이 소요되기 때문에 대기업에서 조차도 도입에 신중한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가장 중요한 것은 설계능력”이라며 “기존의 제품을 그대로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효율성과 경량화를 위한 합리적인 설계 기술인력을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내의 경우 2014년 기준으로 83대의 산업용 3D 프린터가 보급됐고, 기업들이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공공기관과 치과업체에서 3D 프린터를 구입했다면 최근에는 엔지니어링 관련 기업들이 금형, 항공기부품 제작 등에 3D 프린터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정부 차원의 지원도 가시화되고 있다. 최근 정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2018년도 3D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이를 통해 정부는 신규 수요 창출, 기술 경쟁력 강화, 산업 확산과 제도적 기반 강화 등을 위해 지난해보다 11% 증가한 457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국내 3D 프린팅 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관련 장비가 필요한 민간 기업에 적극적인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강민철 3D프린팅 연구조합 박사는 “지금까지는 공공기관 중심으로 기초적인 인프라를 구축해왔다”면서 “이제는 실제 장비를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에 장비 구입을 지원해 수요기업 중심의 산업생태계의 조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3D프린팅 업계 관계자는 “금속 3D프린팅의 전문 인력 인프라가 부족한 상태”라며 “단순 운용인력은 쉽게 양성을 할 수 있으나 의료 등 세부 분야의 특성을 이해하면서 임상현장과 연계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부족해 기존 자체 인력을 3D 프린팅 운영인력으로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테크M = 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
고객이 주문한 물건만 콕 집어내는 물류 로봇 유망주[테크M=장길수 IT컬럼니스트] 독일 뮌헨에 위치한 모바일 피킹 로봇(mobile picking robot) 전문 업체 ‘매가지노(Magazino)’는 지난 2014년 프레데릭 브란트너(Frederic Brantner), 루카스 쟁거( Lukas Zanger), 니콜라스 엥겔하드(Nikolas Engelhard) 등이 공동 창업했다. 독일 뮌헨공대(TUM) 산하 ‘혁신과 비즈니스 창조 센터(the Center for Innovation and Business Creation)’의 지원을2018-04-30 11:19:55장길수 IT컬럼니스트
-
국내서도 응용 활발…오픈소스 기반 공동 연구도 가속네이버, SK텔레콤 등 국내 업체들도 생성적 적대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연구와 적용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사진을 자동으로 동양화풍으로 전환하거나 웹툰 독자 사진을 주인공 얼굴로 변환시키는 등 실제 서비스에 구현하는 사례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GAN은 상반되는 목적을 가진 두 모듈(판별망, 생성망)이 대결하는 구조를 통해 이미지 생성을 학습하는 구조로 이뤄진다. 판별망(Discriminator)은 주어진 이미지가 실제인지, 거짓인지 판별하2018-04-30 11:05:41김태환 기자
-
글로벌과 격차 3~5년…산업생태계 조성 필요한국 3D프린팅 산업과 해외 선진국들과의 격차는 약 3~5년 수준인 것으로 파악된다. 3D프린팅에 대한 수요는 높아지고 있지만, 기업들이 고비용 장비와 재료값으로 인해 시장 생태계 진입을 주저하는 것이 원인이라는 평가다. 3D 프린터 기술 발전에 비해 이를 운용할 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3D프린팅 시장을 조사한 보고서 월러스 리포트(Wohlers Report)에 따르면 세계 3D 프린팅 시장 규모는 2016년 기준 7조 원 수준이다. 기계·항공분야에서 경쟁력을 가진 미국이 시장점유율2018-04-30 11:00:55김태환 기자